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층 파괴에 따른 영향 및 대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존층 파괴에 따른 영향 및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자외선의 증가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에 자외선이 닿으면 화학적 변화가 일어난다. 유전자의 본체인 DNA에 250 - 280㎚의 자외선을 쪼이면, DNA 분자 중에 있는 피리미딘 염기(티민이나 시토신)끼리 결합해 버리는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와 같이 DNA분자에 결함이 생기면 유전정보를 잘못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못하는 수도 있다. 이러한 유전정보의 이상 전달로 세포가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생명력을 잃기도 한다. 암도 DNA의 결함에 의해서 발생하는 일종의 돌연변이라고 할 수 있다. 유엔환경개발회의(UNEP) 오존층 조절 위원회는 오존층이 1% 파괴되면, 자외선의 지상도달률이 2% 증가하게 되고 피부암은 종류에 따라 4%-6%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은 피부암을 일으키거나 백내장 과 같은 안과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2)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
자외선의 증가는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여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특히 UV-B 자외선은 물 속을 통과하므로 상당한 깊이까지 침투되어 광합성이 가능한 단세포 조류에 위험을 가한다. 그러므로 수중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식물들도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정도로 UV-B의 양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또한 꽃들의 개화에도 자외선의 양에 따라 민감하다. 이와 같이 자외선의 과다노출로 인하여 꽃의 개화 시기에 변동이 생기면 꽃가루를 운반하는 곤충들도 혼동되어 자연 생태계의 변화에 중요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3)기후에 미치는 영향
성층권의 온도 분포는 성층권 오존에 의한 태양 복사의 흡수량과 대류권의 오존, 이산화 탄소 그리고 수증기 등에 의한 대기 복사의 배출량 사이에 복사 평형으로 유지되고 있다. 수치실험에 의하면 오존의 양이 15 % 감소할 때 약 40 km의 층에서의 오존 농도는 40 % 감소하며, 오존 감소량은 고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기온도 고도에 따라 10 까지 감소된다고 추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성층권의 온도 분포는 대기 대순환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성층권 오존 감소에 따른 온도 변화는 기존 대기 대순환을 바꾸게 하여 지구 기후도 달라지게 한다. 또한 성층권 오존층 파괴로 인한 지상의 자외선을 증가시킬 것이고, 그 결과 대류권의 오존량을 증가시켜 광화학 스모그의 발생을 촉진시킬 것이다.
(4) 오존층 파괴 방지를 위한 대책
오존층 파괴의 주범은 프레온가스이다. 그러므로 가장 단순한 대책은 프레온가스의 사용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UNEP는 1985년 비엔나에서 회의를 열고,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비엔나 협약"을 채택하였다. 이 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오존층 파괴물질에 대한 몬트리올 의정서"가 1987년 9월에 채택되었고 1989년 1월부터 발효되도록 정했다. 여기서 결의된 주요 사항은 프레온 가스를 1986년의 사용량으로 동결하고, 1999년까지는 소비량을 50%로 삭감하자는 결의가 있었다. 이후 헬싱키 회의(1989년), 런던회의(1990년) 등에 의해 보다 엄밀하게 규제하기를 합의한 결과 프레온 가스 5종, 할론 가스 3종 및 사염화탄소를 2000년부터는 전혀 생산하지 않기로 했으며, 메틸콜르로포름의 경우 2005년부터 전페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는 오존 발생 장치를 통하여 성층권에 오존을 보급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프레온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대체물질은 크게 HFC(Hydro Fluoro carbon)와 HCFC(Hydro Chloro Fluoro Carbon)로 나눌 수 있다. HFC는 염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다. HCFC는 종래의 프레온 가스 분자에 H를 첨가시킨 것으로 대류권에서 쉽게 파괴되어 오존의 농도가 높은 성층권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것도 염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비록 적지만 오존층 파괴능력이 있다(프레온 가스의 1/10). 또한 풀루오르의 증가 등으로 인한 다른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체물질의 개발은 모든 배출오염원에 대해서 적용이 가능하지만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개발 물질의 물리적인 평가 외에도 독성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전반적인 장기 검토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결론- 오존층파괴를 막기위해
기업에서는
하나, 오존층 파괴물질(이하 특정물질)의 사용장치와 설비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 및 조작방법, 주의사항 등의 작업요령을 작성하여 교육시킨다.
둘, 특정물질이 새어나오지는 않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때에는 즉시 보수 할 수 있도록 한다.
셋, 특정물질이 유출될 우려가 있는 설비를 사용한다.
넷, 대체물질을 많이 사용한다.
다섯, 사용업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특정물질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신속한 수리등의 대책을 수립하여 실시하며, 재사용이 불가능한 특정물질의 폐기시에는 관련법에서 규정하는 파괴의 기준 및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우리 모두 함께
하나, 헤어스프레이, 면도용 포말, 냉장고, 에어컨, 자동차, 소화기등을 사용할 때에는 설명서의 사용방법을 준수하고 함부로 해체하지 않는다.
둘, 위의 제품들을 수리할 때에는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는다.
셋, 되도록 환경마크가 붙어있는 제품을 사용한다.
넷, 가정에서 사용한 후 폐기되는 냉장고, 에어컨은 버릴 수 있는 날에만 버려서 일반 쓰레기와 같이 처리되지 않도록 한다.
참고문헌
http://ns.cnue.ac.kr/~jungle2/class/cheminlife/data_cheminlife/대기오염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2/12/02/D1150763.html
http://www.me.go.kr/women/2-2.htm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02&docid=68556
http://board.gangneung21.net/image/photo/pboard22/오존층파괴....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4.06.26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