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성 뇌내출혈, 고혈압성 뇌출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2. 고혈압



Ⅱ. Case study

1. 환자 사정

2. 진단적 검사 및 결과

1) 진단혈액검사

2) 소변검사

3) 임상생화학검사




3. OP



4. Medication



5. Nursing process

본문내용

척수상해환자 초기 2주
간은 1일 20mg/kg, 다음 10주간은 1일 10mg/kg.
③ 금기 : 임부, 수유부, 소아.
(19)CETAPRIL TAB(Tab) 25mg
① 적응증 : 본태성 고혈압.
② 용법/용량 : 1일 25-75mg, 1-2회 분복. 중증시 1일 최대 100mg.
③ 금기 : 본제 과민성 기왕력자, 다른 ACE 저해제에 의한 혈관부종 기왕력자, dextran 황
산셀룰로오스를 사용한 흡착기에 의한 LDL분리반출법 시행중인 환자, 아크릴로니
트릴메칠설포산나트륨막을 사용한 혈액시행중인 환자, 임부 또는 가임부.
④ 주의 : 중증의 신기능장해 환자, 신동맥협착 환자, 고령자
5. Nursing process
(1) 피부통합성 장애
① 주관적 자료 : None
② 객관적 자료 : 거의 대부분을 침대에 누워서 지낸다.
③ 진단 : 부동으로 인한 욕창의 예방
④ 계획 : 잦은 체위 변경 / Back care
물침대의 사용
욕창사정
⑤ 수행 : 3시간에 한번씩 Back care / 체위변경 실시
물침대 사용
침요는 주름없이 펴준다.
Back care 시 욕창호발부위 집중관찰
⑥평가 : 욕창 전구증상 없음.
(2) Rt hemiparesis로인한 기동성장애
① 주관적 자료 : None
② 객관적 자료 : 활력징후 측정간 사지운동시 왼쪽보다 오른쪽이 약함
③ 진단 : Rt hemiparesis로 인한 기동성장애
④ 계획 : 수동적 사지 운동 실시
hemiparesis 정도 사정
⑤ 수행 : 왼손으로 오른팔 자가 운동 및 마사지
활력 측정간 hemiparesis 정도 사정
⑥ 평가 : 지속적인 수동 사지운동 실시
(3) 많은양의 객담에 의한 가스교환장애
① 주관적 자료 : None
② 객관적 자료 : 호흡시 가래 끓는소리가 들린다.
③ 진단 : 수술 후 가래배출 능력 미비로 인한 호흡곤란장애
④ 계획 : 필요시 충분한 suction / 가슴타진으로 배농촉진
head Elevation 으로 배농촉진
⑤ 수행 : 객담으로 인한 호흡곤란시 / feeding 전 suction
침상조정으로 30°head elevation 유지
⑥ 평가 : 객담으로 인한 호흡곤란 상태 suction / 침상조정으로 호전
간 호 사 정
날짜
object data
subject data
02. 6. 21
.craniotomy / tracheostomy op 했음
.지속적인 미열이 있음(T : 37.2∼37.5℃)
.foley catheter 하고 있음
.L-Tube 하고 있음
.소변색은 희고, 흰부유물 / 거품생김
None
간호진단
.감염으로 인한 지속적인 미열
간호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하고 감염의 위험성을 없앨 것이다.
간 호 계 획
1.
CBC / sputum 검사를 실시한다.
(op 후 미열의 원인은 op상처부위로의 감염, foley catheter를 통한 요로감염, op후 합병증으로 폐렴이 있을수 있다.)
2.
방광세척을 한다.
3.
대상자에게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
4.
V/S 확인
5.
무균적 suction / feeding
6.
상처부위 드레싱
7.
소변색 관찰 (소변에 거품 / 부유물 없고 호박색을 띄게 한다.)
8.
foley catheter 교체
간 호 수 행
구 분
시 간
내 용
1.
08:00
CBC / sputum 검사시행위해 혈액 / 객담 채취후 검사실로 Sample 내려보냄
2.
09:40
V/S 확인 (T : 37.2℃),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3.
09:50
Feeding 하기전 손씻고 비닐장갑 사용하여 Suction하고 비닐장갑 교체후 Feeding
4.
10:10
미온수 마사지 시행
5.
10:40
V/S 확인 (T : 37.4℃),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6.
11:00
Dressing change by Dr. 김영균
7.
11:10
미온수 마사지 실시
8.
11:40
V/S 확인 (T : 37.0℃),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9.
12:00
foley catheter 교체
10.
12:30
방광세척 by 인턴 이인생
11.
12:40
V/S 확인 (T : 37.0℃), 소변은 흰색이고 부유물은 존재하나 거품은 사라짐
12.
13:00
CBC / sputum 검사결과 확인
- WBC / sputum 내 폐렴균 발견 못하였으므로 감염으로 인한 미열발생 아닌 것으로 확인
13.
13:20
Feeding 하기전 손씻고 비닐장갑 사용하여 Suction하고 비닐장갑 교체후 Feeding
14.
13:30
미온수 마사지
15.
13:40
V/S 확인 (T : 36.9℃), 소변은 흰색이나 거품 / 부유물 사라짐
16.
13:50
미온수 마사지
17.
14:40
V/S 확인 (T : 36.6℃), 소변색은 흰색임
이론적 근거
1.
미온수 마사지는 열의 전도와 증발을 통한 열소실을률을 높여 체온을 낮출수 있다.
2.
Feeding / suction 시 무균적 방법 시행(손씻기 / 비닐장갑)으로 감염의 경로 차단할수 있다.
평 가
구 분
시 간
내 용
1.
10:00
V/S 확인 (T : 37.2℃)로 정상체온 유지 못했고 ,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로 목표달성 못함.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 필요
2.
11:00
V/S 확인 (T : 37.4℃)로 정상체온 유지 못했고,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필요
3.
12:00
V/S 확인 (T : 37.0℃)로 정상체온 유지 못했고,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필요
4.
13:00
V/S 확인 (T : 37.0℃)로 정상체온 유지 못해꼬, Foley catheter 교체 / 방광세척 후 소변 흰색이고 부유물은 존재하나 거품은 사라짐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필요
5.
14:00
V/S 확인 (T : 36.9℃)로 정상체온 유지 못했고, 소변은 흰색이나 거품 / 부유물 사라짐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필요
6.
15:00
V/S 확인 (T : 36.6℃)로 정상체온 유지, 소변색은 흰색임
⇒ 지속적인 소변색 관찰 필요
  • 가격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4.07.12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