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아들러의 생애
2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과의 차이점
3아들러 개인 심리 이론의 주요 개념
4아들러의 인간관
5상담과정
6아들러이론의 평가
#별지1프로이드와 아들러의 차이점 비교 요약
#별지2아들러이론의 실증연구논문 요약
2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과의 차이점
3아들러 개인 심리 이론의 주요 개념
4아들러의 인간관
5상담과정
6아들러이론의 평가
#별지1프로이드와 아들러의 차이점 비교 요약
#별지2아들러이론의 실증연구논문 요약
본문내용
고 측정 이었다.
■ 연구 결과 및 토론
● pleasing: 성격우위가 pleasing이 높게 나온 사람
achieving보다 낮은 수준의 self-esteem과 높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를 갖고 있다.
outdoing보다 낮은 수준의 self-esteem을 갖고 있다.
→ 이것은 다른 이들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주로 다른 이들을 기쁘게 하고, 그들을 즐겁게
“만들기”에 달려있다는 느낌의 이론적인 묘사와 일치.
● achieving: 성격우위가 achieving이 높게 나온 사람
pleasing보다 높은 수준의 self-esteem와 낮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를 갖고 있다.
detaching보다 높은 수준의 self-esteem와 더 큰 internal locus of control에 위치하며,
낮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를 갖고 있다.
outdoing보다 높은 수준의 social interest를 갖고 있다.
→ 이것은 그들의 성취에 자기 자신의 기준을 사용하고, 낮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와 함께 수반되는 cognitive distortion(비뚤어진 인식)과 일치한다.
이 우위를 긍정적으로 이끄는 스타일은 또한 높은 수준의 self-esteem, 큰 internal locus of control에 위치, social interest와 일치한다.
● outdoing: 성격우위가 outdoing이 높게 나온 사람
pleasing보다 높은 수준의 self-esteem
achieving보다 낮은 수준의 social interest
→ 이것은 outdoing의 성격우위를 갖는 개인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better"하다고 믿는 것 을 지지한다. 그들의 가치가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의존한다고 믿는 pleaser들 과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self-esteem이 높게 나온다. 이러한 개인들은 극단적으로 경쟁하고 협동심의 부족과 남들보다 뛰어남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들이 경쟁적인것보다 협동 적임으로써 이익을 볼 수 있음을 아는 achieving보다 낮은 수준의 social interest을 보인다.
● detaching: 성격우위가 detaching이 높게 나온 사람
achieving보다 낮은 수준의 self-esteem와 internal locus of control
achieving보다 높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
→ 무엇보다도 비교적 낮은 수준의 internal locus of control을 보이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다. 하지만 성격우위는 개인들이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마이너스로 느껴지는 것”을 나타 낸다라는 Kefir's(1981)의 생각을 따르면 자신을 통제하려고 노력하는 개인은 그 자신 이 통제되지 않는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다시 통제 되어지려는 것을 필요로 한다고 이 해할 수 있다.
이들이 높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인 것은 극단적인 자기 통제를 보임으로써 세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묘사하는 것과 일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어느 사 람이 극단적인 자기 통제를 유지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세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생 각은 보다 더 명백히 왜곡된 인식이 될 수 있고, 이는 세상을 통제하는데 그리 성공적이지 않기 때문에 낮은 수준의 self-esteem을 보이게 된다.
● avoiding: 성격우위가 avoiding이 높게 나온 사람
이들 그룹은 다른 그룹들과의 그 어떤 변수들과도 두드러진 차이점이 없다.
→ 이것은 이들이 불안과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을 피한다는 것을 지지한다. 직설적으로 avoiding인 사람이 인생의 모든 부분에서 극단적으로 회피하는 것은 다른 성격 우위와의 두드러진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 연구의 한계점
●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동일한 민족이었다.(대학생들이 대부분 Caucasian)
● 참가들 중 성격우위가 detaching인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적었음.
■ 상담자를 위한 조언
● 성격우위의 개념은 상담자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
● 이러한 정보는 내담자의 강점들(asset)과 상처받기 쉬운 면들에 대한 단서를 줄수 있음
● 내담자의 강점들을 이용하고 잠재적인 약점들을 조정하는데 기초하여 상담자들이 치료의 도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pleas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그들의 self-esteem수준을 고취시키면서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담자들은 DAS에 의해 측정된 내담자의 왜곡된 인식 (cognitive distortion)의 경향을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achiev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내담자들의 높은 수준의 self-esteem와 internal locus of control, 높은 social interest, 거의 없는 왜곡된 인식 (cognitive distortion) 등을 강조하고, 그들이 기여를 인식할 수 있는 것에 초 점을 맞추어 도와줌으로써 성취에 대한 그들의 필요를 전환하도록 도와줄수 있다.
● outdo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그들이 self-esteem에서 그들의 강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 그리고 경쟁적인 것보다 협동적인 방법으로 다른 사람 들과 연결되도록 고무 시킴으로서 내담자들이 social interest를 강하시키는데 주력하도록 노력.
● detach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이들이 거의 강점이 없기 때 문에 self-esteem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하고, 왜곡된 인식(cognitive distortion)과 낮은 수준의 internal locus of control의 경향에 주목해야 한다.
● avoid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이들이 통계적으로 두드러진 차 이점이 없어서 권고하기 어렵다. 그러나 강점이나 약점이 없다는 것은 불안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집단내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이지 않게 하려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 을 말한다.
■ 연구 결과 및 토론
● pleasing: 성격우위가 pleasing이 높게 나온 사람
achieving보다 낮은 수준의 self-esteem과 높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를 갖고 있다.
outdoing보다 낮은 수준의 self-esteem을 갖고 있다.
→ 이것은 다른 이들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주로 다른 이들을 기쁘게 하고, 그들을 즐겁게
“만들기”에 달려있다는 느낌의 이론적인 묘사와 일치.
● achieving: 성격우위가 achieving이 높게 나온 사람
pleasing보다 높은 수준의 self-esteem와 낮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를 갖고 있다.
detaching보다 높은 수준의 self-esteem와 더 큰 internal locus of control에 위치하며,
낮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를 갖고 있다.
outdoing보다 높은 수준의 social interest를 갖고 있다.
→ 이것은 그들의 성취에 자기 자신의 기준을 사용하고, 낮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와 함께 수반되는 cognitive distortion(비뚤어진 인식)과 일치한다.
이 우위를 긍정적으로 이끄는 스타일은 또한 높은 수준의 self-esteem, 큰 internal locus of control에 위치, social interest와 일치한다.
● outdoing: 성격우위가 outdoing이 높게 나온 사람
pleasing보다 높은 수준의 self-esteem
achieving보다 낮은 수준의 social interest
→ 이것은 outdoing의 성격우위를 갖는 개인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better"하다고 믿는 것 을 지지한다. 그들의 가치가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의존한다고 믿는 pleaser들 과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self-esteem이 높게 나온다. 이러한 개인들은 극단적으로 경쟁하고 협동심의 부족과 남들보다 뛰어남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들이 경쟁적인것보다 협동 적임으로써 이익을 볼 수 있음을 아는 achieving보다 낮은 수준의 social interest을 보인다.
● detaching: 성격우위가 detaching이 높게 나온 사람
achieving보다 낮은 수준의 self-esteem와 internal locus of control
achieving보다 높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
→ 무엇보다도 비교적 낮은 수준의 internal locus of control을 보이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다. 하지만 성격우위는 개인들이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마이너스로 느껴지는 것”을 나타 낸다라는 Kefir's(1981)의 생각을 따르면 자신을 통제하려고 노력하는 개인은 그 자신 이 통제되지 않는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다시 통제 되어지려는 것을 필요로 한다고 이 해할 수 있다.
이들이 높은 수준의 dysfunctional attitude인 것은 극단적인 자기 통제를 보임으로써 세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묘사하는 것과 일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어느 사 람이 극단적인 자기 통제를 유지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세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생 각은 보다 더 명백히 왜곡된 인식이 될 수 있고, 이는 세상을 통제하는데 그리 성공적이지 않기 때문에 낮은 수준의 self-esteem을 보이게 된다.
● avoiding: 성격우위가 avoiding이 높게 나온 사람
이들 그룹은 다른 그룹들과의 그 어떤 변수들과도 두드러진 차이점이 없다.
→ 이것은 이들이 불안과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을 피한다는 것을 지지한다. 직설적으로 avoiding인 사람이 인생의 모든 부분에서 극단적으로 회피하는 것은 다른 성격 우위와의 두드러진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 연구의 한계점
●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동일한 민족이었다.(대학생들이 대부분 Caucasian)
● 참가들 중 성격우위가 detaching인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적었음.
■ 상담자를 위한 조언
● 성격우위의 개념은 상담자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
● 이러한 정보는 내담자의 강점들(asset)과 상처받기 쉬운 면들에 대한 단서를 줄수 있음
● 내담자의 강점들을 이용하고 잠재적인 약점들을 조정하는데 기초하여 상담자들이 치료의 도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pleas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그들의 self-esteem수준을 고취시키면서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담자들은 DAS에 의해 측정된 내담자의 왜곡된 인식 (cognitive distortion)의 경향을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achiev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내담자들의 높은 수준의 self-esteem와 internal locus of control, 높은 social interest, 거의 없는 왜곡된 인식 (cognitive distortion) 등을 강조하고, 그들이 기여를 인식할 수 있는 것에 초 점을 맞추어 도와줌으로써 성취에 대한 그들의 필요를 전환하도록 도와줄수 있다.
● outdo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그들이 self-esteem에서 그들의 강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 그리고 경쟁적인 것보다 협동적인 방법으로 다른 사람 들과 연결되도록 고무 시킴으로서 내담자들이 social interest를 강하시키는데 주력하도록 노력.
● detach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이들이 거의 강점이 없기 때 문에 self-esteem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하고, 왜곡된 인식(cognitive distortion)과 낮은 수준의 internal locus of control의 경향에 주목해야 한다.
● avoiding이 성격우위인 내담자와 상담하는 상담자는, 이들이 통계적으로 두드러진 차 이점이 없어서 권고하기 어렵다. 그러나 강점이나 약점이 없다는 것은 불안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집단내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이지 않게 하려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 을 말한다.
추천자료
한국적 심리학의 가능성: 집단주의-개인주의 연구가 주는 시사점
[우수 평가 자료]심리학의 즐거움, 독후감상문- 개인적인 생각과 교훈을 중심으로.
교육심리학 <학습자의 개인차> - 지능 편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과 사례분석(제빵왕 김탁구)보거서 파워포인트 PPT
[A+평가자료]경제 심리학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A+평가독후감]몸짓의 심리학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심리학 개론] 개인생애사
아들러 심리학을 다룬 미움받을 용기 독후감 - 미움받을 용기 독후감
아들러 심리학 미움받을 용기에 관한 우수 독서감상문(독후감, 독서감상문), 최고의 아들러...
[미움받을용기] 아들러, 아들러 심리학을 담은 최고의 베스트셀러 \'미움받을 용기\' 최우수...
미움받을 용기, 자유로워질 용기, 타인으로부터... 진정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적 미움받...
인행사 개인 과제 성격심리학 자기 이해를 위한 연습,나의 삶에 관한 질문들
[성격이론] 성격의 특성이론(유형론과 특질론)과 과정이론(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융의 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