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드서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윈드서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윈드서핑의 유래

2. 윈드서핑의 기본규칙

3. 윈드서핑의 기본예의

4. 안전수칙

5. 윈드서핑 기본이론

6. 해상규칙

7. 윈드서핑 기초

8. 윈드서핑 각 부분의 명칭

본문내용

세일은 큰 힘이 나오지만 무거워서 조작하기가 어렵다. 또한 반응을 예측하기 어렵고 순조롭게 움직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주름을 없앤다
세일에 작은 여러개의 가로 주름이 생겼을 때는 다운 홀 라인의 팽창정도가 부족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마스트 베이스를 발로 누르면서 힘을 주어 끌어 당겨야 한다.
또 세일에 세로 주름이 생겼을 때는 팽창 정도가 충분한 것이고, 붐 엔드에서 가로 주름이 생기는 것은 아웃 홀 라인이 너무 팽팽한 것이다.
해상규칙
- 스타보드정 우선권
스타보드 택이란 마스트 핸드(마스트에 가까운 손)가 오른손 상태로 세일링하는 것이고 이 반대는 포트 택이라한다. 포트 정은 스타보드 택과 충돌하려고 하는 경우 러프 시키거나 태킹하던가 해서 스타보드택을 피해야 한다. Starboard 라는 말은 과거 요트의 우현에는 항상 선장이나 귀족들이 사용을 하였고 좌현에는 노예라든가 주방 거실 등 하찮은 것들이 위치해 있었다. 그래서 그 당시에는 배의 우현을 Steering Wheel Board Side 라 했고 좌현을 Lar Board Side 라 했었다. 두 말 모두 변해져서 지금의 Starboard, Port 가 된 것이다.
- 선행하는 정 우선권
뒤 따르는 정은 오버랩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선행하는 정을 피해야만 한다.
- 순방향의 정 우선권
역풍쪽에 있는 정은 오버랩이 된 상태에서 순풍 쪽에 있는 정을 피해야만 한다.
윈드서핑 기초
<<출발전>>
2.양발의 간격을 같게하고, 양발을 어깨넓이로 벌린다음, 보드와 마스트가 직각 이되게 하여 양다리를 같게 구부려서 세일 을 서서히 일으킨다
1.승선시 보드의 중앙으로 오른다
4.세일과 자기몸이 "V"자가 되도록 하여 밸런스를 유지한다.
3.세일을 물에서 뜨게하고, 보드와 세일이 직각이 되도록 유지한다
<<출발>>
1.뒷손으로 끈을 잡는다.
2.앞손을 뒷손 위로 넘겨서 붐을 잡는다.
3.뒷손으로 붐을 마저 잡는다.
4.보드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시선을향하고 세일링 한다.
순풍을 향한 세일링
세일은 바람을 향해서곧바로 가는 것이 아니라 바람을 옆으로 받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바람이 불어가는쪽으로 세일링할 때는 세일의 옆으로 작용하는 힘이 없고 균형을 이루지도 못하므로지금까지와는 다른 스탠스가 필요한다.
■ 1단계 _ 윈드어빔
먼저 바람을 옆으로 받아 윈드어빔으로 달리기 시작한다. 새로운 기술의 연습에들어가기 전에 스탠스는 문제가 없는지 점검한다.
■ 2단계 _ 회전한다
리그를 앞으로 기울이면 보드의 머리부분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회전한다.
- 리그
리그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당기면서 회전을 시작한다. 무릎을 구부리고 중심을 낮추어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한다.
- 세일을 연다
리그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 앞으로 기울인채 회전을 계속한다. 회전함에 따라 천천히 세일이 열린다.
■ 3단계 _ 힘을 뺀다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계속 회전해 가면 세일의 힘이 급격히 줄어든다. 이때 팔의 힘을 뺀다.
- 손의 이동
회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붐을 잡은 손을 조금 뒤로 치울 필요가 있다.
- 체중
세일의 힘이 없어지므로 체중은 보드의 센터라인 위에 둔다.
- 스탠스
앞발을 뒷발 쪽으로 이동한다. 발끝을 조금 밖으로 돌리는 편이 보드를 조절하기 쉽다. 두 발은 센터란인을 끼고 양쪽에 둔다.
■ 4단계 _ 러닝
보드가 회전하면 바람이 등뒤에서 불어온다. 이것이 순풍쪽으로 달리는 러닝이다.
- 세일
세일은 보드와 직각이 되게 당기고 있는다.
- 자세
등은 똑바로 펴고 무릎은 약간 구부린다. 몸의 중심은 센터라인 위에 둔다. 뒤에서 바람이 불어오므로 옆으로 움직일 힘이 없다.
- 발의 위치
세터라인을 중심으로 양발은 등거리에 놓고 체중을 균등하게 실리게 한다.
■ 5단계 _ 우측으로 회전러닝 중 보드의 방향으로 바꾸려면 또 다른 테크닉이 필요하다.
- 좌측으로 기울인다.
리그를 왼쪽으로 기울이면 보드의 머리 부분은 오른쪽으로 회전한다. 이때 중심을 왼발에 둠으로써 회전을 돕는다. 리그가 왼쪽으로 휙하고 움직이기 때문에 저절로 이렇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아래 그림은 세일을 죄측으로 기울인 경우이다.
- 우측으로 기울인다.
리그를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보드의 머리부분은 왼쪽으로 회전한다. 이때 보드의 오른쪽 끝에 체중을 실으면 회전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왼발은 중심이 가지않도록 뒤꿈치를 약간 들어준다.
이후부터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을 하면서 회전을 반복하며 목표물까지 간다.
윈드서핑 각 부분의 명칭
1. Tail or stern 보드의 뒷부분.
2. Nose or bow 보드의 앞부분.
3. Skeg or fin 보드 뒷부분에 장착하여 직진을 위한 장치(fin)
4. Daggerboard. 보드의 횡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5. Footstraps. 발걸이
6. Mast foot well or sliding mast track. 쪼인트를 앞뒤로 이동하기 위하여 만든 길
7. Mast. 세일을 세우는 장대.
8. universal joint. 보드와 세일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쇠
9. Boom. 조정간(핸들, 액셀레이터, 브레이크의 역활)
10. Sail clew. Boom과 연결되는 세일의 후미끝.
11. Outhaul-line. Boom의 끝에서 세일을 잡아당기는 끈.
12. Boom front. Boom의 전방.
13. Inhaul. Boom을 마스트와 연결하기 위한장치(구형)
14. Uphaul-line. 세일을 바로 세우기위해 잡아 당기는 끈.
15. Shock-cord. uphaul-line과 Sail의 전방 하단부 Tack을 연결하는 끈.
16. Downhaul-line. Sail의 전방 하단부와 마스트를 연결, Sail을 아래로 잡아당기는 끈.
17. Battens. 세일의 너플 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끼우는 쫄대.
18. Leech of sail. 세일의 가장자리 끝.
19. Foot of sail. 세일의 밑부분.
20. Luff of sail 세일의 앞부분.
21. Mast sleeve. 세일 앞쪽 마스트를 끼우는 부분.
22. Head of sail. 세일의 머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6.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