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커뮤니케이션의 시각에서 바라본 외화 프렌즈-설문조사내용포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커뮤니케이션의 시각에서 바라본 외화 프렌즈-설문조사내용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1) 사회적 맥락에서 바라본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설문 대상자 설정 및 조사 기간)
3) 연구 분석 및 진행 방향
4) 연구가 지니는 의의

2. 본론
1) 설문 조사
2) 심층 면접
3) 국제커뮤니케이션 학문적 시각에서 바라본 프렌즈의 이용과 충족

3. 결론
1) 연구의 한계
2)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1.서론
1) 사회적 맥락에서 바라본 연구 목적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영역은 개인에서 집단, 사회, 나아가 국가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과 함께 미디어 컨텐츠의 이동 또한 과거에 비해 더욱 빈번해졌다. 이동되는 미디어 컨텐츠 양의 증가뿐만이 아니라 이동되는 속도, 영역 등 미디어 교류 환경 자체에 많은 변화를 보인다. 선택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가 증가하면서 수용자의 선택의 폭이 확장되어 예전의 주어진 미디어 컨텐츠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던 수용자들도 능동적으로 주체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수용자가 자신의 욕구와 동기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미디어를 이용한다는 점을 이론으로 제시한 것이 Katz의 이용과 충족 이론이다. 따라서 ‘매스미디어가 수동적인 수용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관점이 아니라 ‘능동적인 수용자들은 매스미디어를 가지고 무엇을 하느냐’라는 관점으로 수용자들의 목적지향적인 미디어선택과 이용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2) 연구 방법(설문 대상자 설정 및 조사 기간)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의 젊은들이 외화 시트콤을 어떤 필요와 욕구에 의해서 선택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만족을 얻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프로그램은 가장 보편적인 인지도를 형성하고 있는 외화 시트콤 Friends로 선정하였다. 설문 대상으로는 서울 지역의 시트콤 Friends를 시청하는 20대의 사람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 후 설문 조사 내용 분석과 연구 주제의 중점이 되는 설문 항목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실행한 심층 인터뷰 분석이 연구의 주된 연구 방법이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설문 조사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내면적이고 심리적인 내용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여건들을 고려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5월1일부터 15일 동안 실시하여 이후 내용을 분석하였고, 심층 인터뷰는 조사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5월 22일과 23일 양일에 걸쳐 진행하였다.
참고할 사항은 설문 대상자 선정 기준이다. 시트콤 Friends를 시청하는 서울 지역 20대 남녀로 한정지은 것은 지역적 문화 형성 기반의 특색을 고려하여 같은 지역(서울)으로 범위를 한정지었고, 대상자를 대학생이라고 하지 않고 20대라고 지정한 것은 대학생과 직장인의 경우 설문 조사를 분석해보니 뚜렷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연구 결과를 뚜렷하고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 20대로 대상자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7.06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59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