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미얀마의 신화 및 전설
①더가웅(Tagaung): 건국 설화
②카렌족의 신화
③미얀마의 전설 : 부처와 악마-칸나
④부처님 순례 전설 : 데라키떠라(Tharekhettara)
⑤탑 건립 전설 : 쉐다곤(Shwedagon Paya)
⑥장로와 관련된 부처님 순례 전설 : 거왐빠티(Gavampati)
⑦붓다고사(Buddhaghosa)와 관련된 전설
⑧소나(Sona)와 웃타라(Uttara)의 전래설
▶마치며...
▶미얀마의 신화 및 전설
①더가웅(Tagaung): 건국 설화
②카렌족의 신화
③미얀마의 전설 : 부처와 악마-칸나
④부처님 순례 전설 : 데라키떠라(Tharekhettara)
⑤탑 건립 전설 : 쉐다곤(Shwedagon Paya)
⑥장로와 관련된 부처님 순례 전설 : 거왐빠티(Gavampati)
⑦붓다고사(Buddhaghosa)와 관련된 전설
⑧소나(Sona)와 웃타라(Uttara)의 전래설
▶마치며...
본문내용
자와 함께 순례하여, 그 곳에 삼보 귀의와 오계 준수의 전통을 확립하였다. 그 후 부처님께서 입멸하실 적에 거왐빠티 장로는 33과의 성치(聖齒)를 받은 후 다시 띠하 왕에게 바쳤고, 왕은 그 것으로 33 개소에 탑을 세웠다.
⑦붓다고사(Buddhaghosa)와 관련된 전설
<청정도론(Visusddhimagga)>의 편저자인 붓다고사가 남부 버마 출신이었으며, 스리랑카에서 일을 마치고 미얀마의 해안지대인 타톤(Thaton)으로 돌아 왔다는 전설.
⑧소나(Sona)와 웃타라(Uttara)의 전래설
쉐다곤 파고다 동쪽의 담마제디 왕이 1485년에 건립한 비문과, 1476년에 바고(Bago) 근교의 깔야니 비문 등에 보면, 부처님 입멸 후, 236년, 즉 아쇼카 왕 통치시대에 소나와 웃타라 두 장로가 몽(Mon; 남부 미얀마)에 파송되어 교법을 확립했다. 이를 기준으로 아신 티틸라 비구의 에서는 기원전 250년 경에 남부 미얀마에 불교가 이미 전래되었다고 해석하고 있다.
▶마치며...
미얀마는 소승 불교국으로 출생부터 사망까지 불교가 미얀마인의 사상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며 아이의 출생과 더불어 부모들은 작명을 위해 승려와 상의하고 시골 어린이들은 정식 정부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승려가 운영하는 학교에서 수업을 한다. 전통적으로 불교 문화가 중심이며 국교는 아니지만 여전히 정부의 업무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리하여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얀마의 전설에도 대부분 불교와 관련된 것들이 많이 존재하는 듯 하다.
⑦붓다고사(Buddhaghosa)와 관련된 전설
<청정도론(Visusddhimagga)>의 편저자인 붓다고사가 남부 버마 출신이었으며, 스리랑카에서 일을 마치고 미얀마의 해안지대인 타톤(Thaton)으로 돌아 왔다는 전설.
⑧소나(Sona)와 웃타라(Uttara)의 전래설
쉐다곤 파고다 동쪽의 담마제디 왕이 1485년에 건립한 비문과, 1476년에 바고(Bago) 근교의 깔야니 비문 등에 보면, 부처님 입멸 후, 236년, 즉 아쇼카 왕 통치시대에 소나와 웃타라 두 장로가 몽(Mon; 남부 미얀마)에 파송되어 교법을 확립했다. 이를 기준으로 아신 티틸라 비구의
▶마치며...
미얀마는 소승 불교국으로 출생부터 사망까지 불교가 미얀마인의 사상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며 아이의 출생과 더불어 부모들은 작명을 위해 승려와 상의하고 시골 어린이들은 정식 정부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승려가 운영하는 학교에서 수업을 한다. 전통적으로 불교 문화가 중심이며 국교는 아니지만 여전히 정부의 업무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리하여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얀마의 전설에도 대부분 불교와 관련된 것들이 많이 존재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