목차
1. 들어가며... 일본 만화의 힘 속으로
2. 만화의 기원과 일본만화
3. 현대 일본만화의 역사
1] 초창기의 만화(전사 : ∼1945)
2] 전후부흥기에서 고도성장기까지 (제1기 : 1945∼1958)
3] 현대만화의 성장기 (제2기 : 1959 ∼ 1965)
4] 새로운 방식의 만화문화 (제3기 : 1966∼1973)
5] 만화영역의 확대와 세분화 (제4기 : 1974∼1978)
6] 생활감을 잘 드러내는 만화 (제5기 : 1979∼1986)
7] 정보를 제공하며 문학에 영향을 끼치는 만화 (제6기 : 1986∼)
4. 경제적 관점에서의 일본 만화
1] 만화 제국 일본
2] 일본 만화의 역사와 특징
3] 일본의 독특한 만화 문화
(1) 야오이
(2) 오타쿠
◇오타쿠의 출현
(3) 코스프레
(4) 만화 동인지
(5) 만화문고
(6) 만화비평
(7) 만화 고서점
◇만화책의 메카 만다라케
(8) 만가재팬
5. 마치며...
2. 만화의 기원과 일본만화
3. 현대 일본만화의 역사
1] 초창기의 만화(전사 : ∼1945)
2] 전후부흥기에서 고도성장기까지 (제1기 : 1945∼1958)
3] 현대만화의 성장기 (제2기 : 1959 ∼ 1965)
4] 새로운 방식의 만화문화 (제3기 : 1966∼1973)
5] 만화영역의 확대와 세분화 (제4기 : 1974∼1978)
6] 생활감을 잘 드러내는 만화 (제5기 : 1979∼1986)
7] 정보를 제공하며 문학에 영향을 끼치는 만화 (제6기 : 1986∼)
4. 경제적 관점에서의 일본 만화
1] 만화 제국 일본
2] 일본 만화의 역사와 특징
3] 일본의 독특한 만화 문화
(1) 야오이
(2) 오타쿠
◇오타쿠의 출현
(3) 코스프레
(4) 만화 동인지
(5) 만화문고
(6) 만화비평
(7) 만화 고서점
◇만화책의 메카 만다라케
(8) 만가재팬
5. 마치며...
본문내용
키우는 것도 시급한 일입니다. 이것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방법은 방대한 상품데이터를 컴퓨터상에 입력하는 것입니다. 보통의 POS 시스템으로는 35만에서 40만 아이템 정도만 취급할 수 있습니다. 우리 회사는 100만이 넘는 아이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상품수로만 따지면 400만 점이 넘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현재 저희 회사의 주요 수입원은 헌만화책입니다. 수백만권의 헌만화책을 관리하기 위해서 책모서리에 딱 맞는 소형 바코드를 직접 붙이고 있습니다. 또 현재보다 15∼20배의 정보를 담는 고성능 바코드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작업이 2001년 말까지 완성될 예정입니다. 이렇게 되면 400만점에서 1000만점에 이르는 상품을 개별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상품들의 정보는 컴퓨터상에서 장악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매달 재고조사를 하는데 현재는 사람이 직접 한권 한권 세기 때문에, 이틀이나 걸립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책모서리에 붙인 소형 바코드를 스캔하면 개수, 아이템, 구입날짜 같은 정보가 바로 집계되므로 한나절 업무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틀 내내 사람 손으로 재고량을 세고, 한 주일 동안 집계하고 계산하는 작업을 생각하면 업무가 15배에서 20배나 빨라지는 것입니다.
─현재 만다라케의 직원은 몇명이나 됩니까?
모든 지점의 파트타임 직원까지 합치면 300명 정도 됩니다. 직원들은 모두 내가 면접을 해서 뽑습니다.
─인터넷을 이용한 사업 구상은 없습니까? 만다라케의 상품을 인터넷으로 판매하면 점포와 직원 수를 줄일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일본에서 인터넷이 화제가 되기 시작했을 때 해외 판매를 위해서 판매 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만다라케에서 파는 상품은 인터넷 판매가 적당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고 중지했습니다. 특히 우리 회사의 상품은 단 한가지밖에 없는 것이 많아 인터넷 사이트에 올리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팔릴 때마다 새로운 것을 올려야 하니까요. 하지만 인터넷 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닙니다.
현재 한 광고회사와 함께 일본 최대의 만화·애니메이션 정보 사이트를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이용해서 만다라케가 가지고 있는 기초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계획입니다. 사용자들은 구입한 작품과 상품에 대한 감상이나 희망 사항을 이 데이터에 입력할 것입니다. 말하자면 이 사이트를 통해 거대한 애니메이션 정보 유통 기지가 형성되는 것이지요. 이것이 본 궤도에 오르면 100만명 정도가 접속할 것입니다. 인터넷 상에서 물품을 판매하거나 통신 판매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서 나오는 비즈니스 찬스는 엄청납니다. 예를 들면 접속 횟수를 가지고 올릴 수 있는 광고 효과입니다. 또 이 사이트에 몰리는, 사소하지만 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는 사업을 구상하는데 큰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저희와 제휴하는 광고회사는 이를 노리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저희 만다라케는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를 상대로 상품 경매를 할 계획입니다. 이 경매는 단순 상품 판매가 아닙니다. 전세계에서 단 하나 밖에 없는 만화 상품을 경매에 올리는 것입니다.
만다라케 같은 만화관련 상품만 취급하는 기업이 성황을 이루는 것을 보면 일본에서 만화가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잘 알 수 있다. 일본 효쇼(法政)대학의 이나마스 다쓰오 교수는 일본만화의 현주소를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지금 하루에 쏟아져 나오고있는 만화잡지와 만화단행본은 평균 잡아 570만권, 연간 20억권, 국민 1인당 매달 1.5권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것이 현재 일본 출판계에서 만화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이다. 만화주간지 ‘소년 점프’ 발행부수는 현재 매주 600만부를 돌파하고 있다. 만화책은 대부분 돌려보기 때문에 회독률을 2배로만 잡더라도 매일 읽히는 책이 1200만 권에 이르고 있다. 국민 10명당 1명이 매일같이 만화를 읽고 있는 셈이다. 이 부수는 TV 시청률에는 못미치지만 최소한 ‘요미우리’(발행부수 1000만부), ‘아사히’(860만부) 같은 대신문에 필적하는 미디어가 돼 있음을 의미한다”
대다수 나라에서 만화는 아이들이나 보는 매체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최고 여론 선도매체인 신문에 필적하는 영향력을 차지하고 있다. 또 일본에서는 만화와 관련된 일반 출판물 판매량도 엄청나다. 인기를 끈 만화에 나왔던 명언이나 대사만 골라 모은 수필집 형식의 만화명언집이나 각종 만화평론, 만화가입문서, 만화 연구논문, 만화의 사회학 같은 서적도 불티나게 팔린다.
(9) 만가재팬
만가 재팬은 기성의 만화가들의 단체로서 93년 12월에 발족하였다. 만가 재팬 이전에 만화가 단체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2차 대전 이전부터 컷만화가들을 중심으로 한 친목단체 '만화집단'이 있었고 64년에 설립된 '일본 만화가 협회'(회원 5백명)등이 있었지만 젊은 만화가나 스토리 만화가의 가입은 적었다. 거기 대신할 새로운 단체로서 93년 12월 '만가재팬'이 발족한 것이다.
만가재팬은 이시노모리쇼타로를 대표로 해서 후지코후지오, 미즈시마 신지 里中滿智子, 가와구치 가이지 등이 참가해 저작권, 캐릭터권 등을 포함해 내외를 묻지 않는 만화가의 권리를 지킬 것, 문화로서의 만화의 계승, 발전, 자료관의 정비 등을 활동의 축으로 할 것을 결정했다. '유해'코믹 문제에 대해, 표현의 자유란 입장으로 맞선 것도 이 단체로부터 나온 것이다.
5. 마치며...
수백만 부를 발행하는 만화 잡지를 가진 나라, 한 해 21억 권의 만화책을 쏟아내는 나라, 일개 만화가가 개인 납세 3위를 할 수 있는 나라, 만화 제국 일본을 만든 가장 큰 힘은 무엇일까? 무엇보다도 세계에서 가장 만화를 사랑하는 국민, 일본인들을 꼽지 않을 수 없다. 만화에 대해 누구보다도 각별한 사랑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생활을 만화와 함께 하는 국민들이 오늘날의 만화 제국 일본을 만든 것이다.
수십 년 동안 성장해 이제는 동아시아는 물론 미국과 유럽의 만화 시장까지 석권하려고 하는 만화 제국 일본, 누가 감히 이 제국에 맞설 수 있을까? 그 제국을 무너뜨릴 만한 핵 무기는 아직 어느 나라에서도 만들어내진 못한 것 같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매달 재고조사를 하는데 현재는 사람이 직접 한권 한권 세기 때문에, 이틀이나 걸립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책모서리에 붙인 소형 바코드를 스캔하면 개수, 아이템, 구입날짜 같은 정보가 바로 집계되므로 한나절 업무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틀 내내 사람 손으로 재고량을 세고, 한 주일 동안 집계하고 계산하는 작업을 생각하면 업무가 15배에서 20배나 빨라지는 것입니다.
─현재 만다라케의 직원은 몇명이나 됩니까?
모든 지점의 파트타임 직원까지 합치면 300명 정도 됩니다. 직원들은 모두 내가 면접을 해서 뽑습니다.
─인터넷을 이용한 사업 구상은 없습니까? 만다라케의 상품을 인터넷으로 판매하면 점포와 직원 수를 줄일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일본에서 인터넷이 화제가 되기 시작했을 때 해외 판매를 위해서 판매 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만다라케에서 파는 상품은 인터넷 판매가 적당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고 중지했습니다. 특히 우리 회사의 상품은 단 한가지밖에 없는 것이 많아 인터넷 사이트에 올리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팔릴 때마다 새로운 것을 올려야 하니까요. 하지만 인터넷 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닙니다.
현재 한 광고회사와 함께 일본 최대의 만화·애니메이션 정보 사이트를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이용해서 만다라케가 가지고 있는 기초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계획입니다. 사용자들은 구입한 작품과 상품에 대한 감상이나 희망 사항을 이 데이터에 입력할 것입니다. 말하자면 이 사이트를 통해 거대한 애니메이션 정보 유통 기지가 형성되는 것이지요. 이것이 본 궤도에 오르면 100만명 정도가 접속할 것입니다. 인터넷 상에서 물품을 판매하거나 통신 판매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서 나오는 비즈니스 찬스는 엄청납니다. 예를 들면 접속 횟수를 가지고 올릴 수 있는 광고 효과입니다. 또 이 사이트에 몰리는, 사소하지만 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는 사업을 구상하는데 큰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저희와 제휴하는 광고회사는 이를 노리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저희 만다라케는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를 상대로 상품 경매를 할 계획입니다. 이 경매는 단순 상품 판매가 아닙니다. 전세계에서 단 하나 밖에 없는 만화 상품을 경매에 올리는 것입니다.
만다라케 같은 만화관련 상품만 취급하는 기업이 성황을 이루는 것을 보면 일본에서 만화가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잘 알 수 있다. 일본 효쇼(法政)대학의 이나마스 다쓰오 교수는 일본만화의 현주소를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지금 하루에 쏟아져 나오고있는 만화잡지와 만화단행본은 평균 잡아 570만권, 연간 20억권, 국민 1인당 매달 1.5권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것이 현재 일본 출판계에서 만화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이다. 만화주간지 ‘소년 점프’ 발행부수는 현재 매주 600만부를 돌파하고 있다. 만화책은 대부분 돌려보기 때문에 회독률을 2배로만 잡더라도 매일 읽히는 책이 1200만 권에 이르고 있다. 국민 10명당 1명이 매일같이 만화를 읽고 있는 셈이다. 이 부수는 TV 시청률에는 못미치지만 최소한 ‘요미우리’(발행부수 1000만부), ‘아사히’(860만부) 같은 대신문에 필적하는 미디어가 돼 있음을 의미한다”
대다수 나라에서 만화는 아이들이나 보는 매체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최고 여론 선도매체인 신문에 필적하는 영향력을 차지하고 있다. 또 일본에서는 만화와 관련된 일반 출판물 판매량도 엄청나다. 인기를 끈 만화에 나왔던 명언이나 대사만 골라 모은 수필집 형식의 만화명언집이나 각종 만화평론, 만화가입문서, 만화 연구논문, 만화의 사회학 같은 서적도 불티나게 팔린다.
(9) 만가재팬
만가 재팬은 기성의 만화가들의 단체로서 93년 12월에 발족하였다. 만가 재팬 이전에 만화가 단체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2차 대전 이전부터 컷만화가들을 중심으로 한 친목단체 '만화집단'이 있었고 64년에 설립된 '일본 만화가 협회'(회원 5백명)등이 있었지만 젊은 만화가나 스토리 만화가의 가입은 적었다. 거기 대신할 새로운 단체로서 93년 12월 '만가재팬'이 발족한 것이다.
만가재팬은 이시노모리쇼타로를 대표로 해서 후지코후지오, 미즈시마 신지 里中滿智子, 가와구치 가이지 등이 참가해 저작권, 캐릭터권 등을 포함해 내외를 묻지 않는 만화가의 권리를 지킬 것, 문화로서의 만화의 계승, 발전, 자료관의 정비 등을 활동의 축으로 할 것을 결정했다. '유해'코믹 문제에 대해, 표현의 자유란 입장으로 맞선 것도 이 단체로부터 나온 것이다.
5. 마치며...
수백만 부를 발행하는 만화 잡지를 가진 나라, 한 해 21억 권의 만화책을 쏟아내는 나라, 일개 만화가가 개인 납세 3위를 할 수 있는 나라, 만화 제국 일본을 만든 가장 큰 힘은 무엇일까? 무엇보다도 세계에서 가장 만화를 사랑하는 국민, 일본인들을 꼽지 않을 수 없다. 만화에 대해 누구보다도 각별한 사랑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생활을 만화와 함께 하는 국민들이 오늘날의 만화 제국 일본을 만든 것이다.
수십 년 동안 성장해 이제는 동아시아는 물론 미국과 유럽의 만화 시장까지 석권하려고 하는 만화 제국 일본, 누가 감히 이 제국에 맞설 수 있을까? 그 제국을 무너뜨릴 만한 핵 무기는 아직 어느 나라에서도 만들어내진 못한 것 같다.
추천자료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을 통한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방향 연구보고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 오시이 마모루의 작품세계
일본 애니메이션(재패니메이션)의 특징과 대표작 분석(A+자료)
[한국vs일본vs미국]애니메이션의역사비교(연대별작품)[에니메이션]
[영어에세이] 센과 치히로의 모험-미야자키 하야오-SpiritedAway-일본 애니메이션
일본 애니메이션 고양이의 보은을 보고나서
일본애니메이션 `동경대부`
[영어에세이] My Neighbor Totoro 이웃집 토토로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일본 애니메이션 ...
만화 '아키라'의 기호로 살펴보는 일본이라는 신화
일본 애니메이션 '고양이의 보은' < 장면 번역및 감상 >
일본 애니메이션 모노노케히메 감상문
미야자키 하야오(みやざきはやお 宮崎駿)의 성장배경과 작품경향, 미야자키 작품의 특징 (일...
일본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千と千尋の神隱し)』의 특징 및 등장인물의 성격
(가천대학교 사이버강의)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학습저널> 5~7주차 (온라인 만화,만화트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