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과 세계오순절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산과 세계오순절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영산과 세계오순절운동
1. 영산의 기독교 입문과 세계오순절운동
2. 대조동 천막교회와 세계오순절운동
3. 서대문시대와 세계오순절운동
4. 여의도시대와 세계 오순절운동

Ⅲ. 영산과 기타 세계교회 운동

Ⅳ. 결 론

본문내용

적극적인 사고방식의 도입이다. 영산은 원래부터 타계주의적인 설교보다는 현실 삶에서의 하나님의 역사에 대해서 강조해왔다. 그는 고난을 참고 인내하는 설교보다는 승리의 삶을 설교했다. 이것은 그의 주요 사역이 해방 후 한국의 근대화가 활발하게 일어나던 때라는 사실에서도 잘 드러난다. 또한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여의도순복음교회의 신자들이 더 이상 가난하고 못 배운 사람만이 모이는 것이 아니라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서 가난과 질병에서의 해방이라는 전통적인 메시지에서 한 걸음 나아가서 보다 중산층에 초점을 맞춘 적극적인 사고방식의 메시지가 강조되어졌다. 영산은 70년부터 그가 주최하는 교회성장 세미나에 로버트 슐러 목사를 종종 초청하였다. 그리고 그와 더불어서 일본과 미국에서도 같이 집회를 인도하기도 하였다 영산 역시 로버트 슐러의 교회에 가서 여러 차례설교를 하였다. 그는 로버트 슐러의 교회에 갔을 때, 거기서 하나님의 성회의 신자던 사람을 만났다. 그래서 왜 이곳에 왔느냐고 불어 보았다. 그랬더니 그 사람이 대답하기를 하나님의 성회의 예배에는 열정적인 찬양. 기도. 설교는 있지만 사람의 마음을 만족시켜주는 심리학적인 측면이 약하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슐러의 크리스탈교회에 참석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영산은 슐러의 적극적인 사고방식을 다 수용하지는 않는 것 같다. 그는 "나는 로버트 슐러 목사님의 모든 메시지를 탐독하고 있습니다. 비록 그의 가르침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지만 그의 메시지에 긍정적인 자극을 받습니다."
) 조용기, 「교회성장, 진정으로 원하십니까?」, 66
영산이 로버트 슐러의 사상에 전적으로 동하지 않는 점이 있다. 그것이 무엇인지 분명하지는 않지만 아마도 슐러의 메시지 가운데 구원의 메시지가 충분하게 강조되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Ⅳ. 결 론
많은 학자들은 영산의 신학과 사역이 한국문화의 샤머니즘과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증거로서 그가 신유와 축복을 강조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우리가 살펴본 바대로 의하면 영산의 신유와 축복의 복음은 한국의 샤머니즘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미국의오순절 운동과 은사운동에서 유래한 것이다. 따라서 영산의 사역은 기독교 복음의 샤머니즘화 과정이 아니라 미국의 오순절운동의 한국전파과정이라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영산은 한국의 어떤 목회자보다도 선교사, 특히 오순절선교사와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어떤 미에서 영산은 외국선교사와 공동사역을 해왔다고 말할 수 있다. 처음에 그는 오순절선교사들의 조력자였다. 그는 통역이었고. 협력사역자였다. 하지만 나중에는 외국선교사들은 영산의 협력자가 되어 그의 사역을 국제화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외국선교사와의 만남을 통해서 그는 국제적인 오순절 성령운동의 동향에 대해서 잘 알 수 있게 되었으며 이것을 자신의 사역에 적용하였다. 일차적으로 영산의 사역은 세계 오순절운동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그는 일찍이 오순절선교사를 만났고. 거기에서 방언과 신유를 체험하였다 또한 그는 순복음신학교를 졸업했으며 더 나아가서 하나님의 성회 선교사들과 함께 서대문전도관을 개척하였다. 그 뒤 그는 한국 하나님의 성회 총회장을 지냈고, 세계 하나님의 성회의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다.
여기서 방언이 오순절운동의 핵심이며, 이것은 샤머니즘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오순절운동의 독특한 요소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영산은 또한 오순절 운동의 영향을 넘어서 카리스마운동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는 오랄 로버츠나 팻 로벗슨과 깊은 교제를 나누었으며 그들의 방법을 받아들이고 있다. 아마도 이것은 그가 중산층을 겨냥하여 성공적인 삶과 축복을 강조하는 데서도 잘 드러난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가 사업가들을 포함한 중산층의 선교에도 성공한 것은 바로 이러한 카리스마운동의 요소를 받아들였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한 영산은 폭 넓은 교류를 통하여 자신의 사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그는 빌리 그래함과도 관계를 맺고 있다. 하지만 그는 빌리 그래함의 복음주의를 넘어선다. 그는 본질적으로 오순절주의자이다. 또한 그는 로버트 슐러의 적극적인 사고방식을 받아들인다. 이것은 성공지향적인 한국인들의 심성에 잘 맞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영산은 슬러의 메시지에 복음적인 요소가 약하다는 것을 잊지 않고 있다.
영산은 허긴의 신앙운동에 깊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가 로고스와 레마를 구분하는 것, 믿음으로 씨를 심는 것, 적극적인 고백을 강조하는 것은 다 신앙사역 요소와 같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영산은 기독교신앙이 단지 인간의 가능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전락하는 것을 경계한다. 또한 신앙사역의 축복을 강조하지만 동시에 고난의 필요성도 인정하고 있다.
영산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오랄 로버츠이다. 로버츠는 오순절운동의 전통에 서 있으면서도 카리스마운동에도 참여한다. 그는 치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의 신유운동가이지만 동시에 빌리 그래함의 복음주의 운동등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해긴의 사상을 다 받아들인 것은 아니지만 그를 지지한다. 이렇게 볼 때 영산과 가장 유사한 점이 많은 사람이 바로 오랄 로버츠이다. 특별히 영산의 3중축복은 로버츠에게서 유래한 것이다.
참 고 도 서
조용기, 「4차원의 영적 세계』 (서울: 서울서적. 1993)
조용기,「교회성장, 진정으로 원하십니까?」(서울 서울서적. 1995)
최자실, 「나는 할렐루야 아줌마였다」(서울: 서울서적, 1978)
오랄 로버츠, 「기적을 기대하라」전형철 역 (서울:서울말씀사, 1998),
「여의도순복음교회 40년사」(서울:신앙계, 1998)
여운학, 「주여 뜻대로 이루소서」(서울: 규장문화사, 1982)
<기독신보> (1957년 10월 14일). "기독교한국오순절회 성명서"
30년사편찬위원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 성회 30년사」(서울:종려문화사, 1981)
김상복, "장미침대인가? 가시침대인가?" <성경과 신학> 제17권
David E. Harrell, Jr . 0ral Roberts: Am Americam Life (Blo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85)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6.2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