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초점 심도
착각원
초점 심도의 설정
초점 심도 분리
초촛점 거리
2. 피사계 심도
(1) 피사계 심도의 확인
(2) 피사계 심도의 이용 방법
착각원
초점 심도의 설정
초점 심도 분리
초촛점 거리
2. 피사계 심도
(1) 피사계 심도의 확인
(2) 피사계 심도의 이용 방법
본문내용
피사계 심도를 얻기 위해 조리개 치를 결정하면 된다.
(2) 피사계 심도의 이용 방법
주 피사계에 정확히 초점을 맞추는 기술과 함께 피사계 심도의 현상을 이용해서 선명하게 보이는 피사계의 범위를 조정하는 기술도 중요하다. 범위 AB 의 앞에서 약 1/3의 거리계 초점 위치 P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정해진 조리개로 A 점에서 원경까지 가능한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하는 요령
<예> 조리개치 f8로 전방 1.5M 에서 원경까지의 피사계 심도를 얻고자 할 때
1) 선명한 화상을 얻고자 하는 1.5M 의 피사계에 초점을 맞추고 피사계 거리를 확인(1.5M)하면 이때 피사계 심도는 전방 1.1M 에서 후방 3M 까지의 범위이 다.
2) 다음은 전방 피사계 심도 눈금에 피사계 거리 1.5M 를 맞추면 피사 심도는 1.5M 에서 무한 ∞ 가까이 까지 깊게 된다.
<예> 조리개치 f5.6으로 후방 5M 에서 전방까지의 피사계 심도를 얻고자 할 때
1) 후방 5M 의 피사계에 초점을 맞추고 그 피사계 거리를 확인(5M)하면 이때 피 사계 심도는 무한 ∞ 에서 전방 2.5까지이다.
2) 다음은 확인한 피사계 거리(5M)를 후방 심도 한계 표시 5.6에 맞추면 피사계 심도는 1.6M 에서 5M 까지로 전방 1M 가까이 까지 더 깊게 된다.
이 방법은 무한에서 전경까지의 깊은 피사계 심도가 요구되는 풍경사진 촬영 에 이용된다.
※ 참 고 문 헌
- 미국 촬영감독협회, 김창유 옮김, <영화촬영감독 매뉴얼>, 책과길, 1999
- 에드워드 핀커스/스티븐 아처, 김창유 옮김, <영화 제작 핸드북>, 책과길, 1997
(2) 피사계 심도의 이용 방법
주 피사계에 정확히 초점을 맞추는 기술과 함께 피사계 심도의 현상을 이용해서 선명하게 보이는 피사계의 범위를 조정하는 기술도 중요하다. 범위 AB 의 앞에서 약 1/3의 거리계 초점 위치 P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정해진 조리개로 A 점에서 원경까지 가능한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하는 요령
<예> 조리개치 f8로 전방 1.5M 에서 원경까지의 피사계 심도를 얻고자 할 때
1) 선명한 화상을 얻고자 하는 1.5M 의 피사계에 초점을 맞추고 피사계 거리를 확인(1.5M)하면 이때 피사계 심도는 전방 1.1M 에서 후방 3M 까지의 범위이 다.
2) 다음은 전방 피사계 심도 눈금에 피사계 거리 1.5M 를 맞추면 피사 심도는 1.5M 에서 무한 ∞ 가까이 까지 깊게 된다.
<예> 조리개치 f5.6으로 후방 5M 에서 전방까지의 피사계 심도를 얻고자 할 때
1) 후방 5M 의 피사계에 초점을 맞추고 그 피사계 거리를 확인(5M)하면 이때 피 사계 심도는 무한 ∞ 에서 전방 2.5까지이다.
2) 다음은 확인한 피사계 거리(5M)를 후방 심도 한계 표시 5.6에 맞추면 피사계 심도는 1.6M 에서 5M 까지로 전방 1M 가까이 까지 더 깊게 된다.
이 방법은 무한에서 전경까지의 깊은 피사계 심도가 요구되는 풍경사진 촬영 에 이용된다.
※ 참 고 문 헌
- 미국 촬영감독협회, 김창유 옮김, <영화촬영감독 매뉴얼>, 책과길, 1999
- 에드워드 핀커스/스티븐 아처, 김창유 옮김, <영화 제작 핸드북>, 책과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