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 요 >
1. 서 론 …………………………………………………………………………………
2. 본 론 …………………………………………………………………………………
2.1. CRT (Cathode Ray Tube) ……………………………………………………
2.1.1. CRT의 소개 ……………………………………………………………………
2.1.2. CRT의 작동 원리 ……………………………………………………………
2.2. LCD (Liquid Crystal Display) ………………………………………………
2.2.1. LCD의 소개 ……………………………………………………………………
2.2.2. LCD의 작동 원리 ……………………………………………………………
2.2.3. LCD의 분류 ……………………………………………………………………
2.3. PDP (Plasma Display Panel) …………………………………………………
2.3.1. PDP의 소개 ……………………………………………………………………
2.3.2. PDP의 작동 원리 ……………………………………………………………
3. 결 론 …………………………………………………………………………………
4. 참 고 문 헌 …………………………………………………………………………
1. 서 론 …………………………………………………………………………………
2. 본 론 …………………………………………………………………………………
2.1. CRT (Cathode Ray Tube) ……………………………………………………
2.1.1. CRT의 소개 ……………………………………………………………………
2.1.2. CRT의 작동 원리 ……………………………………………………………
2.2. LCD (Liquid Crystal Display) ………………………………………………
2.2.1. LCD의 소개 ……………………………………………………………………
2.2.2. LCD의 작동 원리 ……………………………………………………………
2.2.3. LCD의 분류 ……………………………………………………………………
2.3. PDP (Plasma Display Panel) …………………………………………………
2.3.1. PDP의 소개 ……………………………………………………………………
2.3.2. PDP의 작동 원리 ……………………………………………………………
3. 결 론 …………………………………………………………………………………
4.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기 때문에 어떤 각도에서 바라봐도 깨끗하고 선명한 화질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초평면 화면이라는 것이다. CRT는 전자총을 발사하여 전자가 같은 거리를 가게 설계되어 있어서 브라운관이 곡면으로 휘어져 있다. PDP는 전자총 원리가 아닌 gas의 방전 원리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곡면이 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평면 화면에서 Display할 수 있고 따라서 영상 왜곡이 없다.
PDP는 사실 최근에 새로 개발된 Display 형식이 아니고 CRT가 발명될 시대에 같이 발명되었다. 하지만 CRT에 비해 너무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고, 그를 해결할만한 기술력이 부족하여 지금가지 방치되어 오다가 최근부터 다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1927년 단색 PDP가 발명되면서부터 PDP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1954년에 직류형 PDP가 발명되었고, 1964년 미국 일리노이대학에서 슬로토와 비츠 두 교수가 교류형 PDP를 발명하였다. 그 뒤 1970~1980년대에 LCD 개발의 붐이 일어나면서 PDP는 별로 각광을 받지 못하다가 1990년대부터 다시 개발되고 있다.
2.3.2. PDP의 작동 원리
PDP의 작동 원리는 plasma 상태와 방전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plasma 상태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물질은 크게 3가지 상태가 있는데 고체, 액체, 기체가 그것이다. 열을 가해주면 물질 입자의 에너지가 커져 고체에서 액체로, 그리고 기체로 변해간다. 그런데 기체에 더욱 열을 가해주면 기체가 이온 상태로 분리되게 된다. 전체적으로 중성이지만,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되어버린다. 이때를 plasma라고 한다.
Ibid., p.495.
PDP는 전극이 달려있는 유리판 사이에 이런 plasma 상태의 기체를 넣어서 이 기체를 방전시킨다. 주로 불활성 기체인 네온(Ne)이나 크세논(Xe) 기체를 사용한다.
방전 현상은 다음과 같이 일어난다. 유리판에 달려있는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면 전자의 에너지 전위가 전기 에너지를 받아서 들뜨게 된다. 에너지가 높은 전자의 전위가 내려가면서 자외선을 발사한다. 그 자외선이 적, 녹, 청의 형광 물질을 발광시키면 이 3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시광선이 발사된다. 우리가 보는 것은 이 가시광선의 조합체인 것이다.
3. 결 론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형태의 발전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처음 발명한 것은 시기가 그리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그 때의 기술력과 경제력 여건에 따라 각광받던 디스플레이의 종류가 차이가 났던 것이다. 처음에는 CRT 디스플레이가 제일 많이 개발되었다. CRT는 가장 간단한 형태인 흑백 CRT에서 칼라 CRT 순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리고 나서 LCD와 PDP가 주목을 받았는데, 둘 중에 비교적 휴대가 간편한 LCD가 먼저 개발되어 지금 많이 쓰이는 편이다. 그리고 PDP는 현재 많이 쓰이지 않고 있지만 미래에 점점 해상도가 좋아지면서 규모가 점점 축소되는 방향으로 개발될 것이다.
4. 참고 문헌
백낙선, LCD의 기초와 응용, 겸지사, 2003.
Oxtoby david W. · Gillis H.P. · Nachtrieb Norman H., Modern Chemistry 5th., Singapore:Thomson, 2002.
Serway, Raymod A. · Jewett, John W., Principle of Physics 3rd., Singapore:Thomson, 2002.
http://www.happynzine.com/old/wafer/CRT.htm
http://www.orionplasma.co.kr
http://www.samsungsdi.co.kr
또 다른 장점은 초평면 화면이라는 것이다. CRT는 전자총을 발사하여 전자가 같은 거리를 가게 설계되어 있어서 브라운관이 곡면으로 휘어져 있다. PDP는 전자총 원리가 아닌 gas의 방전 원리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곡면이 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평면 화면에서 Display할 수 있고 따라서 영상 왜곡이 없다.
PDP는 사실 최근에 새로 개발된 Display 형식이 아니고 CRT가 발명될 시대에 같이 발명되었다. 하지만 CRT에 비해 너무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고, 그를 해결할만한 기술력이 부족하여 지금가지 방치되어 오다가 최근부터 다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1927년 단색 PDP가 발명되면서부터 PDP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1954년에 직류형 PDP가 발명되었고, 1964년 미국 일리노이대학에서 슬로토와 비츠 두 교수가 교류형 PDP를 발명하였다. 그 뒤 1970~1980년대에 LCD 개발의 붐이 일어나면서 PDP는 별로 각광을 받지 못하다가 1990년대부터 다시 개발되고 있다.
2.3.2. PDP의 작동 원리
PDP의 작동 원리는 plasma 상태와 방전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plasma 상태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물질은 크게 3가지 상태가 있는데 고체, 액체, 기체가 그것이다. 열을 가해주면 물질 입자의 에너지가 커져 고체에서 액체로, 그리고 기체로 변해간다. 그런데 기체에 더욱 열을 가해주면 기체가 이온 상태로 분리되게 된다. 전체적으로 중성이지만,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되어버린다. 이때를 plasma라고 한다.
Ibid., p.495.
PDP는 전극이 달려있는 유리판 사이에 이런 plasma 상태의 기체를 넣어서 이 기체를 방전시킨다. 주로 불활성 기체인 네온(Ne)이나 크세논(Xe) 기체를 사용한다.
방전 현상은 다음과 같이 일어난다. 유리판에 달려있는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면 전자의 에너지 전위가 전기 에너지를 받아서 들뜨게 된다. 에너지가 높은 전자의 전위가 내려가면서 자외선을 발사한다. 그 자외선이 적, 녹, 청의 형광 물질을 발광시키면 이 3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시광선이 발사된다. 우리가 보는 것은 이 가시광선의 조합체인 것이다.
3. 결 론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형태의 발전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처음 발명한 것은 시기가 그리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그 때의 기술력과 경제력 여건에 따라 각광받던 디스플레이의 종류가 차이가 났던 것이다. 처음에는 CRT 디스플레이가 제일 많이 개발되었다. CRT는 가장 간단한 형태인 흑백 CRT에서 칼라 CRT 순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리고 나서 LCD와 PDP가 주목을 받았는데, 둘 중에 비교적 휴대가 간편한 LCD가 먼저 개발되어 지금 많이 쓰이는 편이다. 그리고 PDP는 현재 많이 쓰이지 않고 있지만 미래에 점점 해상도가 좋아지면서 규모가 점점 축소되는 방향으로 개발될 것이다.
4. 참고 문헌
백낙선, LCD의 기초와 응용, 겸지사, 2003.
Oxtoby david W. · Gillis H.P. · Nachtrieb Norman H., Modern Chemistry 5th., Singapore:Thomson, 2002.
Serway, Raymod A. · Jewett, John W., Principle of Physics 3rd., Singapore:Thomson, 2002.
http://www.happynzine.com/old/wafer/CRT.htm
http://www.orionplasma.co.kr
http://www.samsungsdi.co.kr
키워드
추천자료
삼성SDI 기업(경제 산업)분석
삼성SDI 분석
LG전자 독일진출(PDP, 냉장고)-성과,마케팅분석,앞으로의전략적 과정
함수발생기 오실로 스코프 및 주파수 카운터의 사용
SEM(전자현미경)실험 예비보고서
물리결과보고서(오실로스코프 사용법)
[공학실험]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전압과 파형측정 실험 예비, 결과 레포트
터치 스크린
디지털 기술과 방송통신기술 발달로 파생되는 산업구조분석
삼성 SDI 기업경영 시스템 연구 보고서
삼성 SDI 기업경영 시스템 분석
프로젝트 명 : 공용화장실 사용자표시 및 환풍기 시스템
12개 질문 과제 줄인것..
ATMEGA128, CO센서를 이용한 정화기 프로젝트,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