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와 율곡의 이기론(理氣論)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퇴계의 인간형성관과 “리”의 발현
2. 율곡의 인간형성관과 “기”의 발현

본문내용

분발하여야 한다. 이것은 마치 한 칼에 그 뿌리를 자르듯이 하여, 마음의 지(志)를 깨끗이 씻어 밝혀야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퇴계와 달리 율곡은 리의 발현을 부정하고 오직 기의 발현만을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발현되는 기의 작용(用事)로부터 인간의 마음은 선과 악의 가능성을 동시에 가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로부터, 율곡은 기의 작용을 올바로 살피기만 하면 인간의 마음이 선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은 기의 작용을 선의 방향으로 통솔하는 지(志)의 역할과 그 지(志)를 결단하는 입지(立志)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율곡의 입지는 항시 기질이 탁하고 얼룩져서 타락의 나락에 빠져 있는 평범한 인간도 성인(聖人)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담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율곡의 기의 발현은 기의 작용을 매개한 입지를 강조함으로써, 현실의 평범한 인간도 성인(聖人)이 될 수 있음을 스스로 기약할 수 있게 한다. 이로부터, 율곡의 기의 발현은 평범한 인간들을 성리학적 이념에 따른 성인으로 교화(敎化)시키는 가능성을 확고히 담보하는 “치인 지향적 인간형성관”의 계기를 강력하게 가진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7.0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8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