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것으로 이해했다. 그리고 인간이 집단을 이루어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분수」, 곧 위와 아래나 친밀함과 소원함의 분수에서 찾고, 이 분수는 예법과 함께 의리에 근거하여 구현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성왕(聖王)은 예의를 제정하여 분수를 드러냄으로써 부귀하고 비천함의 등급, 어른과 아이의 차별, 지혜로움과 어리석음 및 유능함과 무능함의 분별을 확립한다."고 했다. 이러한 순자의 사상에서는 정명의 시행은 군주의 강제력을 통해서 가능하므로 공자에 있어 정명의 실천이 인간 내면의 본질로서의 덕에 호소하는 공자와는 차이가 있다. 순자의 정명사상(명분론)은 한대 동중서(董仲舒)의 정명론에 연결되었고, 송대에는 춘추학(春秋學)과 정통론(正統論)의 발흥으로, 혹은 예교(禮敎)의 진작으로 전개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환경보건윤리]제임스 러브록의 가이아가설과 생태윤리에 대해
[공직사회][공직윤리][공직부패][부정부패][부패방지제도][공직부정부패방지제도]공직사회의 ...
[생명과윤리]인간복제의 개념과 윤리적 논쟁에 관한 고찰(A+리포트)
[기업의윤리교육][기업의산업디자인인식][기업의근로실태][기업입사지원서쓰는방법]기업의 윤...
[환경보건윤리및정책]인간중심적 환경윤리에 대해 반성적으로 평가
[환경보건윤리및정책A형]인간중심적 환경윤리에 대해 반성적으로 평가하시오
[환경보건윤리및정책D형]생태 여성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에 대해 논술
[사르트르의 상황윤리설] 사르트르의 사상적 배경과 생애 및 인간관, 주체성과 책임 및 상황윤리
[경찰윤리론]경찰윤리 중간고사 정리자료
소피스트의 윤리관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관 비교논술
정보 사회의 윤리적 문제와 이를 위한 도덕 윤리 교육방안
사회복지 윤리강령과 우리나라의 다른 전문가의 윤리강령에 대해 비교 하여 차이점과 같은 점...
(교직실무 B형) 교직윤리에 대해 논하시오(개념, 필요성, 제안점등) : 교직윤리
최근 발생한 윤리적 딜레마 사례 1가지를 제시하고, 메티슨의 의사결정 7단계에 따라 구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