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호흡기(ventilator)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인공호흡기(ventilator)


1. 임상적 목적
2. 임상적응증
- 인공 호흡기의 적용기준
3. 인공호흡기의 종류
4. 인공호흡기의 환기양식
(1) 통제환기법(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CMV)
가. 호흡기 setting
나. 호흡기조정의 평가
다. 적정 산소분압(FiO2)
라. 호흡성 알칼리증의 문제
(2) 호기말양압호흡법(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PEEP)
가. PEEP의 정의
나. 호기말 양압호흡(PEEP)과 지속성 기도양압(CPAP)
다. 호기말 양압호흡(PEEP)의 목적
라. 호기말 양압호흡(PEEP)의 합병증
마. 적정 호기말양압의 선택
(3) 간헐적강제환기법(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
가. 목적
나. 동조장치(synchronized mode)
5. 인공호흡기 부착후 호흡관리
1) 기관내 튜브(endotracheal tube)
2) 인공호흡기 부착환자의 진정(sedation)
3) 환자와 인공호흡기와의 부조화(Fighting the ventilator)
6. 인공호흡기 이탈(weaning) 및 발관(Extubation)
호흡기전
1. 호흡기계 생리적 기전
2. ABGA(Arterial Blood Gas Analvsis)
3. Pulmonary function test(폐기능 검사)

본문내용

r (뇌교중추) ; 호흡을 보다 부드럽게 리드미컬하게 하기 위해 medullary center에 작용
a. Apneustic Center(지속적 흡식 중추) : 바깥으로부터의 억제가 없는 한 연수의 흡식 중추를 계속 자극하여 깊고 연장된 흡식을 자극
b. Pneumotaxic Center(호흡조절중추) : 지속적 흡식중추의 계속 흥분을 억제하며 연수의 호식중추를 흥분시켜 흡식을 호식으로 옮기게 함
② 화학적 조절
- Central Chemoreceptor in Medulla( 연수의 중심 화학 수용체): PCO2 상승, H 상승
→ 동맥혈중의 CO2 증가는 Brain(뇌)의 CSF(뇌척수액)의 PH변화(PH하강)를 일으켜 호흡중추에 자극을 주어 ventilation을 자극시킴
Pheripheral Chemoreceptor in aortic body & carotid body(대동맥체와 경동맥체의 말초화학 수용체) :pO2하강, H상승
→ 뚜렷한 말초화학 감수체의 자극은 산소분압 60mmHg일 때 발생하게 됨 즉 산소분압이 낮을 때 환기 증가되고 (PaO2 60mmHg 이하 시 Ventilation 상승) 산소분압이 증가하면 무호흡 유도됨
③ Stretch receptors in alveoli(페포의 용적 기전)
- 반사자극으로 폐포 확장되면 폐포의 신장 감수체가 자극 흥분되어 구심신경을 통해 Apeneustic center(지속적 흡식중추)를 억제하며 동시에 이 흥분을 Pneumotaxic center(호흡조절중추)로 전달하여 호식을 발생시킴 (Hering - Breuer Reflex, 일명 Lung Reflex
④ Proprioceptors(고유수용체) in muscle & Tendons of movable joints
- 운동증가 (산소소모량 증가, 탄산가스 생산량 증가)시 고유 수용체가 자극되고 ventilation증가
⑤ Baroreceptors in aortic arch & carotid sinus(경동맥궁과 경동맥궁의 압수용체)
- 혈압 상승시 inspiration감소
혈압 하강시 inspiration자극
⑥ 기타
- 통각자극 (예: 격심한 자극)은 호흡을 증진
대뇌피질의 인위적 증가 또는 억제
공포 및 불안 반응시 호흡속도와 깊이 증가
2. ABGA(Arterial Blood Gas Analvsis)
: 동맥혈 가스분석은 폐의 동맥혈 산화능력, 가스교환, 폐포 환기 그리고 산-염기 균형 등의 호흡기계의 기능을 사정
① ABGA 분석 결과
동맥혈가스 정상치
정의 / 해석
PaO2 (80-100mmHg)
동맥혈 산소분압은 조직의 산화상태를 반영하지 않음
보통 방안공기(21%)로 숨을 쉴 때 80mmHg 이하이면 저산소혈증.
PaCO2 (35-45mmHg)
일차적으로 환기효율을 반영하며 환기양식에 영향을 받음
증가는 과소환기(과탄산증), 감소는 과대환기(저탄산증)
pH (7.35-7.45)
7.45 이상시 alkalosis, 7.35 이하시 acidosis
호흡성 산독증 PaCO2 증가, pH 감소
호흡성 알카로시스 PaCO2 감소, pH 증가
HCO3 (22-26mEq/L)
혈액탄산의 양 의미, 대사성 변화에 영향을 받음
감소시는 대사성 산독증, 증가시는 대상성 알카로시스
Base excess/deficit
(+2 to -2mEq/L)
산염기 평형의 비호흡성 부분을 반영
대상성 알카로시스에서 양의 값, 대사성 산독증시 음의 값
SaO2 (95-100%)
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
PaO2가 50mmHg보다 밑으로 떨어지면 산소 포화도는 급하게 떨어짐
3. Pulmonary function test(폐기능 검사)
1) 정의: 폐의 환기 및 gas교환의 장애와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2) 목적: ① 심장과 폐기능을 평가
② 폐질환의 기본적인 기능장애를 분류
③ 흡입손상에 대한 반응을 평가
④ 폐순환을 통한 폐손상을 평가
3) 폐기능 검사
① 폐용적
- 1회 호흡량(Tidal Volume, TV) : 정상적인 호흡시 들이마시고 내쉬는 가스용적
- 흡기예비용적(Inspiratory Reserve Volume, IRV) : 정상흡기 후 더 들어 마실 수 있는 최대 용적
- 호기예비용적(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 정상호흡 후 노력성 호기로 뱉어 낼 수 있는 최대용적
- 잔기량(Residual Volume, RV) : 최대호기 후 폐내에 남아있는 가스용적
② 폐용량(여러용적의 조합)
- 흡기용량(Inspiratory Capacity, IC) : 정상호기 후 들이 마실 수 있는 것 보다 최대 공기량 (TV +IRV)
- 기능적 잔기량(Funtional Residual Capacity, FRC) : 정상호기 후 폐내에 남아 있는 공기량 (ERV +RV)
- 폐활량(Vital Capacity, VC) : 최대 흡기 후 뱉을 수 있는 최대 공기량 (TV +IRV +ERV)
- 노력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 최대 흡기 후 최대로 노력하여 뱉어낼 수 있는 최대 공기량
- 전폐용량(Total Lung Capacity, TLC) : 최대 흡기 후 폐내의 총 공기량(TV +IRV +ERV +RV)
③ 용적/ 시간 관계
- 분당 환기량(Minute Ventilation, MV) : 정상 호흡 시 1분에 들어 마시고 내쉬는 용적
- 1초의 노력호기 폐활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 노력성 폐용량중 첫 1초 동안에 분출되는 공기량
- FEV1/ FVC의 비 : 힘껏 뱉어낼 수 있는 총공기량에 비해 1초내 힘껏 뱉어낼 수 있는 공기량
- 최대수의 환기량(Maximun Voluntary Ventilation, MVV) : 최대호흡수와 호흡깊이에 관련해서 분당 교환되는 공기량
④ 가스교환 측정비
- Alveolar - Arterial PO2 Difference(P(A-a)DO2) : 폐포와 혈관내의 산소분압의 차이
- 사강율 (Vd/Vt) : 해부학적 공기전달통로와 기능적 공기전달통로의 비율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7.17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