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사문답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줄거리

3. 서사전략으로서의 문답체

4. 식민지 지배의 합리화: 인종론과 문명론

5.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갑오개혁에 대한 일본의 견해

6. 나오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서슴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갑오개혁의 개혁 프로그램은 정치·사회제도의 개혁에서부터 민간생활관습의 개혁까지 모두 정부가 주도하여 명령하고 이를 강제로 시행하는 방법을 채택하게 하였던 것이다.
6. 나오며
「신진사문답기」는 작품의 결말에서 아시아에서의 일본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끝난다. 일본이 제시하고 있는 개혁의 과정을 착실하게 따라야 하고, 그 결과를 성급하게 평가하지 말아야 한다는 당부까지 덧붙여져 있다. 특히 일본과 조선은 인종과 언어가 비슷하고 생활습관도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같은 동양인으로서 서양의 침략에 힘을 합쳐 대응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그리고 설혹 일본이 조선 땅에서 이익을 취한다 하더라도 서양인들이 취해 가는 것보다는 낫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일본의 힘을 빌어 서양을 막는 것이 도리라고 주장하고 있는 결말에서 우리는 일본의 식민주의적 담론의 실체를 확실히 보게 된다.
이 같은 견해는 서양이라는 침략세력과 강대해진 일본의 위협에 대한 조선인 선비들의 대응논리라기보다는 오히려 서양의 침략 위협을 구실 삼아 조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 그것을 합리화하고자 했던 일본인들의 지배논리에 해당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신진사문답기」는 일본이 식민지 전초기지의 기반조성을 위해 의도적으로 제작된 신문에 실린 소설이라 친일적이며, 문학적인 가치보다는 정치적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다. 하지만, 우리글로 된 것임에는 틀림없으며, 당시 일제의 식민주의 담론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고, 신문에 연재소설로는 최초로 등장했다는 데 사적인 의의를 부여할 수 있는 가치성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국사교재연구회 편, 『韓國史槪說』, 學文社, 1998.
권영민, 『서사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권영민, 「한성신보와 최초의 신문연재소설」, 『문학사상』, 1997년 5월호.
공미라, 「개화기 역사소설의 시대적 의미 고찰」,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민병덕, 「韓國近代新聞連載小說硏究: 作品의 共感構造와 出版의 機能을 中心으로」,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송경섭, 「일제하 한국신문연재소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신문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74.
이용남 외, 『한국 개화기소설 연구』, 태학사, 2000.
채백, 「한국 근대신문 형성과정에 있어서 일본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0.
  • 가격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16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