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의 경영전략, 마케팅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샤의 경영전략, 마케팅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기업 현황
2.화장품 산업 개괄
3.거시환경분석
4.과업환경분석
5.전략설정

본문내용

시장 확장 요소
② 점유율 증대 요소
위의 두 가지 요소가 어떻게 환경요소인 기회와 위협, 강점과 약점 요소와 결합되어야 하는 살펴보자.
■ 3. 기업전략 수립 : 환경요소와 전략요소의 결합
전략 수립의 핵심은 낮은 가격을 유지하면서 좋은 품질을 가진 제품이라는 것을 인식시킬 것인가의 문제이다. 낮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괜찮은 제품이라는 인식을 줄 수 있으면, “가격=품질”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는 높은 연령대의 소비자들을 시장에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장을 확장한다.
이와 더불어 심화되는 경쟁을 극복하기 위해, 브랜드샵을 통해 전문성을 가진 점원을 통해 제품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주고 제품 구매 시 소비자 각각의 피부타입에 맞는 제품을 제공하는 등의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증가시킨다.
① O+W ▶ 시장확대요소
기회를 잡기위해 약점을 극복 ▶ 시장을 확대하는 전략을 수립
저가의 화장품이 성장하고 있고 이 시장에서의 경쟁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성장의 기회를 잡기위해 “가격=품질”과 “연령대 편중”의 약점을 극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시장을 확대시킨다.
② T+S ▶ 점유율확대 요소
위기를 강점으로 극복 ▶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수립
심화되는 경쟁을 극복하기 위해 브랜드샵과 인터넷 포탈 통한 네트워크상의 강점을 이용해서 차별화
■ 4. 전략요소와 제품의 기능별 결합
① 제품의 어느 기능에서 시장 확장과 점유율 증대를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다. 낮은 가격은 생필품적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써 현재의 강점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는 본원적 기능의 유지 강화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유지하면서 “가격=품질”이미지를 파괴하는 등 브랜드가 가지는 이미지에 신뢰감을 제고해야 한다. 이것이 제품이 가지는 부가적 기능을 강화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제품에 대한 전문화된 지식과 고객위주의 마인드를 가진 점원들이 고객에게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제품의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원적 기능, 부가적 기능의 유지와 강화 ▶ 시장 확장 전략요소 강화
서비스기능의 강화 ▶ 점유율 증대 요소의 강화
위 두 과정을 통해 시장 선도자로서의 전략을 확립할 수 있다.
② 레버지지 개념 통한 원가/차별성의 상충관계 극복
시장 확장과 점유율 증대를 위해 광고 등 마케팅 비용을 증가시키면 그동안 미샤가 유지해왔던 저원가 구조가 무너진다. 따라서 광고와 판촉비용 외에 현재 가지고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레버리지 개념이 중요한 화두가 된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브랜드샵과 인터넷 기반 고객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여 낮은 원가를 기본으로 하는 경쟁우위요소 외에 차별성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둘의 상충관계를 어느 정도까지 완화시킬 수 있다.
■ 5. 미션
미션
모든 어머니와 딸들이 함께 쓸 수 있는 화장품을
생활 속에서 언제 어디에서나 원하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
■ 모든 어머니와 딸들이 함께 쓸 수 있는
모든 연령대에 걸쳐서 미샤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40대를 기준으로 했을 때 딸의 연령은 10~20대이고, 어머니는 50~60대일 것이다. 이처럼 “어머니와 딸들이”라는 것은 모든 연령대를 고루 포괄하는 개념이 된다.
■ 생활 속에서
저원가 전략의 유지를 통한 화장품의 생필품적 성격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이다.
■ 언제 어디서나
접근성을 강조한 개념으로 매장수의 증대와 인터넷을 통한 구매를 통해 양적인 접근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원하는 제품을 제공
소비자가 원하는, 또 소비자에게 맞는 제품을 제공한다는 의미로 제품의 내용물이 소비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제품을 생산해 내는 것과, 소비자 구매 시 전문적 제품지식을 가진 점원이 소비자의 구매를 돕는,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참고자료
미샤 뷰티넷 http://www.beautynet.co.kr
더페이스샵 http://www.thefaceshop.com
도도클럽 http://www.dodoclub.co.kr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화장품 신문 http://www.hjp.co.kr/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http://www.ccej.or.kr
전국경제인연합회 http://www.fki.or.kr
장업신문 http://www.jangup.com
대한화장품공업협회 http://www.kcia.or.kr/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매일경제 http://www.mk.co.kr
한국경제신문 http://www.hankyung.com
세계일보 http://www.sgt.co.kr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
이데일리 http://www.edaily.co.kr
KIS LINE http://www.kisline.co.kr
이달의 Marketing Issues & Trends 2002.11(vol.9) DAEHONG Communications 마케팅컨설팅그룹
이달의 Marketing Issues & Trends 2003.3(vol.13) DAEHONG Communications 마케팅컨설팅그룹
이달의 Marketing Issues & Trends 2003.5(vol.15) DAEHONG Communications 마케팅컨설팅그룹
이달의 Marketing Issues & Trends 2003.9(vol.19) DAEHONG Communications 마케팅컨설팅그룹
이달의 Marketing Issues & Trends 2003.11(vol.21) DAEHONG Communications 마케팅컨설팅그룹
이달의 Marketing Issues & Trends 2004.1(vol.23) DAEHONG Communications 마케팅컨설팅그룹
이달의 Marketing Issues & Trends 2004.4(vol.26) DAEHONG Communications 마케팅컨설팅그룹

키워드

미샤,   경영,   마케팅,   전략,   경영전략,   화장품,   사례,   분석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4.07.2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0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