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압병(decompression sickness) 이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압병(decompression sickness) 이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감압병이란?

2.원인

3.증세 및 증상
-감압병 증세
-감압병의 종류
※ 감압병의 유형(type)

4. 응급 처치 및 처방
-감압병의 치료
-대처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어떠한 병이나 마찬가지이지만 치료는 빠를수록 좋은 것이며 그만큼 쾌유도 빠르다. 감압병의 진단은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므로 걱정을 안고 있는 것보다 정확한 진단을 기다리는 편이 좋다. 그 정확한 진단에 의해 적절한 치료를 받게 되면 거의 모든 경우에 있어 후유증 없이 완치되어진다. 단, 한가지 조심해야할 점은 다이빙에 관한 지식이 있는 의사의 진단을 필요로 한다는 점으로, 다이빙에 관해 전혀 지식이 없는 의사의 경우 오진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대처 - 산소 호흡, 재압 챔버
역시
예방이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깊은 수심에서 오래 동안 잠수하고, 빠른 상승을 하는 것은 감압병의 위험을 극도로 높인다. 따라서 스포츠 다이빙에서 권고하는 안
환자에 대한 산소공급 재압챔버
전 수심 이내에서 무감압 한계 시간 이내에 다이빙을 마치고, 안전한 속도로 상승을 하여야 한다.
탈수, 피로 등은 벤즈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들이므로, 항상 신체, 정신적으로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며, 충분하게 수분을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신체적인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다이빙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즈가 발생한 상태의 응급 처치로는 산소 호흡이 도움이 된다. 가벼운 증세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지기도 한다. 증상이 심할 경우 재압 챔버(Recompression Chamber)로 후송하여 즉시 재압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심한 증세의 경우, 얼마나 신속하게 재압 챔버 치료를 받았는가가 원상 회복의 중요한 관건이 된다. 재래적인 방법으로 환자를 다시 잠수시켜 감압을 하기도 하는데, 의식을 잃을 가능성과 저체온증 등 여러 가지 위험성이 높은 방법이다.
5. 참고문헌
http://bbs.neuro.or.kr/space/journal/2001/200104015.pdf
http://goplus.co.kr/scubaplus/contents/sb2/w3008.asp
http://www.leisureinfo.com/lei_lowpage/scuba_025.asp
1. Rosen: Emergency medicine-concept and clinical practice, 1998, 338-339, 1022-1031.
2. Tintinalli: Emergency medicine-A Comprehensive study guide, 1999, 1269-1278.
3. 김희덕: Diving medicine, 1998, 2nd ed.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02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1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