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분적인 요소는 콘수 신전의 형식과 다름없으며, 다만 이것을 확대하거나 반복한 데 지나지 않는다. 이 형식은 덴데라·에드푸·필라에 등 말기의 신전에도 그대로 나타나 있다. 또한 사막이 나일 강변까지 근접한 지방에는 신전의 대부분 또는 일부를 단애 속으로 파들어가서 만든 암굴신전·반암굴신전도 있다. 아스완 댐의 건조에 따라 절단(切斷)하여 이전한 아부심벨의 신전은 전자의 예이다. 분묘나 신전이 석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세워진 데 반하여 세속건축은 주로 양건 벽돌이나 목재 등을 사용하였다. 제18왕조의 이단왕(異端王) 이크나톤이 천도하였던 수도 텔 엘 아마르나에서는 정궁(正宮)과 이궁(離宮), 고관의 저택, 새 수도 건설에 종사한 기술자의 집합주택 유구(遺構)가 발견되었다. 이집트 건축의 특징이 되는 기둥의 형식을 보면,
① 네모난 기둥에는 여신 하트호르의 두부(頭部)를 주두부(柱頭部)에 부조(浮彫)한 것(하트호르 기둥)과 수의(壽衣)를 입은 왕의 상(像)을 그 앞에 세운 것(오시리스 기둥) 등이 있으며,
② 원주(圓柱)에는 8면 또는 16면 등으로 이루어진 프로트 도리스주(柱)와 각종 식물(야자·연꽃·파피루스)을 모티프로 한 것 등 여러 형태가 있다.
① 네모난 기둥에는 여신 하트호르의 두부(頭部)를 주두부(柱頭部)에 부조(浮彫)한 것(하트호르 기둥)과 수의(壽衣)를 입은 왕의 상(像)을 그 앞에 세운 것(오시리스 기둥) 등이 있으며,
② 원주(圓柱)에는 8면 또는 16면 등으로 이루어진 프로트 도리스주(柱)와 각종 식물(야자·연꽃·파피루스)을 모티프로 한 것 등 여러 형태가 있다.
추천자료
[성] 선사시대,메소포타미아, 이집트, 그리스와 로마의 성문화
[기독교 영화 감상문]이집트 왕자
스포츠의 역사- 수메르,이집트,중국
[4대문명]황화문명 인더스문명 이집트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세계문화역사] 『이집트의 문명, 기원, 신화, 역사 등』에 대하여
아프리카에 진출한 우리기업의 현황과 사례- 이집트 편
[결혼문화A+] 우리나라와 이슬람 국가(이집트)의 결혼문화 소개 및 비교분석
이슬람 여성 인권 혁명, 이집트 선거, 아랍의 봄, 이슬람 여권 실태, 해결 방안, 현황, 관리,...
[서평] 얀 아스만의 이집트인 모세를 읽고
파라오가 지배한 고대 이집트에 대하여
[A+] [공학윤리사례] 이집트 여객선 침몰사건 알 살람 보카치오 98호 침몰 사건의 피해 사...
[영화 감상문] 『이집트왕자』 를 보고나서
[영화 감상문] ‘이집트 왕자’ 를 보고
[감상문] ‘이집트 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