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질투 관점에따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랑과 질투 관점에따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사랑의 궁극적 목표는 재생산의 최대화?

2.사랑의 행위, 하위 목표, 궁극적 목표

3.남자의 질투와 여자의 질투가 다르다!

본문내용

기가 자녀의 부모라는 것을 완전히 확신할 수 있다. 그러나 자녀의 생존은 남성이 부모로서 자녀에게 자원, 에너지, 책임을 투자하느냐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여성은 남자의 흥미를 끌고 남자의 자원을 보유하는데 관심을 갖게 되고 따라서 다른 여자들과의 정서적 관여에 가장 신경을 쓰게 된다.
실험) 남성과 여성들에게 파트너가 다른 사람과 바람피는 것을 상상하게 함->생리적 각성과 화를 측정->남자들은 파트너의 성적 부정을 상상할 때 더 생리적으로 각성되고 화를 더 내었던 반면 여자들은 파트너가 정신적으로 다른 여자를 좋아하고 있다고 상상할 때 더 생리적으로 각성되고 화를 더 내었음.
한편 학습이론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남성과 여성들은 사회 속에서 성적 부정과 정서적 부정의 관계성에 대해 다르게 학습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여자들은 남자들이 종종 사랑없이도 성행위를 한다고 믿지만 일단 남자가 사랑에 빠지면 거의 십중팔구 사랑에 빠진 여자와 잔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남자의 정서적 부정은 곧 성적 부정을 의미하는 것이 되므로 여자들은 남자의 정서적 부정에 가장 큰 질투를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남자는 여자들은 남자와 잠을 자지 않더라도 종종 사랑에 빠지지만 일단 여자가 성관계를 했다면 십중팔구 그것은 곧 그 여자가 성관계를 한 남자와 사랑에 빠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여자의 성적 부정은 곧 정서적 부정을 의미하는 것이 되므로 남자들은 여자의 성적 부정에 가장 큰 질투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 조사 결과->남자들은 여자들이 성관계를 가지는 것은 사랑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여자들은 남자들이 사랑을 하면 거의 틀림없이 성관계를 가지리라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음->이는 진화된 특성이라기보다는 사회문화적 학습의 결과
이에 대한 또다른 진화론적 관점은 다음과 같다.
; 남자나 여자나 종의 보존, 특히 자녀 생산과 보호에 힘쓴다. 종족 보존을 위해서는 남자들의 경우 관여하거나 책임지지 않고 성관계를 해야 가장 이롭다. 따라서 남자들은 성관계를 가질 파트너의 수와 성관계의 빈도에 신경을 쓰게 된다. 한편 여자들은 자녀를 키우는 막중한 의무를 지고 있기 때문에 책임, 정서적 관여와 같은 장기적 것에 신경을 쓰고 파트너를 선택할 때도 남자에 비해 더 까다로운 경향이 있다.
연구1) "정신적으로 사랑하지 않는 사람과 일정기간 잔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남자들은 75%가 그렇다고 대답한 반면 여자들은 37%만이 그렇다고 대답하였음.
연구2) 매력적인 남자로 하여금 술집에서 여자들에게 접근하게 하고 매력적인 여자로 하여금 남자들에 접근하게 함->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게 함: "오늘밤 저와 데이트 하실래요?", "오늘밤 우리집에 가보실래요?", "오늘밤 우리 함께 잘래요?"->질문1에는 남녀 각각 50%가 동의, 질문2에는 여자의 6%, 남자의 69%가 그러겠다고 대답, 질문3에는 여자의 0%, 남자의 75%가 그러자고 대답
; 이 연구결과는 진화론적 설명과 일치한다(그러나 진화론적 설명을 지지하는 증거로 볼 수는 없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7.0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