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의 식민지성'에 관한 이색 보고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투리의 식민지성'에 관한 이색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서론

B. 본론
1. 사투리의 사전적 정의
2. 우리사회에서 사투리는 (서울의 입장에서) 어떻게 인식?
3. 어떻게 쓰이는가
4. 문제가 되는 부분은?
5. 사투리가 왜 식민지성을 띠는가

C. 결론
1. ‘ 다르다 = 틀리다 ’ ???
2. 사투리의 발전적 보존

본문내용

우리민족의 얼이자, 하나의 고유문화이다. 우리가 많이 배우려고 노력하는 영어와 독일어는 게르만조어에서 파생 되었으므로 실상은 사투리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우리 민족 언어인 사투리는 앞에서 언급한대로 웃음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한 가치절하 혹은 희화화를 뿌리삼아 파생된 식민지성으로 인해, 사투리는 설 곳을 점점 잃고 있다. 사투리의 가치와 그 정체성이 자꾸만 퇴색되어 간다면, 그러한 사투리와 함께 유지되어온 지역의 고유문화 또한 사라져갈 수밖에 없다. 사투리는 우리의 풍부한 어휘생활을 말해주는 것이며, 이는 현재의 우리 삶 또한 풍요롭게 해주는 것이다.
그로인해 식민지성을 느끼기보다, 전통문화의 가치와 더불어 사투리의 소중함 또한 개개인이 깨달아야 한다. 또한 사회적으로도 사투리를 매체 속에서의 상업적 수단으로 전락시킬 것이 아니라, 지방 고유문화의 일환으로 사투리 보존에 대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이익섭 지음, 방언학, 민음사, 2000.
2. 김성렬 지음, 국어방언연구, 국학자료원, 2001.

키워드

사투리,   방언,   언어,   식민지,   식민지성,   정의,   국어,   언어생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7.04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