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치매의 정의
2. 치매의 원인
3. 치매의 증상
4. 치매의 임상경과
5. 치매의 조기발견 요령
6. 노인치매환자의 간호 관리
1) 인지지각 장애에 대한 간호
2) 사고과정의 변화에 대한 간호
3)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간호
4) 불안에 대한 간호
5) 개인위생 간호
6) 배설에 대한 간호
7) 수면장애에 대한 간호
8) 영양 간호
9) 운동에 관한 간호
10)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간호
11) 위험예방
12) 가족 간호 관리
7. 치매노인 재활프로그램
2. 치매의 원인
3. 치매의 증상
4. 치매의 임상경과
5. 치매의 조기발견 요령
6. 노인치매환자의 간호 관리
1) 인지지각 장애에 대한 간호
2) 사고과정의 변화에 대한 간호
3)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간호
4) 불안에 대한 간호
5) 개인위생 간호
6) 배설에 대한 간호
7) 수면장애에 대한 간호
8) 영양 간호
9) 운동에 관한 간호
10)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간호
11) 위험예방
12) 가족 간호 관리
7. 치매노인 재활프로그램
본문내용
시하고 환자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간결하고 명확하게 한다.
ㆍ 운동할 때마다 칭찬을 하여 강화를 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하게 고정화시킨다.
ㆍ 장소에 대한 지남력이 남아 있다면 매일 식사 후 같은 시간에 산책을 같은 시간만큼 하도록 하여 근력을 유지시킨다.
10)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간호
ㆍ 비판하지 말고 자신의 방법대로 행동할 수 있게 하며 성적인 관심을 표현할 기회를 준다.
ㆍ 새로운 절차와 경험을 하는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관찰된, 표현된 행동에 피드백을 준다.
ㆍ 환자가 고집을 부리고 화를 낼 때는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정면으로 받아들이면 환자와 가족간의 관계만 약화시킨다.
11) 위험예방
ㆍ 위험한 물건을 환자 가까이에 놓지 않는다.(가위, 칼, 성냥, 면도날, 세제, 가스레인지 등)
ㆍ 낙상이 치매환자에게 많은데 미끄러운 바닥, 욕조, 계단을 조심하게 한다.
ㆍ 환자가 가출을 하였거나 혼자 외출을 한 경우에 강도의 표적이 될 수 있으므로 금목걸이, 금반지, 금팔찌 등은 하지 않게 하며 고액의 돈은 강탈당할 수 있으므로 돈을 갖고 있지 않게 한다.
12) 가족 간호 관리
ㆍ 환자가 실수하거나 잘못하는 경우에는 나무라지 않고 화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ㆍ 칭찬을 하면 좋아지므로 윽박지르는 것보다 훨씬 다루기가 쉬우며 친절하게 대해야 한다.
ㆍ 가족은 먼저 환자에게 치매진단을 정확하게 받도록 하고 치매정도를 파악하게 한다.
ㆍ 가족들에게는 환자와 질병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게 하는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
ㆍ 환자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ㆍ 공포와 염려를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ㆍ 환자에 대한 의사결정 시 참여시키고 관심과 호기심을 작도록 격려한다.
ㆍ 가족과 친지들에게 질병과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족의 현재 행위를 규명한다.
ㆍ 가족 구성원의 고민, 좌절, 분노, 무력감 등의 감정을 말로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며 가족의 현재 상황에 대한 어려움 점을 인정해 준다.
ㆍ 가족에게 다른 스트레스가 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교육이 필요한 영역을 교육한다.
ㆍ 가족원 서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하고 서로의 말을 능동적으로 청취하고 분명하고 정직한 대화를 하도록 한다.
ㆍ 환자는 자신이 아파도 호소하지 못하므로 신체적인 이상을 살펴야 한다.
7. 치매노인 재활프로그램
1) 신체활동 : 산책(약수터, 근린공원, 대형쇼핑센터 등) 공놀이 등
2) 음 악 : 즐거운 노래방(즐겨 부르던 애창곡)
3) 회 상 : 어린시절 회상 - 세배. 그네뛰기, 운동회, 제사 등
성인시절 회상 - 태몽, 김장 담그기, 장 담그기, 피난살이, 6.25 동란, 추수, 자녀 기르기 등
4) 미술·공예 : 지점토로 수저 만들기 등
5) 레크리에이션 : 갑돌이와 갑순이, 과수원길, 퐁당퐁당 등 친숙한 노래를 부르며 간단한 율동을 해본다.
6) 가 사 : 뜨개질하기, 콩 고르기, 마늘 까기 등
7) 인지활동 : 첫 글자를 주고 말 잇기 놀이나 끝말잇기 놀이를 해 본다.
8) 일상생활 : 이 닦기, 손 씻기, 청소 등을 규칙적으로 반복 강화
ㆍ 운동할 때마다 칭찬을 하여 강화를 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하게 고정화시킨다.
ㆍ 장소에 대한 지남력이 남아 있다면 매일 식사 후 같은 시간에 산책을 같은 시간만큼 하도록 하여 근력을 유지시킨다.
10)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간호
ㆍ 비판하지 말고 자신의 방법대로 행동할 수 있게 하며 성적인 관심을 표현할 기회를 준다.
ㆍ 새로운 절차와 경험을 하는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관찰된, 표현된 행동에 피드백을 준다.
ㆍ 환자가 고집을 부리고 화를 낼 때는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정면으로 받아들이면 환자와 가족간의 관계만 약화시킨다.
11) 위험예방
ㆍ 위험한 물건을 환자 가까이에 놓지 않는다.(가위, 칼, 성냥, 면도날, 세제, 가스레인지 등)
ㆍ 낙상이 치매환자에게 많은데 미끄러운 바닥, 욕조, 계단을 조심하게 한다.
ㆍ 환자가 가출을 하였거나 혼자 외출을 한 경우에 강도의 표적이 될 수 있으므로 금목걸이, 금반지, 금팔찌 등은 하지 않게 하며 고액의 돈은 강탈당할 수 있으므로 돈을 갖고 있지 않게 한다.
12) 가족 간호 관리
ㆍ 환자가 실수하거나 잘못하는 경우에는 나무라지 않고 화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ㆍ 칭찬을 하면 좋아지므로 윽박지르는 것보다 훨씬 다루기가 쉬우며 친절하게 대해야 한다.
ㆍ 가족은 먼저 환자에게 치매진단을 정확하게 받도록 하고 치매정도를 파악하게 한다.
ㆍ 가족들에게는 환자와 질병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게 하는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
ㆍ 환자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ㆍ 공포와 염려를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ㆍ 환자에 대한 의사결정 시 참여시키고 관심과 호기심을 작도록 격려한다.
ㆍ 가족과 친지들에게 질병과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족의 현재 행위를 규명한다.
ㆍ 가족 구성원의 고민, 좌절, 분노, 무력감 등의 감정을 말로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며 가족의 현재 상황에 대한 어려움 점을 인정해 준다.
ㆍ 가족에게 다른 스트레스가 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교육이 필요한 영역을 교육한다.
ㆍ 가족원 서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하고 서로의 말을 능동적으로 청취하고 분명하고 정직한 대화를 하도록 한다.
ㆍ 환자는 자신이 아파도 호소하지 못하므로 신체적인 이상을 살펴야 한다.
7. 치매노인 재활프로그램
1) 신체활동 : 산책(약수터, 근린공원, 대형쇼핑센터 등) 공놀이 등
2) 음 악 : 즐거운 노래방(즐겨 부르던 애창곡)
3) 회 상 : 어린시절 회상 - 세배. 그네뛰기, 운동회, 제사 등
성인시절 회상 - 태몽, 김장 담그기, 장 담그기, 피난살이, 6.25 동란, 추수, 자녀 기르기 등
4) 미술·공예 : 지점토로 수저 만들기 등
5) 레크리에이션 : 갑돌이와 갑순이, 과수원길, 퐁당퐁당 등 친숙한 노래를 부르며 간단한 율동을 해본다.
6) 가 사 : 뜨개질하기, 콩 고르기, 마늘 까기 등
7) 인지활동 : 첫 글자를 주고 말 잇기 놀이나 끝말잇기 놀이를 해 본다.
8) 일상생활 : 이 닦기, 손 씻기, 청소 등을 규칙적으로 반복 강화
추천자료
치매 및 치매노인 연구고찰
치매 및 치매노인 재가복지서비스에 관한 조사
치매노인 및 재가치매 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조사
치매와 치매노인을 위해 실재 이루어지고 있는 복지프로그램과 그 가족의 고충과 완화에 대해
치매노인간호진단, 노인실습느낀점. 노인철학
치매노인(개념,원인,유형,증상,경과,현황,예방과치료,부양가족,치매가족,부양부담,사회적비용...
치매노인과 치매부양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정책의 문제점 및 과제
치매와 치매노인 부양가족에 대한 보고서
[치매] 치매의 유형과 증상, 진단과 치료, 치매노인케어의 원칙
[A+평가 레포트]치매노인과 치매부양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정책 개선방안 - 치매의 정...
[치매노인과 가족관계] 치매성 노인의 심리 및 대응방법
치매노인 학대피해사례 {女·73세} (사례보고서, 사례관리, 치매노인사례관리, 노년기학대, 노...
치매노인의 문제행동과 대응방법(치매에다른 망상, 식사, 수면장애, 요실금, 섬망) PPT, 파워...
치매노인가족 복지대책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