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삼계와 힘을 합쳐 이자성군 격파, 북경 입성.
남경에 복왕정권 성립.
1645
청, 남경 공략, 복왕정권 멸망. 복건에 당왕정권 성립. 이자성 살해됨
1646
당왕정권 멸망. 계왕 영력제 옹립.
1661
순치제 사망. 강희제 즉위. 영력제 체포되고, 남명정권 소멸.
정성공, 대만 웅거. 청, 천계령 공포.
1673
오삼계, 운남에서 거병. 삼번의 난 발생.
1682
顧炎武 사망(1613 - ).
1696
강희제, 갈단을 다시 친정. 다음 해 청의 외몽골 지배 확정.
1722
강희제 사망. 옹정제 즉위.
1723
천주교 포교 전면 금지.
1727
러시아와 캬흐타조약 체결.
1740
묘족의 난 발생.
1781
감숙에서 회교도의 난 발생.
1786
대만 임상문의 난 발생.
1788
베트남 출병( - 1789).
1816
영국사절 암허스트 북경 방문.
1839
6월, 임측서가 몰수한 아편을 폐기.
10월, 아편전쟁 수행을 영국하원이 결의.
1840
6월, 영국군이 광주를 봉쇄.
1842
8월, 남경조약 조인.
1853
3월, 태평천국군, 남경을 점령하고 천경으로 개칭
1856
10월, 애로우호사건 발생.
1858
5월, 러와 아이훈조약 체결. 6월, 영·미·프와 천진조약 체결.
1864
7월, 천경 함락, 태평천국 멸망.
1881
2월, 러시아와 이리조약 체결
1882
8월, 조선으로 청·일 양국 출병. 7월, 조선에서 임오군란 발생.
1884
8월, 청불전쟁 시작.
1885
6월, 프랑스와 천진조약 체결.
1886
7월 영국과 버마조약 체결.
1888
10월, 강유위 제1차 상서.
1894
8월, 청일전쟁 개시. 11월, 손문, 하와이에서 흥중회 결성.
1895
4월, 시모노세키조약 조인. 삼국 간섭.
5월, 강유위 등 공차상서.
6월, 일본군 대북 점령, 대만총독부 설치
1899
4월, 산동성에서 의화단 활동. 9월, 미국 국무장관 존 헤이 문호개방 선언.
1900
6월, 의화단이 북경 열강 공사관 포위. 청조가 열강에 선전포고.
1901
9월, 신축조약 체결.
1904
2월 러일전쟁 발발. 중국은 중립 선언.
1905
5월, 화교배척에 항의하여, 상해총상회 등이 미국상품 배척운동 결의.
8월, 동경에서 중국동맹회 결성. 9월 과거제 폐지.
1912
1월, 중화민국 남경임시정부 성립.
4월, 원세개 북경에서 임시대총통에 취임.
1914
7월, 손문, 동경에서 중화혁명당 결성.
8월, 일본이 독일에 대해 선전포고. 11월, 일본군이 청도 점령.
1916
6월, 원세개 사망. 군벌정치시대로 진입
1917
국민정부, 대독일 선전포고.
6월, 손문 등의 광동군정부 성립.
1919
5월, 5·4운동 시작.
1921
7월, 중국공산당 성립. 이 해에 상해에 방적공장 창업 활발.
1924
1월, 광주에서 국민당 제1회 전국대표대회, 제1차 국공합작 정식 시작.
1925
3월, 손문이 북경에서 병사. 5·30사건 발생.
1926
7월, 북벌 개시.
1927
4월, 장개석, 상해에서 반공 쿠데타.
8월, 8·7회의. 공산당 무장폭동노선으로 전환.
1931
9월, 9·18 만주사변 발생. 11월, 서금에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임시정부 성립.
1932
1월, 상해사변 발생. 3월, 만주국 건국 선언.
1934
10월, 대장정 시작.
1935
1월, 준의회의 개최. 8월, 8·18 선언 발표. 11월, 국민정부 폐제개혁.
1936
12월, 서안사건 발생.
1943
11월, 미국·영국·중국 카이로 회담.
1945
8월 15일, 일본 무조건 항복.
8월, 장개석과 모택동, 중경회담.
12월, 민주연합정부를 요구하는 학생을 탄압
1949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선언. 12월, 장개석, 대만으로 이주.
1953
제1차 5개년계획 개시.
1964
10월, 중국 원폭실험.
1965
11월, 요문원, ≪해서파관≫ 비판. 문화대혁명 시작.
1966
8월, 천안문 광장에서 홍위병 100만명 집회.
1968
10월, 유소기 영구제명 처분.
1971
9월, 임표 사건. 10월, 중국, 유엔대표권 획득.
1972
2월, 미국대통령 닉슨, 중국 방문.
9월, 일본 수상, 다나카 중국 방문하고 중일국교 수립.
1973
'비림비공'운동 고조.
1975
4월, 장개석 사망.
1976
1월, 주은래 사망.
4월, 천안문 광장에서 민중탄압(4·5 사건). 9월 모택동 사망.
10월, 사인방 체포. 문화대혁명 종결.
1977
7월, 등소평 복귀. 8월, 화국봉 취임. 12월, 통일대학 입시 재개
1978
12월, 중공 11기 3중전회. 경제개방정책으로.
1979
2월, 베트남과 전쟁 발발.
3월, 대자보·데모 규제를 통고하여 '북경의 봄' 마감.
7월, 경제특구 설치.
1980
2월, 중공 11기 5중전회. 유소기의 명예회복, 호요방 총서기 선출.
1982
9월, 호요방 취임.
1984
12월, 중·영 홍콩 공동성명. 1997년에 반환 결정.
1985
6월, 인민공사, 정식으로 해체되고 향정부 성립.
1986
9월, 부르조아민주화 비판. 12월 학생운동 고양.
1987
1월, 호요방 사임. 조자양 취임.
10월, 중공 제13회 대회가 열려 '초급단계의 사회주의'라 규정.
1988
1월, 장경국 사망. 대만 출신의 이등휘 총통 승계.
1989
5월, 소련의 고르바초프 중국 방문.
6월 4일, 천안문사건 발생. 민주화운동 탄압.
조자양 사임. 강택민 취임.
1990
11월, 베를린장벽 붕괴.
1991
11월, 베트남 관계 정상화.
1992
1월 등소평이 화남의 경제특구와 상해 등을 시찰. <남순강화>가 공표되어 시장경 제 가속화.
8월 24일, 한중 수교.
9월, 북경아시안게임 개최
10월 12일, 중공 제14회 당대회에서 '사회주의시장경제'의 확립을 도모
1993
9월, 민주화운동가 위경생 등 석방.
1997
1월 17일, 등소평 사망.
7월 1일, 홍콩 반환.
남경에 복왕정권 성립.
1645
청, 남경 공략, 복왕정권 멸망. 복건에 당왕정권 성립. 이자성 살해됨
1646
당왕정권 멸망. 계왕 영력제 옹립.
1661
순치제 사망. 강희제 즉위. 영력제 체포되고, 남명정권 소멸.
정성공, 대만 웅거. 청, 천계령 공포.
1673
오삼계, 운남에서 거병. 삼번의 난 발생.
1682
顧炎武 사망(1613 - ).
1696
강희제, 갈단을 다시 친정. 다음 해 청의 외몽골 지배 확정.
1722
강희제 사망. 옹정제 즉위.
1723
천주교 포교 전면 금지.
1727
러시아와 캬흐타조약 체결.
1740
묘족의 난 발생.
1781
감숙에서 회교도의 난 발생.
1786
대만 임상문의 난 발생.
1788
베트남 출병( - 1789).
1816
영국사절 암허스트 북경 방문.
1839
6월, 임측서가 몰수한 아편을 폐기.
10월, 아편전쟁 수행을 영국하원이 결의.
1840
6월, 영국군이 광주를 봉쇄.
1842
8월, 남경조약 조인.
1853
3월, 태평천국군, 남경을 점령하고 천경으로 개칭
1856
10월, 애로우호사건 발생.
1858
5월, 러와 아이훈조약 체결. 6월, 영·미·프와 천진조약 체결.
1864
7월, 천경 함락, 태평천국 멸망.
1881
2월, 러시아와 이리조약 체결
1882
8월, 조선으로 청·일 양국 출병. 7월, 조선에서 임오군란 발생.
1884
8월, 청불전쟁 시작.
1885
6월, 프랑스와 천진조약 체결.
1886
7월 영국과 버마조약 체결.
1888
10월, 강유위 제1차 상서.
1894
8월, 청일전쟁 개시. 11월, 손문, 하와이에서 흥중회 결성.
1895
4월, 시모노세키조약 조인. 삼국 간섭.
5월, 강유위 등 공차상서.
6월, 일본군 대북 점령, 대만총독부 설치
1899
4월, 산동성에서 의화단 활동. 9월, 미국 국무장관 존 헤이 문호개방 선언.
1900
6월, 의화단이 북경 열강 공사관 포위. 청조가 열강에 선전포고.
1901
9월, 신축조약 체결.
1904
2월 러일전쟁 발발. 중국은 중립 선언.
1905
5월, 화교배척에 항의하여, 상해총상회 등이 미국상품 배척운동 결의.
8월, 동경에서 중국동맹회 결성. 9월 과거제 폐지.
1912
1월, 중화민국 남경임시정부 성립.
4월, 원세개 북경에서 임시대총통에 취임.
1914
7월, 손문, 동경에서 중화혁명당 결성.
8월, 일본이 독일에 대해 선전포고. 11월, 일본군이 청도 점령.
1916
6월, 원세개 사망. 군벌정치시대로 진입
1917
국민정부, 대독일 선전포고.
6월, 손문 등의 광동군정부 성립.
1919
5월, 5·4운동 시작.
1921
7월, 중국공산당 성립. 이 해에 상해에 방적공장 창업 활발.
1924
1월, 광주에서 국민당 제1회 전국대표대회, 제1차 국공합작 정식 시작.
1925
3월, 손문이 북경에서 병사. 5·30사건 발생.
1926
7월, 북벌 개시.
1927
4월, 장개석, 상해에서 반공 쿠데타.
8월, 8·7회의. 공산당 무장폭동노선으로 전환.
1931
9월, 9·18 만주사변 발생. 11월, 서금에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임시정부 성립.
1932
1월, 상해사변 발생. 3월, 만주국 건국 선언.
1934
10월, 대장정 시작.
1935
1월, 준의회의 개최. 8월, 8·18 선언 발표. 11월, 국민정부 폐제개혁.
1936
12월, 서안사건 발생.
1943
11월, 미국·영국·중국 카이로 회담.
1945
8월 15일, 일본 무조건 항복.
8월, 장개석과 모택동, 중경회담.
12월, 민주연합정부를 요구하는 학생을 탄압
1949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선언. 12월, 장개석, 대만으로 이주.
1953
제1차 5개년계획 개시.
1964
10월, 중국 원폭실험.
1965
11월, 요문원, ≪해서파관≫ 비판. 문화대혁명 시작.
1966
8월, 천안문 광장에서 홍위병 100만명 집회.
1968
10월, 유소기 영구제명 처분.
1971
9월, 임표 사건. 10월, 중국, 유엔대표권 획득.
1972
2월, 미국대통령 닉슨, 중국 방문.
9월, 일본 수상, 다나카 중국 방문하고 중일국교 수립.
1973
'비림비공'운동 고조.
1975
4월, 장개석 사망.
1976
1월, 주은래 사망.
4월, 천안문 광장에서 민중탄압(4·5 사건). 9월 모택동 사망.
10월, 사인방 체포. 문화대혁명 종결.
1977
7월, 등소평 복귀. 8월, 화국봉 취임. 12월, 통일대학 입시 재개
1978
12월, 중공 11기 3중전회. 경제개방정책으로.
1979
2월, 베트남과 전쟁 발발.
3월, 대자보·데모 규제를 통고하여 '북경의 봄' 마감.
7월, 경제특구 설치.
1980
2월, 중공 11기 5중전회. 유소기의 명예회복, 호요방 총서기 선출.
1982
9월, 호요방 취임.
1984
12월, 중·영 홍콩 공동성명. 1997년에 반환 결정.
1985
6월, 인민공사, 정식으로 해체되고 향정부 성립.
1986
9월, 부르조아민주화 비판. 12월 학생운동 고양.
1987
1월, 호요방 사임. 조자양 취임.
10월, 중공 제13회 대회가 열려 '초급단계의 사회주의'라 규정.
1988
1월, 장경국 사망. 대만 출신의 이등휘 총통 승계.
1989
5월, 소련의 고르바초프 중국 방문.
6월 4일, 천안문사건 발생. 민주화운동 탄압.
조자양 사임. 강택민 취임.
1990
11월, 베를린장벽 붕괴.
1991
11월, 베트남 관계 정상화.
1992
1월 등소평이 화남의 경제특구와 상해 등을 시찰. <남순강화>가 공표되어 시장경 제 가속화.
8월 24일, 한중 수교.
9월, 북경아시안게임 개최
10월 12일, 중공 제14회 당대회에서 '사회주의시장경제'의 확립을 도모
1993
9월, 민주화운동가 위경생 등 석방.
1997
1월 17일, 등소평 사망.
7월 1일, 홍콩 반환.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중국, 일본 지역경제통합의 이론적 고찰
중국의 대외직접투자와 한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과 대응
중국의 경제성장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 중국 직접투자한 한국기업의 애로사항에 관한 연구
중국의 무역정책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무역정책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 문법과 중국어 문법
한중고령화와 그 패러다임 변화 (한국, 중국)
[철학, 한국철학, 북한철학, 중국철학, 인도철학, 독일철학, 그리스철학(희랍철학), 한국, 북...
[기업조직][기업][조직][일본 기업조직][중국 기업조직][미국 기업조직][한국 기업조직][일본...
국어번역(한국어번역)의 특징, 중요성, 국어번역(한국어번역)의 오류, 국어번역(한국어번역)...
[인사제도][한국 인사제도][중국 인사제도][일본 인사제도]유럽연합 인사제도]한국 인사제도,...
중국 사회보험법과 한국 사회보험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에 -에서의 교육방안 연구 - 소재(所在)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