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사례연구(Klatskin tumor)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졸음, 설염, 입술건조증 등
◈ 우루사정(Ursodeoxycholic acid 100mg)
·약효 분류: Cholelitholitic & Hepatic Protector
·효능 효과: 담즙분비부전으로 오는 간질환, 담도(담관, 담낭)계 질환, 만성 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고지혈증, 담석증, 소장절제 후유증 및 염증성 소장질환의 소화불량
·용법 용량: 1회 50~100mgTlr 1일 3회 복용
담석증-1회 200mg씩 1일 3회 복용
·주의 금기: 급성 간염, 담도 폐색증 환자, 심한 췌장질환, 소화성 궤양, 담관담석증
·부작용: 피부소양감, 구토, 오심, 설사, 연변
Ⅱ. 간호 진단
◈ 오심, 구토, 섭취감소와 관련된 체액부족
사정
- 탈수의 징후를 사정한다; 건조한 구강과 점막, 피부긴장도 저하, 소변 배설량 감소, 요비중 증가
목표
- 정상적인 수액량을 확보할 수 있다.
계획 및 중재
- 정맥을 통해 처방대로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 오심과 구토 완화를 위해 처방대로 항구토제를 투여한다.
- 필요한 경우 비위관을 통해 압력을 완화시킨다.
- 급성증상이 가라앉은 후 환자가 감당할 수 있으면 식사나 수분을 제공한다.
- T튜브의 배액량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 튜브나 배액관을 가지고 있으면 이에 대한 교육을 한다.
- 활동이나 식사, 투약 등에 대해 검토한다.
- 보고해야 하는 합병증의 징후에 대해 교육한다; 발열, 복부팽만, 오심, 식욕부진, 황 달, 비정상적인 배액
평가
- 경구로 수분을 섭취하고 소변 배설량도 적절하다.
◈ 황달과 관련된 신체상 장애
사정
- 황달
- 혈액내 빌리루빈치 증가
- 회백색 대변
목표
- 신체적인 변화를 수용한다.
계획 및 중재
-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환자와 대화하고 용기를 준다.
- 황달의 원인에 대해 설명한다.
- 환자주위에 거울을 두지 않는다.
- 가족이나 친구가 환자를 지지하고 보존하도록 돕는다.
◈ 경피적 담관배액과 관련된 지식부족
목표
- 경피적 담관배액(PTBD) 관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계획 및 중재
- 경피적 담관배액의 목적에 대해 서명한다.
- 튜브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 배액주머니는 튜브삽입 위치 아래로 유지하도록 한다.
- 튜브삽입 부위의 드레싱 교환에 대해 설명한다.
- 배액주머니를 비우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 배액량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 비정상적인 배액의 사정법을 설명한다.
감염증상이 있을 때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 배액이 체내로 역류되면 조직부종이 오거나 세균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 청결함과 편안함을 유지한다.
- 화농성 배액은 염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과다한 배액은 치유가 지연되는 것을 나타내 며 불충분한 배액은 폐색을 나타낸다.
담관암 (Cholangiocarcinoma)
기계적 담관폐쇄의 원인 중 간외담관의 양성 종양에 의한 예는 매우 드물다. 대부분이 유두종, 선종, 낭성선종으로 황달과 혈액담즙증을 일으킨다. 간외담관의 선암이 비교적 흔하며, 남자에게 흔하고(60%) 40-60대에 호발한다.
담관암은 부위에 따라 상부 담관암(Klatskin tumor), 중부 담관암, 하부 담관암의 3가지로 분류한다.
상부담관(Klatskin tumor) ……………………… 총간관에 해당
중부담관과 하부담관 …………………………… 총담관에 해당
하부담관 ………………………………………… 총담관 중에서 췌장 속을 통과하는 부분
1. 유발인자
- 경화성 담관염과 만성 궤양성 대장염
- 담도암 유발 인자에 대한 직업적 노출(예; 고무공장, 자동차공장)
- 담관확장을 동반한 선천성 기형
- 만성 간담도내 기생충 감염
2. 임상양상
담관암의 임상 양상은 담관폐쇄, 무통성의 황달, 소양증, 체중감소 그리고 무답즙성 대변 등으로 나타난다.
2가지의 특징적인 증상은 하나는 폐색성 황달(obstructive jaundice)이고 다른 하나는 Courvoisier's sign이다.
① 폐색성 황달(obstructive jaundice)
② Courvoisier's sign
- 총담관 이하의 폐색에 의해 갈 곳이 없어진 담즙이 담낭에 고인다. 담낭은 퉁퉁 부 어 있지만, 급성 당낭염과 달리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즉, 부은 담낭 을 만질 때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Courvoisier's sign이 양성이라고 한다. 일 명 무통성 담낭 촉지이다.
Courvoisier's sign이 양성
ㆍ중부 담관암
ㆍ하부 담관암
(합쳐서 총담관암)
ㆍ췌장 두부암
ㆍ유두부암(periampullary cancer)
Courvoisier's sign이 음성
ㆍ상부 담관암(Klatskin tumor)
ㆍ담낭암
ㆍ췌장 체미부암
3. 진단
- Ulter sonor, CT ; intrahepatic mass, biliary dilatation
- 수술전 진단에 가장 도움되는 검사 ; PTC 또는 ERCP with biopsy & cytology
4. 치료와 예후
황달이 심한 경우에 갑자기 수술을 하면 합병증이 발생하기 쉽고, 수술 후의 사방율도 높아진다. 그러므로 우선 배농술을 실시해서 감압하고 황달을 완화시킨다. 그 다음에 수술을 한다. 상부 담관암(Klatskin tumor)에서는 담관절제 외에 감엽도 절제한다. 중부ㆍ하부 담관암에서는 담관 절제외에, 췌십이지장도 절제한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황달을 완화시키고 감압을 시도하며 대증적으로 치료한다. 하부 담관암은 원래 예후가 나쁜 질환이지만, 황달로 인해 발견되는 경우는 다른 증상으로 인해 발견되는 것보다 조기에 발견되는 것이므로 비교적 예후가 좋다고 할 수 있다.
Reference
Power Internal Medicine 4th Edition 소화기순환기 저자 신규성 2001년 군자출판사
P. 222 ~ 223
Pathophysiology로 이해하는 내과학 소화기질환 Part 6 역자 문영명 2002년 도서출판 정담
P. 250 ~ 251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해리슨 내과학 편찬위원회 편 1997년 도서출판 정담
P. 1630 ~ 1631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7.0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