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영양학, 소아과학과 일반 상식 분야를 총망라하여 배우게 된다.
이론과 실습은 이 교육 과정 속에서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학업 시작 첫 2년 동안은 이론 수업을 하고, 3년째에 가서 실질적인 실습을 중점으로 수업을 받는다. 유아교사는 유치원, 아동 종합 병원, 어머니 상담 센터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환경에서 경험을 쌓게 된다.
이어서 1968년에 에바 슈미트-콜머(Eva Schmidt-Kolmer)의 총지휘 아래 의사들, 음악교사들, 체육교사들 및 유아원 관계자들에 의해 공동 집필된 책 유아원의 교육적 과제와 작업(Padagogische Aufgaben und Arbeitsweise der Krippen)은 매우 의학적이던 동독 유아원의 방향을 교육적이고 발달적인 방향으로 재조정하는 데에 15년 동안이나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1968년의 교육 프로그램이 시대에 뒤떨어지게 되는 80년대에 들어서서 또 한 번의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졌다.
10년 간의 연구, 프로그램 초안 작성, 개정, 평가 등을 거쳐서 1985년부터는 ‘유아원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서, 1986년에는 동독의 500개 유아원에 소개되었으며, 1987-88년 이후에는 모든 유아원에서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에는 교육적 목적이 6-12개월, 13-24개월로, 유아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에는 유아원 교육의 장기 목표를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일련의 주요 과제가 예시되어 있다.
- 유아의 건강과 신체 발달의 유지와 촉진
- 주제와 관련된 놀이와 다른 활동들의 발달, 감각지각학습기술의 발달
- 언어 획득의 촉진
-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또래그룹 간의 긍정적 관계의 발달
- 도덕 교육과 심미 교육
그리고 2-3세 유아들을 위해서는 교구 교재, 언어 교육, 사회 환경과 자연의 소개, 신체 교육, 음악 교육, 미술 교육과 같은 6개의 서로 다른 주제별 영역이 분류되어 세부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유아원 프로그램 전체 속에 유아의 변화하는 발달적 요구가 잘 반영되고 있고, 거의 모든 유아들이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동독의 영유아 보육은 세계의 칭찬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다를 바가 거의 없는 획일화된 프로그램을 제공받아야 한다는 사실이 다양성을 중요시하는 프랑스와 같은 나라에서는 큰불만을 살수도 있을 것이다.
이론과 실습은 이 교육 과정 속에서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학업 시작 첫 2년 동안은 이론 수업을 하고, 3년째에 가서 실질적인 실습을 중점으로 수업을 받는다. 유아교사는 유치원, 아동 종합 병원, 어머니 상담 센터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환경에서 경험을 쌓게 된다.
이어서 1968년에 에바 슈미트-콜머(Eva Schmidt-Kolmer)의 총지휘 아래 의사들, 음악교사들, 체육교사들 및 유아원 관계자들에 의해 공동 집필된 책 유아원의 교육적 과제와 작업(Padagogische Aufgaben und Arbeitsweise der Krippen)은 매우 의학적이던 동독 유아원의 방향을 교육적이고 발달적인 방향으로 재조정하는 데에 15년 동안이나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1968년의 교육 프로그램이 시대에 뒤떨어지게 되는 80년대에 들어서서 또 한 번의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졌다.
10년 간의 연구, 프로그램 초안 작성, 개정, 평가 등을 거쳐서 1985년부터는 ‘유아원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서, 1986년에는 동독의 500개 유아원에 소개되었으며, 1987-88년 이후에는 모든 유아원에서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에는 교육적 목적이 6-12개월, 13-24개월로, 유아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에는 유아원 교육의 장기 목표를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일련의 주요 과제가 예시되어 있다.
- 유아의 건강과 신체 발달의 유지와 촉진
- 주제와 관련된 놀이와 다른 활동들의 발달, 감각지각학습기술의 발달
- 언어 획득의 촉진
-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또래그룹 간의 긍정적 관계의 발달
- 도덕 교육과 심미 교육
그리고 2-3세 유아들을 위해서는 교구 교재, 언어 교육, 사회 환경과 자연의 소개, 신체 교육, 음악 교육, 미술 교육과 같은 6개의 서로 다른 주제별 영역이 분류되어 세부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유아원 프로그램 전체 속에 유아의 변화하는 발달적 요구가 잘 반영되고 있고, 거의 모든 유아들이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동독의 영유아 보육은 세계의 칭찬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다를 바가 거의 없는 획일화된 프로그램을 제공받아야 한다는 사실이 다양성을 중요시하는 프랑스와 같은 나라에서는 큰불만을 살수도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영유아보육법]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취지와 발달과정
보육학개론(영유아보육 개념,보육의 개념변화,보육의 의의,요약하기
영유아보육의 이념과 정책지원체계 (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법).PPT자료
영유아보육학개론 - 영유아보육 - 언어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 PPT자료
[영유아보육학개론] 영유아보육(연간, 월간, 주간 보육계획과 일과계획 및 운영).PPT자료
영유아보육법- 영유아보육법 의의, 내용, 문제점, 필요성, 주요내용
[사회복지법제론] 영유아보호법 - 영유아보육법의 개요(의의, 입법배경, 목적) 및 영유아보육...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중요성,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과제 고찰
[영유아보육법]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의 특징과 기존법과의 차이점 및 실제적
영유아보육법(사회서비스법, 영유아보육법의의, 입법배경, 영유아보육법대상, 전달체계, 사회...
2015년 1학기 영유아보육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2004년 영유아보육법 특성, 보육정책)
[요약정리] 『영유아보육법 (嬰幼兒保育法)』 영유아보육법의 특징, 영유아보육법 ...
2016년 1학기 영유아보육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2004년 영유아보육법 특성, 보육정책)
영유아보육복지정책의 의의와 목적 영유아보육정책을 반영한 영유아보육복지법의 주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