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HRD의 필요성
Ⅱ. 본론
1. HRD의 정의와 활동 및 내용 영역
2. HRD의 구성요소
3 .한국의 HRD 상황과 실제사례 인터뷰
Ⅲ.결론
1. 향후 HRD에 대한 Trends
2. HRD 전망과 시사점
1.HRD의 필요성
Ⅱ. 본론
1. HRD의 정의와 활동 및 내용 영역
2. HRD의 구성요소
3 .한국의 HRD 상황과 실제사례 인터뷰
Ⅲ.결론
1. 향후 HRD에 대한 Trends
2. HRD 전망과 시사점
본문내용
쳐 있어 거의 교육의 효과를 느끼지 못했다.
④ 다른 사원들의 반응은?
다른 사원들 역시 교육에 따른 효과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듯 했고 바쁜 업무 때문에 레포트 제출에 관한 압박감 때문에 오히려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대부분 사람들의 비슷한 반응이었다.
⑤ 사원 교육에 관한 개선점은?
이런 방식이라면 차라리 안하는 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며, 앞으로 교육이 지속 된다면 리더쉽과 같이 그 효과와 평가를 측정할 수도 없고 부담만 대는 상투적인 주제 보다는 실제 업무와 연동할 수 있는 업무 관련 지식이나 실제 생활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취미활동과 같은 교육 컨텐츠가 제공 되었으면 좋겠다.
또 원격 교육이나 웹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성이 용이한 방법이 필요한 것 같다. 특히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업무 시간에 교육을 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업무 외 시간 교육을 보장하고 그에 따른 시간 외 수당 지급과 같은 인센티브가 주어지지 않는 다면 교육이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한다.
Ⅲ.결론
지금 까지 HRD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RD는 미래의 기업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아직 한국에서는 학문적 연구와 현실적 적용이 미비함을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난 2003년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ASTD 2003 International Conference 결과를 통해 향후 HRD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전망해보도록 하겠다.
1. 향후 HRD에 대한 Trends
① 학습과 비즈니스 전략과의 통합
② Training to Performance(Consulting)
- 어떻게 성과를 창출할 것인지, 그리고 성과창출 촉진 및 방해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
고 적절한 처방전을 강구하는 컨설턴트로의 역할 변신이 요구
③ e-Learning의 급신장과 가속화
- 단순히 교육훈련 전략 및 방법의 일환이라는 수준을 넘어서서 비즈니스 전략, 핵심역량,
지식경영과 연동되어 개인 및 조직성과를 창출하는 전략적 대안의 하 나로 자리 매김
④ Leadership Development & Coaching
- 리더십은 단기 집중적 Training을 통해서 육성되기보다는 업무와 연계된 중장기적
Development를 통해서 능력육성이 가능하고, 특히 Mentoring이나 Coaching을 통해서
리더가 보유하고 있는 암묵적 노하우를 전수하고 공유하는 헌신적 몰입이 전제될 때 리
더십 개발이 가능
⑤ 다양성(Diversity)의 중요성 부각
- 다양성은 창조적 상상력 발동의 원동력이며 보다 역동적인 학습활동이 발생할 수 있는
전제조건으로 작용
2. HRD 전망과 시사점
① 경영전략과 연계된 HRD 추진
"기능에서 전략으로"
- 교육을 위한 Event성 교육을 지양하고 조직의 長期 전략
실행을 위한 경영프로세스의 하나로서, 경영전략에서 Break Down된 경영활동의 일부로
서 자리매김
"경영과 인사 그리고 교육의 상호 연계"
- 기업의 경영방침 등 경영전략을 철저하게 전방위에서 Back-up 하는 인재양성체계 수
립 및 프로그램 개발
② e-Learning의 가속화와 전략적 활용
- 인재양성체계 내에서 Cyber교육체계 재정립
: Online 교육과 Offline 교육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효과적인 Blended Learning 전략 수립 및 적용
: 각각의 교육방식의 강점을 결합한 Blending 전략 수립
철저하게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Blended Learning 시행
③ 성과에 기여하는 교육중심으로 재편
- 경영 니즈에서 출발한 교육 운영
: 교육 후 경영성과 기여도에 대한 철저한 평가
- 현장의 성과개선과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방식 적용
: Action Learning, Case Study, 시뮬레이션 등
④ Global 시대에 맞는 Global Contents 강화
- Global시대가 요구하는 다양성(Global Diversity) 강조
- 여성인력, 신세대 및 새로운 가치관에 부합하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
- Global Literacy 개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방식 적용과 글로벌 교육 강화
⑤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교육
- 기업의 핵심가치(Shared Value)를 공유하는 교육 강화
: 기업문화 전파의 구심점 역할 수행
- 경영혁신 기법의 교육 적용
: 교육 품질 향상, 경영성과 제고 등
- 변화 주도적 기업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의 지속적 운영
: 변화관리, 자기혁신, 조직개발 등
④ 다른 사원들의 반응은?
다른 사원들 역시 교육에 따른 효과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듯 했고 바쁜 업무 때문에 레포트 제출에 관한 압박감 때문에 오히려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대부분 사람들의 비슷한 반응이었다.
⑤ 사원 교육에 관한 개선점은?
이런 방식이라면 차라리 안하는 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며, 앞으로 교육이 지속 된다면 리더쉽과 같이 그 효과와 평가를 측정할 수도 없고 부담만 대는 상투적인 주제 보다는 실제 업무와 연동할 수 있는 업무 관련 지식이나 실제 생활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취미활동과 같은 교육 컨텐츠가 제공 되었으면 좋겠다.
또 원격 교육이나 웹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성이 용이한 방법이 필요한 것 같다. 특히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업무 시간에 교육을 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업무 외 시간 교육을 보장하고 그에 따른 시간 외 수당 지급과 같은 인센티브가 주어지지 않는 다면 교육이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한다.
Ⅲ.결론
지금 까지 HRD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HRD는 미래의 기업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아직 한국에서는 학문적 연구와 현실적 적용이 미비함을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난 2003년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ASTD 2003 International Conference 결과를 통해 향후 HRD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전망해보도록 하겠다.
1. 향후 HRD에 대한 Trends
① 학습과 비즈니스 전략과의 통합
② Training to Performance(Consulting)
- 어떻게 성과를 창출할 것인지, 그리고 성과창출 촉진 및 방해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
고 적절한 처방전을 강구하는 컨설턴트로의 역할 변신이 요구
③ e-Learning의 급신장과 가속화
- 단순히 교육훈련 전략 및 방법의 일환이라는 수준을 넘어서서 비즈니스 전략, 핵심역량,
지식경영과 연동되어 개인 및 조직성과를 창출하는 전략적 대안의 하 나로 자리 매김
④ Leadership Development & Coaching
- 리더십은 단기 집중적 Training을 통해서 육성되기보다는 업무와 연계된 중장기적
Development를 통해서 능력육성이 가능하고, 특히 Mentoring이나 Coaching을 통해서
리더가 보유하고 있는 암묵적 노하우를 전수하고 공유하는 헌신적 몰입이 전제될 때 리
더십 개발이 가능
⑤ 다양성(Diversity)의 중요성 부각
- 다양성은 창조적 상상력 발동의 원동력이며 보다 역동적인 학습활동이 발생할 수 있는
전제조건으로 작용
2. HRD 전망과 시사점
① 경영전략과 연계된 HRD 추진
"기능에서 전략으로"
- 교육을 위한 Event성 교육을 지양하고 조직의 長期 전략
실행을 위한 경영프로세스의 하나로서, 경영전략에서 Break Down된 경영활동의 일부로
서 자리매김
"경영과 인사 그리고 교육의 상호 연계"
- 기업의 경영방침 등 경영전략을 철저하게 전방위에서 Back-up 하는 인재양성체계 수
립 및 프로그램 개발
② e-Learning의 가속화와 전략적 활용
- 인재양성체계 내에서 Cyber교육체계 재정립
: Online 교육과 Offline 교육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효과적인 Blended Learning 전략 수립 및 적용
: 각각의 교육방식의 강점을 결합한 Blending 전략 수립
철저하게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Blended Learning 시행
③ 성과에 기여하는 교육중심으로 재편
- 경영 니즈에서 출발한 교육 운영
: 교육 후 경영성과 기여도에 대한 철저한 평가
- 현장의 성과개선과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방식 적용
: Action Learning, Case Study, 시뮬레이션 등
④ Global 시대에 맞는 Global Contents 강화
- Global시대가 요구하는 다양성(Global Diversity) 강조
- 여성인력, 신세대 및 새로운 가치관에 부합하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
- Global Literacy 개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방식 적용과 글로벌 교육 강화
⑤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교육
- 기업의 핵심가치(Shared Value)를 공유하는 교육 강화
: 기업문화 전파의 구심점 역할 수행
- 경영혁신 기법의 교육 적용
: 교육 품질 향상, 경영성과 제고 등
- 변화 주도적 기업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의 지속적 운영
: 변화관리, 자기혁신, 조직개발 등
추천자료
HRD교육 기획 운영의 이해
HRD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논문 요약 자료
[여성HRD]여성인적자원개발(여성HRD)의 중요성, 여성인적자원개발(여성HRD)의 실태, 여성인적...
[HRD]인적자원개발(HRD)의 의미와 특성, 인적자원개발(HRD)의 중요성, 인적자원개발(HRD)의 ...
[HRD 부서][인적자원개발 부서]HRD(인적자원개발)부서의 필요성, HRD(인적자원개발)부서의 역...
HRD(인적자원개발)의 의의와 유형, HRD(인적자원개발)의 필요성, HRD(인적자원개발)의 활동영...
[기업교육]기업교육의 의의, 기업교육의 제도적 기반, 기업교육과 HRD(인적자원개발), 기업교...
[기업인적자원개발][기업HRD]인적자원개발(HRD)의 개념, 인적자원개발(HRD)의 필요성, 기업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