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답을 기피해야 한다.
"맞았어요", 또는 "틀렸어요" 식으로만 반응하지 않는가?
(8) 참신한 아이디어를 칭찬해 줄 필요가 있다.
개성있는 참신한 반응을 환영한다는 것을 학생들이 알게 하라.
(9) 교사의 편견 배제
정답인지, 아닌지 그리고 좋은 의견인지 아닌지를 항상 교사인 당신이 판정하는 것은 아닌가? 를 항상 생각해야 한다.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기법
1.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설계
1) 귀납적 교수법
타바(H.Taba)는 초등학교 사회과에 관련된 학습지도 방법을 설계하였는데 중요한 단계로 ①개념형성 ②자료해석 ③원리적용으로 위계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다.
제시된 모형은 3차원으로 사고단위의 원천, 사고단위의 기능, 사고단위의 수준으로 구별하고 있다. 사고단위의 원천이란 사고행위가 누구에게서 어떻게 나왔는가를 의미하고 있으며. 사고단위의 기능은 상호작용 속에서 사고행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나타내고 있고, 사고단위의 수준은 인지과업의 세 단계인 개념형성, 자료해석, 원리의 적용을 나타내고 있다.
2) 창의적 기능 훈련법
영국의 Cognitive reserch trust 기관에서 보노(E.D.Bono) 등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사고한다는 것은 지각한다는 것이고, 지각하다는 것은 어떤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형태를 다루는 주의 집중이 필요하게 되고 주의 집중의 목표와 방향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이 학습방법은 다음의 여섯단계를 거친다.
(1) 문제사태를 넓게 보는 것이다.
(2) 문제사태를 다루기 위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사고하고 실천한다.
(3) 다른 의견에 대한 토론과 논쟁을 통해 창의력을 기른다.
(4)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을 위해 토론과 논쟁을 통해 창의력을 기른다.
(5) 필요한 아이디어의 여러 가지 정보를 나열하여 그 가치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본다.
(6) 문제에 대한 대안을 찾고 여러 가지 사례를 들어 사고의 폭을 넓혀 생각하는 단계 를 거친다.
이 학습의 설계과정에서 교사는 안내자 및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하며 계획적인 질문을 준비한다거나 대안적인 학습활동을 준비해야 하며 학생들의 기초문제 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지적능력의 배양이 선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률 외(1994), 아동발달과 학습, 서울: 교육출판사. 495∼500
이옥현(1997), 아동발달, 서울: 집문당. 358∼362
김동일 외(1999), 아동발달과 학습, 서울: 교육출판사. 104∼115
정환금, 아동의 창의력 신장 방안.
임선하, 창의성 교육을 하는 마음.
정종진, 창의성의 본질과 교과를 통한 창의성 교육.
장영주(1993),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창의성 계발을 위한 수업 방법, 한국교육평가원.
문정화 외 1인(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변순화외 1인 옮김(1999), 창의성을 내것으로, 서울: 학지사.
박화술(1993), 창조성 개발 기법, 서울: 학민사.
윤종건(1990), 창의력 -이론과 실제-, 서울: 정민사.
"맞았어요", 또는 "틀렸어요" 식으로만 반응하지 않는가?
(8) 참신한 아이디어를 칭찬해 줄 필요가 있다.
개성있는 참신한 반응을 환영한다는 것을 학생들이 알게 하라.
(9) 교사의 편견 배제
정답인지, 아닌지 그리고 좋은 의견인지 아닌지를 항상 교사인 당신이 판정하는 것은 아닌가? 를 항상 생각해야 한다.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기법
1.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설계
1) 귀납적 교수법
타바(H.Taba)는 초등학교 사회과에 관련된 학습지도 방법을 설계하였는데 중요한 단계로 ①개념형성 ②자료해석 ③원리적용으로 위계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다.
제시된 모형은 3차원으로 사고단위의 원천, 사고단위의 기능, 사고단위의 수준으로 구별하고 있다. 사고단위의 원천이란 사고행위가 누구에게서 어떻게 나왔는가를 의미하고 있으며. 사고단위의 기능은 상호작용 속에서 사고행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나타내고 있고, 사고단위의 수준은 인지과업의 세 단계인 개념형성, 자료해석, 원리의 적용을 나타내고 있다.
2) 창의적 기능 훈련법
영국의 Cognitive reserch trust 기관에서 보노(E.D.Bono) 등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사고한다는 것은 지각한다는 것이고, 지각하다는 것은 어떤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형태를 다루는 주의 집중이 필요하게 되고 주의 집중의 목표와 방향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이 학습방법은 다음의 여섯단계를 거친다.
(1) 문제사태를 넓게 보는 것이다.
(2) 문제사태를 다루기 위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사고하고 실천한다.
(3) 다른 의견에 대한 토론과 논쟁을 통해 창의력을 기른다.
(4)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을 위해 토론과 논쟁을 통해 창의력을 기른다.
(5) 필요한 아이디어의 여러 가지 정보를 나열하여 그 가치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본다.
(6) 문제에 대한 대안을 찾고 여러 가지 사례를 들어 사고의 폭을 넓혀 생각하는 단계 를 거친다.
이 학습의 설계과정에서 교사는 안내자 및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하며 계획적인 질문을 준비한다거나 대안적인 학습활동을 준비해야 하며 학생들의 기초문제 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지적능력의 배양이 선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률 외(1994), 아동발달과 학습, 서울: 교육출판사. 495∼500
이옥현(1997), 아동발달, 서울: 집문당. 358∼362
김동일 외(1999), 아동발달과 학습, 서울: 교육출판사. 104∼115
정환금, 아동의 창의력 신장 방안.
임선하, 창의성 교육을 하는 마음.
정종진, 창의성의 본질과 교과를 통한 창의성 교육.
장영주(1993),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창의성 계발을 위한 수업 방법, 한국교육평가원.
문정화 외 1인(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변순화외 1인 옮김(1999), 창의성을 내것으로, 서울: 학지사.
박화술(1993), 창조성 개발 기법, 서울: 학민사.
윤종건(1990), 창의력 -이론과 실제-, 서울: 정민사.
추천자료
바람직한 인성교육을 위해 아이들과 함께 만들어 가는 학급 교육과정
다중지능이론
8차교육과정
5학년 미술 교과서 사람들의 미적 체험 세안
제7차 교육과정에 있어서 확률 및 통계 영역의 특성과 적용
특수학교 교육과정(초등학교) 연간교육운영계획
7차교육과정에대하여, 7차교육과정과 6차교육과정의 차이점
교과교실(교과교육실, 교과교실제) 종류, 교과교실(교과교육실, 교과교실제) 특성, 교과교실(...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고등학교선택중심교육...
[교육학] 제 6, 7차 교육과정. 교과서 비교
평생교육의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자의 역할과 자질에 대해 논하시오.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5절.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 6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평생교육사는 왜 필요하며,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직무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