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의 사회학) 한국사회에서의 축구의 의미와 이상적 한국축구의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축구의 사회학) 한국사회에서의 축구의 의미와 이상적 한국축구의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한국사회와 축구와의 만남
1. 한국축구의 역사
2. 축구에 열광하는 한국인들

Ⅱ. 본론 : 한국사회에서 축구의 의미
1. 정치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3. 사회 문화적 측면

Ⅲ. 결론 : 이상적인 한국축구의 방향

Ⅳ. 과제 후기

본문내용

02년 6월의 붉은 악마 현상은 푸른 악마, 혹은 하얀 악마 현상으로 대치되었을 것이다. 약간의 논의를 거쳐 붉은 색을 주 경기복 색으로 확정한 것은 한국 사회의 행운이다.
이른바 레드 컴플랙스가 전혀 인식도 하지 못하는 사이에 완벽하게 해소되었기 때문이다. 엄청남 사회적 역사적 비용을 지불하고도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던 사안이 월드컵 대회를 계기로 완벽하게 그리고 발전적으로 정리된 것이다. 이념 문제에 소모적 논쟁적으로 매달리지 않고, 이를 대승적 차원에서 극복하고 미래지향적 사고로 전환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조성되었다는 것. 나아가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도 이를 창조적으로 통섭하기 위한 생산적 합의가 도출되었다는 것. 축구는 경기장에서만 치러지는 단순한 운동 경기가 아니다. 사회와 역사가 하지 못했던 일을 단기간에 성취해 낼 수도 있다는 사실. 그러므로, 축구는 그 자체로 역사이며 문화이고 축제이며 종교이다.
Ⅳ. 결론: 이상적인 한국축구의 방향
예전에 한국 중국 일본을 축구를 통해서 비교한 글을 읽은 적이 있다. 한국은 한국인들의 특성을 잘 나타내듯 신바람의 축구를 한다는 것이다. 한번 흐름을 타기 시작하면 한국인들과 같이 무서울 정도로 엄청난 괴력을 발휘한다. 하지만 그 흐름이 꺾였을 경우 이것이 과연 월드컵에 항시 출전하는 국가가 맞을까란 생각이 들 정도의 플레이를 한다. 반면 일본은 세밀한 축구를 하는데 그것도 세밀한 일본의 국민성을 나타낸다. 작은걸 좋아하고 섬세한 일본인들에게 역시나 어울린다. 중국의 축구는 대륙적인 중국인들의 국민성이 투여되어서 인지 선이 굵고 어떻게 보면 약간은 투박하게 축구를 한다. 이렇듯 축구를 그 나라의 국민성을 아니 그 나라 전체의 특성이 투여되어 녹아들어가 있다. 우리는 그동안 앞에서 한국축구가 가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정치적으로는 전두환 박정희 대통령들의 지배체제를 공고히 하기위한 일종의 수단으로 쓰였고 사회적으로는 지배계층이 사회구성원을 지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축구는 이용되었다. 경제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축구는 그 나라 경제력의 바로미터라 할 정도로 축구는 한국경제의 발전사와 더불어 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한국의 축구는 우리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우리의 옆에서 우리에게 영향을 주고받아 왔고 이렇게 한국의 사회를 나타내는 축구를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너무 수단으로 그것도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는 수단으로 써오지 않았나란 생각이 든다. 국가 지도자들은 축구를 국민이 즐기기 위한 스포츠로 인식하지 않았고 그들의 독재상황에서 축구를 통해 국민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수단으로 써왔고 일반 사회의 지도층이라는 사람들도 그런 방식으로 축구를 사용했다. 하지만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 이제 우리도 축구를 그냥 축구로 즐겨야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유럽의 축구를 보면 많은 아저씨들이 자식들과 나와서 축구를 보며 즐기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두 자신이 응원하는 팀의 유니폼을 입고 국가대표팀이 아니라 자신이 사는 고장을 연고로 한 팀을 응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진정 즐거워한다. 이것이 진짜 축구를 즐기는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도 이들처럼 될 수는 없을까? 우리도 축구뿐만 아니라 자신이 진정 좋아하는 것을 즐기면서 살 수는 없을까? 더 이상 우리가 좋아하는 것들에 국가가 끼어들고 정치인들이 끼어드는 것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이제 우리는 한국축구의 등에 있는 대한민국이라는 짐에서 내려줄 때가 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Ⅳ. 과제 후기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축구란 스포츠에 대해서 좀 더 깊게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어서 좋았다. 자료수집의 과정을 통해서 축구에 대해서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이런 측면도 있었나 하면서 많이 놀랐다. 개인적으로 나의 지식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으며 즐거운 시간이었다고 본다.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축구와 우리 사회가 많은 측면에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축구가 사회의 어두운 측면과 연관된 경우도 있었지만 우리에게 가르침을 준 경우도 있었다. 이젠 우리는 축구를 수단이 아닌 스포츠로써 즐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축구와 우리 사회는 같은 길을 가게 될 것이다. 제 도약의 길을...

축구와 한국사회란 주제로 리포트를 쓰면서 가능하면 사회학적으로 접근해 보려고 노력을 해보았지만 쉽지 않은 작업이었다. 반면에 조별 토론도 자주하면서 서로간에 의견을 수렴하는 작업이 나름대로 보람있는 작업이었다. 현재 한국사회의 축구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지배계급의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하지 아니하고 축구를 순수한 스포츠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첫 번째 조모임은 참석을 하지 못했다 나름대로 준비해 논 주제가 있었는데 내가 하고 싶은것은 아니었지만 축구에 대한 것도 괜찮을 것 같았다. 두 번째 조모임은 역할분담 및 개요의 수정이었다. 나는 축구에 열광하는 사회문화적 측면이었다.
세 번째 모임에서는 각자 조사한 바에 대해 이야기 하였고 나는 최근 월드컵 이후로 이와 관련된 책이나 기사가 너무 많이 출판되어 약간 식상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조사과정에서 들었다. 네 번째 모임은 사이버 상에서 이루어 졌는데 각자 부족한 내용 및 더할 내용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참고문헌 -----------------------------------------------------
1. http://www.kinds.or.kr
2. http://www.hani.co.kr
3. http://www.sskor.co.kr
4. http://www2.donga.com
5. http://www.kfa.or.kr
6. http://www.soccerline.co.kr/
7. http://kimfifa.hihome.com/b2.htm(표1)
8. 셰이퍼외, 차기벽 편(민족주의), 서울:종로서적, 1984.
9.
http://explore.kwanwoon.ac.kr/%7Ek00mg066/ko.html
10. http://www.kfa.or.kr/main.asp

키워드

축구,   사회학,   한국축구,   월드컵,   사회,   스포츠,   문화,   정치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7.13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