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푸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의 지적에서 그치지 말고 구체적인 개선안이 마련될 때까지 감시하고 개선 결과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한 가지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것은, 사실 음식은 국경이란 개념이 이미 무색해진 하나의 문화라는 점이다. 우리나라 땅 어디를 가 보아도 일본 음식점과 중국 음식점이 쉽사리 발견되고, 다양한 음식 문화를 접하는 것이 오히려 시대의 자연스러운 추세가 된 이상, 특정한 음식의 확산을 세계 문화를 하나의 통일된 가치관으로 묶으려 한다는 음모론으로 비화시키는 것은 다소 격앙된 표현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 고유의 음식이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것은 자랑스럽고, 외국의 음식이 인기를 끄는 것은 잘못된 것이란 이분법적 사고는 현대 사회의 다원적인 특성과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세계인의 입맛에 맞는 우리 음식을 찾아내고 가꾸어서 유해하다는 비판에도 끊임없이 성장하는 패스트푸드를 능가하는 메뉴를 만드는 계기로 삼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든다.
패스트푸드는 분명 음식으로서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기름이 줄줄 흐르는 음식이 건강에 아무 이상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오히려 비상식적인 태도일 것이다. 문제는 자신의 건강은 누구의 책임보다도 자신의 몫이 크다는 점이다. 편리하고 간편하고 입맛에 맞는 것만을 찾다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빚지 않는 것은 스스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하기 위한 노력을 요구한다. 만들어 먹는 음식문화가 산업화에 따라 사먹는 문화로 바뀌고 있는 환경에서 한 가지를 먹어도 생각하고 소비하는 개인의 자세와 좋은 음식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우리 음식에 대한 사회적인 노력도 필요하다고 본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19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