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종교의 사회적 기능과 역기능
2. 우리 나라 종교의 부정적 양상
3. 3대 종교의 사회복지 참여 실태
4. 종교계 사회복지활동 문제점
2. 우리 나라 종교의 부정적 양상
3. 3대 종교의 사회복지 참여 실태
4. 종교계 사회복지활동 문제점
본문내용
또한 전통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반성하는 시각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김인숙 외, 1997).
개신교 대표 교단의 하나인 예수교 장로회(통합)의 박창빈(1992) 사회부 총무는 동 교단의 사회봉사의 문제점 여섯 가지를 거론하고 그 중의 하나로 個敎會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는 개교회의에서 파생되는 문제점으로는 목회자와 평신도의 意識, 사회봉사에 대한 예산배정을 포함한 교회의 財政構造 문제, 敎會施設에 대한 고정관념 문제 등을 열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정무성(1999)이 한국 종교사회복지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豫算編成의 소극성, 사업의 非專門性, 傳達體系의 비체계성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원규(1996c)는 특별히 한국 교회가 사회봉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構造的 要因들에 관하여 그의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첫째, 한국 교회는 전통적으로 개인복음, 개인구원적 신앙이 강했다. 이러한 신앙태도는 반사회적, 탈역사적 세계관을 만들어 내며 사회구원의 책임을 외면하게 만들었다.
둘째, 한국 교회에서는 그 동안 믿음의 차원에 있어서 주로 수직적 신앙(vertical faith)인 절대자와 개인의 관계만 강조되어 왔지 수평적 신앙(horizontal faith)인 이웃과의 관계는 무시되어 왔다. 그리하여 오늘날 교인들의 믿음은 수평적 사랑이 결여되어 있는, 즉, 사랑의 실천이 없는 믿음, 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결실 맺지 못하는 믿음에 머물러 있게 되었고, 이것이 적극적인 사회봉사를 어렵게 만드는 하나의 요소가 되었던 것이다.
셋째, 한국 교회는 그 동안 선교를 주로 복음을 전파하는 것으로만 생각해 왔지 이웃을 돌보는 것으로는 생각하지 못했던 경향이 있었고 바로 이것이 적극적인 사회봉사활동의 장애물이 되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전도의 성과는 매우 컸지만 이웃을 돌보는 것이 간과되었기 때문에 복지, 인권, 봉사의 차원이 소홀히 취급되었던 것이다.
넷째, 교회의 개(個)교회주의는 교회의 사회봉사를 막는 또 하나의 주요한 요소이다. 한국 교회는 인적.물적자원을 개체교회 발전을 위해 집중 투자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따라서 사회봉사와 같은 사회적 역할수행은 등한시하게 되었던 것이다.
한국 교회의 이러한 모든 구조적 모순과 문제점들이 한국 교회로 하여금 사회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의식이나 여유를 모두 빼앗아가 버렸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의 인식에서 출발하는 본 연구는 기독교 7개 교단의 福 祉財政, 社會福祉活動 및 프로그램, 自願奉仕活動, 地域社會와의 關係 등을 파악하여 종교계의 복지참여 실태에 관한 기초자료를 생산하는데 그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회의 사회복지 참여 방안을 정립하고, 이를 체계화하며 전문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기독교의 복지참여 활성화 기반 구축에 필요한 정부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 체계의 확보에 일익을 담당코자 한다.
개신교 대표 교단의 하나인 예수교 장로회(통합)의 박창빈(1992) 사회부 총무는 동 교단의 사회봉사의 문제점 여섯 가지를 거론하고 그 중의 하나로 個敎會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는 개교회의에서 파생되는 문제점으로는 목회자와 평신도의 意識, 사회봉사에 대한 예산배정을 포함한 교회의 財政構造 문제, 敎會施設에 대한 고정관념 문제 등을 열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정무성(1999)이 한국 종교사회복지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豫算編成의 소극성, 사업의 非專門性, 傳達體系의 비체계성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원규(1996c)는 특별히 한국 교회가 사회봉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構造的 要因들에 관하여 그의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첫째, 한국 교회는 전통적으로 개인복음, 개인구원적 신앙이 강했다. 이러한 신앙태도는 반사회적, 탈역사적 세계관을 만들어 내며 사회구원의 책임을 외면하게 만들었다.
둘째, 한국 교회에서는 그 동안 믿음의 차원에 있어서 주로 수직적 신앙(vertical faith)인 절대자와 개인의 관계만 강조되어 왔지 수평적 신앙(horizontal faith)인 이웃과의 관계는 무시되어 왔다. 그리하여 오늘날 교인들의 믿음은 수평적 사랑이 결여되어 있는, 즉, 사랑의 실천이 없는 믿음, 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결실 맺지 못하는 믿음에 머물러 있게 되었고, 이것이 적극적인 사회봉사를 어렵게 만드는 하나의 요소가 되었던 것이다.
셋째, 한국 교회는 그 동안 선교를 주로 복음을 전파하는 것으로만 생각해 왔지 이웃을 돌보는 것으로는 생각하지 못했던 경향이 있었고 바로 이것이 적극적인 사회봉사활동의 장애물이 되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전도의 성과는 매우 컸지만 이웃을 돌보는 것이 간과되었기 때문에 복지, 인권, 봉사의 차원이 소홀히 취급되었던 것이다.
넷째, 교회의 개(個)교회주의는 교회의 사회봉사를 막는 또 하나의 주요한 요소이다. 한국 교회는 인적.물적자원을 개체교회 발전을 위해 집중 투자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따라서 사회봉사와 같은 사회적 역할수행은 등한시하게 되었던 것이다.
한국 교회의 이러한 모든 구조적 모순과 문제점들이 한국 교회로 하여금 사회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의식이나 여유를 모두 빼앗아가 버렸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의 인식에서 출발하는 본 연구는 기독교 7개 교단의 福 祉財政, 社會福祉活動 및 프로그램, 自願奉仕活動, 地域社會와의 關係 등을 파악하여 종교계의 복지참여 실태에 관한 기초자료를 생산하는데 그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회의 사회복지 참여 방안을 정립하고, 이를 체계화하며 전문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기독교의 복지참여 활성화 기반 구축에 필요한 정부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 체계의 확보에 일익을 담당코자 한다.
추천자료
[사회복지법제론]공공기관 사회복지사와 민간기관 사회 복지사의 법적 권한의 차이를 설명하...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서 지역사회의 아동빈곤문제에 대한 ...
국내 학교사회복지의 발전과정, 현황, 문제점 및 학교사회복지의 나아갈 방향 제언 (학교사회...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의 발전방안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사회복지행정의 과정, 사회복지행...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의 역사 - 1.서구 사회복지의 역사 (빈민법,사회보험,복지국가의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가치(value)와 윤리(ethics)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윤리의...
[사회복지서비스법] 아동복지법 (사회복지사업법, 아동복지법, 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시설종류)
[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법의 형성과 발전 (사회복지법의 형성, 복지국가발전, 사회복지발달...
[지역사회복지] 재가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교육, 자원봉사, 지역사회조직활동, 환경개선서...
[사회복지실천기술]사회복지실천현장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 지역사회...
[사회복지사 사회복지법제]사회복지법의 필요성 세가지 수급권자의 법적 안정성, 사회복지에 ...
[사회복지사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행정에 있어 관리기술영역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 및...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은 무엇인지 서술하고 사회복지 실천을 영역별로 분류한다. 차 ...
[사회복지행정론]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기관의 유형과 기능 현황을 분석하고 효과적이고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