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르지 않고, 돼지고기도 먹지 않는다. 회족의 혼인관념은 한족과 비교하여 특별한 것은 없으나, 독신을 반대한다. 서북지역의 회족의 결혼연은 매우 풍성하고, 민족적 특색이 있다. 회족의 결혼연은 술과 담배로 초대하지 않고 즉석에서 밥먹고 헤어지며 매우 간단하다. 과부가 수절하는 것을 주장하지 않고, 재가를 허용한다. 성격이 상무강직(尙武剛直)하여 농업 외에 군인·직공·상공업·여관업·교역업 등 대담성을 필요로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 많다. 종교를 핵으로 하는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는 한편 이슬람교사원을 청진사(淸眞寺)라고 부르는 등 일반의 언어풍습은 한화(漢化)되어가는 경향이 높다.
9. 중요지명
1) 인촨 (銀川)
면적 3,499㎢, 인구 91만 명(1998)이다. 닝샤평원의 중앙 황허강[黃河] 좌안에 위치하며 1945년까지 닝샤라고 불렀다. 송대(宋代)에는 서하(西夏)의 수도였고, 1928년 민국(民國)이 닝샤성[寧夏省]을 설치하고 1954년 간쑤성[甘肅省]으로 합병될 때까지 그 성도(省都)였다. 중공정권 성립 후인 1958년 자치구로서 분리하고 주도가 되었다.
바오란[包蘭] 철도·자동차도로·황허강 수운의 요충지로 이미 진·한대(秦漢代)부터 관개설비가 잘 되어 쌀을 산출하였다. 현재 농산물·약재를 집산하는 외에 식품공업·기계·방적 등도 발달하였다. 사범학원·의학원·농학원 등의 대학이 있다.
송 경덕년간(서기 1004년~1008년)에 성이 건설되어 흥주라고 불리었고, 후에 역사적으로 서하왕궁의 수도로 되었고, 녕하로, 부치로 되었다가 1945년에 시로 건설되었다. 동쪽은 옛성구이고, 서쪽은 신성구이다. 특산은 방직 돗자리, 구기주, 하란석먹 등이 있다. 인촨에는 서하 시기의 승천사탑, 배사구쌍탑, 서하왕릉, 해보탑과 하란산 곤종구사 등의 명승고적이 있다.
2) 구위안(沽源)
면적은 3,646㎢, 인구는 22만 3천 명(1998)이다.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 남부에 있는 구위안현[沽源縣]의 현청 소재지이다. 칭수이강[淸水江] 상류의 도시로 웨이허평야[渭河平野]의 시안[西安]으로 가는 교통 중심지로서 일찍이 개발되었다.
한대(漢代)에 이미 고평현(高平縣)이 설치되었고, 명(明)·청(淸)나라 때에는 중원(中原) 지방의 방위거점으로서 중요시되었다. 현재는 자치구 남부가 경제·교통의 중심지이고, 식품공업소와 수력발전소가 있다.
3) 스쭈이산(石嘴山)
녕하의 북부, 하란산과 황하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시구인구는 26만명이다. 1960년 시가 설립되었다. 석탄자원이 풍부하여, 중국 우수의 석탄 수출기지이다. 또한 녕하, 내몽고 농업, 목축업 산지품의 집산지이다. 포란철로 지선(평여선)이 이곳을 지난다
4) 청동협시
은오평원의 남단, 황하의 서안에 위치하고 있다. 자치구의 신흥 공업성시로 성 내부에 유명한 청동협이 있고, 1967년에 청동협 수리중추가 건설되었다. 공업은 시멘트 위주이다. 원대의 일백팔탑이 비교적 완전하게 보전되고 있는 고대의 탑 건축물이다. 일백팔탑은 중국 고탑건축 중 유일하게 총체적으로 삼각형의 대형탑군을 이루고 있다. 청동협 양쪽에 산들이 우뚝하게 솟아있고, 황하의 물살이 매우 세서, 청동협수전잔의 급수탑이 있고, 일백팔탑은 더욱 사람의 주위를 끌게 한다
5) 인촨평원(銀川平原)
인촨시(銀川市)를 중심으로 황허강(黃河) 상류에 형성된 평야. 닝샤(寧夏) 중심지역이기 때문에 닝샤평원이라고도 하며, 황허강 하류 내몽골자치구의 허우타오평원(套平原)과 첸타오평원(前套平原)을 합해서 허타오평원(河套平原)이 라고 하고 인촨평원을 시타오평원(西套平原)이라고도 한다. 이 평야는 허란산맥(賀蘭山脈) 동쪽의 단층(斷層)으로 생긴 함몰지(陷沒地)에, 간쑤성(甘肅省)의 산지에서 칭퉁샤(靑銅峽)를 거쳐서 나온 황허강이 두꺼운 퇴적물을 가져와 형성된 것이다. 북쪽의 스쭈이산(石咀山)에 이르렀다가 다시 폭이 좁은 급류가 되기까지 남북 약 200㎞이고, 동쪽은 오르도스고원으로 구획되며 넓은 곳에서는 약 50㎞ 폭이 된다. 칭퉁샤보다 더 상류로 올라가면 중웨이분지(中衛盆地)와 중닝분지(中寧盆地)가 있고, 이것을 웨이닝평원(衛寧平原)이라고 하여 인촨평원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평야에서는 황허강이 그물모양으로 갈라져서 흐르며 예로부터 관개가 발달하여 진거(秦渠)·한거(漢渠)·당래거(唐徠渠) 등은 역사적으로도 유명하다. 1949년 이후에도 관개수로의 건설은 계속되었고 <새상(塞上)의 강남(江南)>이라고 칭하는 농업지역이다.
10. 관광지
중심도시는 인촨(銀川)이고 사막과 염호가 형성되어 있어 중국내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풍경을 가지고 있다. 실크로드의 길목에 있어 과거에는 번영의 도시였으나, 오늘날에는 일부 여행가들을 제외하고는 가기 힘든 곳이다.
1) 서하왕릉(西夏王陵)
인촨시 서쪽 교외 하란산 동쪽기슭에 위치, 서하시기의 역대제왕릉묘 소재지다. 능구의 남북길이 10km, 동서너비 4km, 지세에 따라 9개의 제왕릉은 모두 완전한 건축군을 이루었고 어떤 능은 부지가 10만 평방미터이상이다. 능마다 모두 각궐, 작대, 시벽, 비정 외성, 내성 헌전 탑상영대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미 발굴한 것은 제왕릉 1개와 순장릉 4개이다.
2) 해보탑
인촨시 북부에 위치, 건조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사료는 허렌버버(대하국왕 기원407∼427년)가 재건했다고 한다. 탑은 누각식 벽돌건물로 모두 11층 높이 53.9m이다. 평면은 장병형, 매변의 중앙에 아치문이 있고 문마다 약간 밖으로 돌출되었다. 탑신의 외형은 '亞'자와 비슷하고 또 독특한 예술 풍격을 지니고 있어 중국 현존의 수천기 탑중에서 찾아볼 수 없다. 탑실은 장방형, 문은 동쪽으로 나 있고 실내에는 4개의 아치형 문이 사면으로 통하게 났다. 나무층계가 있어 9창까지 오를수 있다.
3) 사호관광지
인촨시에서 북쪽으로 56km상거, 660여헥타르의 호수남쪽에 300여 헥타르의 백사장이 있다. 호수에는 갈대무성하고 물결이 잔잔하여 배를 타고 유람하면 한결 기분이 상쾌해진다 호수에 약 1헥타르의 새섬이 있어 매년 수십만 마리의 철새들이 날아와 번식한다. 사호관광구에서는 강남의 경치와 장성 밖의 사막풍경을 다 볼 수 있다.
9. 중요지명
1) 인촨 (銀川)
면적 3,499㎢, 인구 91만 명(1998)이다. 닝샤평원의 중앙 황허강[黃河] 좌안에 위치하며 1945년까지 닝샤라고 불렀다. 송대(宋代)에는 서하(西夏)의 수도였고, 1928년 민국(民國)이 닝샤성[寧夏省]을 설치하고 1954년 간쑤성[甘肅省]으로 합병될 때까지 그 성도(省都)였다. 중공정권 성립 후인 1958년 자치구로서 분리하고 주도가 되었다.
바오란[包蘭] 철도·자동차도로·황허강 수운의 요충지로 이미 진·한대(秦漢代)부터 관개설비가 잘 되어 쌀을 산출하였다. 현재 농산물·약재를 집산하는 외에 식품공업·기계·방적 등도 발달하였다. 사범학원·의학원·농학원 등의 대학이 있다.
송 경덕년간(서기 1004년~1008년)에 성이 건설되어 흥주라고 불리었고, 후에 역사적으로 서하왕궁의 수도로 되었고, 녕하로, 부치로 되었다가 1945년에 시로 건설되었다. 동쪽은 옛성구이고, 서쪽은 신성구이다. 특산은 방직 돗자리, 구기주, 하란석먹 등이 있다. 인촨에는 서하 시기의 승천사탑, 배사구쌍탑, 서하왕릉, 해보탑과 하란산 곤종구사 등의 명승고적이 있다.
2) 구위안(沽源)
면적은 3,646㎢, 인구는 22만 3천 명(1998)이다.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 남부에 있는 구위안현[沽源縣]의 현청 소재지이다. 칭수이강[淸水江] 상류의 도시로 웨이허평야[渭河平野]의 시안[西安]으로 가는 교통 중심지로서 일찍이 개발되었다.
한대(漢代)에 이미 고평현(高平縣)이 설치되었고, 명(明)·청(淸)나라 때에는 중원(中原) 지방의 방위거점으로서 중요시되었다. 현재는 자치구 남부가 경제·교통의 중심지이고, 식품공업소와 수력발전소가 있다.
3) 스쭈이산(石嘴山)
녕하의 북부, 하란산과 황하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시구인구는 26만명이다. 1960년 시가 설립되었다. 석탄자원이 풍부하여, 중국 우수의 석탄 수출기지이다. 또한 녕하, 내몽고 농업, 목축업 산지품의 집산지이다. 포란철로 지선(평여선)이 이곳을 지난다
4) 청동협시
은오평원의 남단, 황하의 서안에 위치하고 있다. 자치구의 신흥 공업성시로 성 내부에 유명한 청동협이 있고, 1967년에 청동협 수리중추가 건설되었다. 공업은 시멘트 위주이다. 원대의 일백팔탑이 비교적 완전하게 보전되고 있는 고대의 탑 건축물이다. 일백팔탑은 중국 고탑건축 중 유일하게 총체적으로 삼각형의 대형탑군을 이루고 있다. 청동협 양쪽에 산들이 우뚝하게 솟아있고, 황하의 물살이 매우 세서, 청동협수전잔의 급수탑이 있고, 일백팔탑은 더욱 사람의 주위를 끌게 한다
5) 인촨평원(銀川平原)
인촨시(銀川市)를 중심으로 황허강(黃河) 상류에 형성된 평야. 닝샤(寧夏) 중심지역이기 때문에 닝샤평원이라고도 하며, 황허강 하류 내몽골자치구의 허우타오평원(套平原)과 첸타오평원(前套平原)을 합해서 허타오평원(河套平原)이 라고 하고 인촨평원을 시타오평원(西套平原)이라고도 한다. 이 평야는 허란산맥(賀蘭山脈) 동쪽의 단층(斷層)으로 생긴 함몰지(陷沒地)에, 간쑤성(甘肅省)의 산지에서 칭퉁샤(靑銅峽)를 거쳐서 나온 황허강이 두꺼운 퇴적물을 가져와 형성된 것이다. 북쪽의 스쭈이산(石咀山)에 이르렀다가 다시 폭이 좁은 급류가 되기까지 남북 약 200㎞이고, 동쪽은 오르도스고원으로 구획되며 넓은 곳에서는 약 50㎞ 폭이 된다. 칭퉁샤보다 더 상류로 올라가면 중웨이분지(中衛盆地)와 중닝분지(中寧盆地)가 있고, 이것을 웨이닝평원(衛寧平原)이라고 하여 인촨평원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평야에서는 황허강이 그물모양으로 갈라져서 흐르며 예로부터 관개가 발달하여 진거(秦渠)·한거(漢渠)·당래거(唐徠渠) 등은 역사적으로도 유명하다. 1949년 이후에도 관개수로의 건설은 계속되었고 <새상(塞上)의 강남(江南)>이라고 칭하는 농업지역이다.
10. 관광지
중심도시는 인촨(銀川)이고 사막과 염호가 형성되어 있어 중국내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풍경을 가지고 있다. 실크로드의 길목에 있어 과거에는 번영의 도시였으나, 오늘날에는 일부 여행가들을 제외하고는 가기 힘든 곳이다.
1) 서하왕릉(西夏王陵)
인촨시 서쪽 교외 하란산 동쪽기슭에 위치, 서하시기의 역대제왕릉묘 소재지다. 능구의 남북길이 10km, 동서너비 4km, 지세에 따라 9개의 제왕릉은 모두 완전한 건축군을 이루었고 어떤 능은 부지가 10만 평방미터이상이다. 능마다 모두 각궐, 작대, 시벽, 비정 외성, 내성 헌전 탑상영대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미 발굴한 것은 제왕릉 1개와 순장릉 4개이다.
2) 해보탑
인촨시 북부에 위치, 건조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사료는 허렌버버(대하국왕 기원407∼427년)가 재건했다고 한다. 탑은 누각식 벽돌건물로 모두 11층 높이 53.9m이다. 평면은 장병형, 매변의 중앙에 아치문이 있고 문마다 약간 밖으로 돌출되었다. 탑신의 외형은 '亞'자와 비슷하고 또 독특한 예술 풍격을 지니고 있어 중국 현존의 수천기 탑중에서 찾아볼 수 없다. 탑실은 장방형, 문은 동쪽으로 나 있고 실내에는 4개의 아치형 문이 사면으로 통하게 났다. 나무층계가 있어 9창까지 오를수 있다.
3) 사호관광지
인촨시에서 북쪽으로 56km상거, 660여헥타르의 호수남쪽에 300여 헥타르의 백사장이 있다. 호수에는 갈대무성하고 물결이 잔잔하여 배를 타고 유람하면 한결 기분이 상쾌해진다 호수에 약 1헥타르의 새섬이 있어 매년 수십만 마리의 철새들이 날아와 번식한다. 사호관광구에서는 강남의 경치와 장성 밖의 사막풍경을 다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