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언어학의 발전과정과 응용 언어학
2. 응용언어학의 종류 및 향후 연구방향
① 사회언어학 [ 社會言語學, sociolinguistics ]
②심리언어학 [ 心理言語學, Psycholinguistics ]
③언어인류학 [ 言語人類學, linguistic anthropology ]
④언어철학 [ 言語哲學, philosophy of language ]
⑤수리언어학 [ 數理言語學, mathematical linguistics ]
맺음말
1. 언어학의 발전과정과 응용 언어학
2. 응용언어학의 종류 및 향후 연구방향
① 사회언어학 [ 社會言語學, sociolinguistics ]
②심리언어학 [ 心理言語學, Psycholinguistics ]
③언어인류학 [ 言語人類學, linguistic anthropology ]
④언어철학 [ 言語哲學, philosophy of language ]
⑤수리언어학 [ 數理言語學, mathematical linguistics ]
맺음말
본문내용
리적 경험론(logical empiricism)은 언어비판에 의한 형이상학의 거부를 주제로 하며, 옥스퍼드의 일상언어철학(ordinary language philosophy) 유파는 언어학과 마찬가지로 일상어의 관찰 ·분석에 의한 사고(思考)의 해방을 주제로 삼는다.
언어의 철학(philosophy of language)은 보다 일반적인 입장에서 언어의 본질과 기능을 문제로 삼는데, 처음에는 언어의 기원 ·발달이 주제였으나 최근에는 언어와 사상, 언어와 사물 등의 의미문제가 주제이다. 그리하여 언어의 철학은 의미학(semantics) 및 기호 ·상징의 이론과 연관을 가진다.
언어학의 철학(philosophy of linguistics)은 과학철학의 한 부문으로 언어연구의 이론 ·방법 ·실천의 음미(吟味)를 주제로 한다.
⑤수리언어학 [ 數理言語學, mathematical linguistics ]
수학의 방법론과 이론을 응용한 언어 연구의 한 분야.
다음과 같은 분야가 있으며 20세기에 급속히 연구가 진전되었다. 통계나 확률의 방법을 이용한 것. 언어연대학(言語年代學)이 여기에 포함된다. 정보이론을 응용하여, 언어가 전달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상태를 탐구하는 일. 언어의 구조를 형식화하여 기계번역(機械펌譯)에 그것을 응용하는 일. 언어의 의미를 집합이론을 근거로 하여 형식화하는 일 등이 있으며 특히 이 분야는 최근에 형식의미론(形式意味論)이라는 이름으로 급격히 발전되고 있다.
맺음말
언어학은 포괄적인 의미에서 볼 때 언어와의 관계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라고 규정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언어란 본질적으로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언어학이란 그 범위가 매우 넓은 학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언어학의 연구 방식이 거시적 또는 미시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데서도 잘 드러난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인류언어학 ·언어철학 ·수리언어학 등등 언어는 여러 분야에 걸쳐 응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그 구체적인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면에서 볼 때 언어학은 교육에 있어서 언어의 본질과 언어를 연구하는 방법을 재정립해 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과거 주된 관심의 대상이었던 언어 능력에 대한 강조를 벗어나서 여러 분야의 언어 사용 능력이라는 점으로 관심을 전환 또는 확대시켜 주었다는 것은 언어교육의 시각에서 볼 때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언어교육은 지금까지는 학문적 체계의 수립 과정이었다면 이제는 학문적 체계의 정교화 과정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학문적 도약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접근 방식을 토대로, 언어교육 본연의 목적에 따른 체계를 수립하고 이에 따른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그 해결 방식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언어심리학이 언어교육의 체계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렇지만 이제는 언어 심리학적인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언어와 사회, 그리고 교육이라는 관점으로 언어교육의 시각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언어의 철학(philosophy of language)은 보다 일반적인 입장에서 언어의 본질과 기능을 문제로 삼는데, 처음에는 언어의 기원 ·발달이 주제였으나 최근에는 언어와 사상, 언어와 사물 등의 의미문제가 주제이다. 그리하여 언어의 철학은 의미학(semantics) 및 기호 ·상징의 이론과 연관을 가진다.
언어학의 철학(philosophy of linguistics)은 과학철학의 한 부문으로 언어연구의 이론 ·방법 ·실천의 음미(吟味)를 주제로 한다.
⑤수리언어학 [ 數理言語學, mathematical linguistics ]
수학의 방법론과 이론을 응용한 언어 연구의 한 분야.
다음과 같은 분야가 있으며 20세기에 급속히 연구가 진전되었다. 통계나 확률의 방법을 이용한 것. 언어연대학(言語年代學)이 여기에 포함된다. 정보이론을 응용하여, 언어가 전달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상태를 탐구하는 일. 언어의 구조를 형식화하여 기계번역(機械펌譯)에 그것을 응용하는 일. 언어의 의미를 집합이론을 근거로 하여 형식화하는 일 등이 있으며 특히 이 분야는 최근에 형식의미론(形式意味論)이라는 이름으로 급격히 발전되고 있다.
맺음말
언어학은 포괄적인 의미에서 볼 때 언어와의 관계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라고 규정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언어란 본질적으로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언어학이란 그 범위가 매우 넓은 학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언어학의 연구 방식이 거시적 또는 미시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데서도 잘 드러난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인류언어학 ·언어철학 ·수리언어학 등등 언어는 여러 분야에 걸쳐 응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그 구체적인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면에서 볼 때 언어학은 교육에 있어서 언어의 본질과 언어를 연구하는 방법을 재정립해 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과거 주된 관심의 대상이었던 언어 능력에 대한 강조를 벗어나서 여러 분야의 언어 사용 능력이라는 점으로 관심을 전환 또는 확대시켜 주었다는 것은 언어교육의 시각에서 볼 때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언어교육은 지금까지는 학문적 체계의 수립 과정이었다면 이제는 학문적 체계의 정교화 과정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학문적 도약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접근 방식을 토대로, 언어교육 본연의 목적에 따른 체계를 수립하고 이에 따른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그 해결 방식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언어심리학이 언어교육의 체계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렇지만 이제는 언어 심리학적인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언어와 사회, 그리고 교육이라는 관점으로 언어교육의 시각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추천자료
언어학 혹은 기호학에서의 만화의 특성
[언어학] 동물의 언어
[방송언어학] 방송 언어의 특성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영어학의이해) 통사론 의미론 형태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중국언어학 기초의 중국어 학습방법
<춘망(春望)>의 언어학적·문학적 분석 자료, 두시언해 해제, 문학적 분석, 언어학적 분석
언어학 중심으로 감상한 <오아시스 (Oasis)>
[영어문법/요약정리] 원서`Contemporary Linguistic Analysis`의 Chapter 12. Psycholinguist...
[영어문법/요약정리] 원서`Contemporary Linguistic Analysis`의 Chapter 12. Psycholinguist...
사회언어학적 현상에 대한 연구 - 카카오톡(Kakaotalk) 언어를 중심으로 (카오톡 언어의 특수...
[언어학개론] Q.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언어학]남북한 언어의이해
대조언어학)외국인이 자주 범하는 한국어 시제상의 오류와 이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