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TOPE 비오토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태계가 단절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하며, 하천의 경우 직선화되고 콘크리트로 덮혀진 하천을 굽이굽이 흐르는 장녀형 하천으로 복원하여 물길을 따라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이동하고 서식 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도시의 경우 하천은 도심의 공원이나 녹지로 생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의 역할과 수서곤충과 물고기들의 서식장소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시에서는 턱없이 부족한 도심의 녹지와 생물서식공간을 해결하기 위해 버려진 소택지나 하천둔치, 쓰레기 매립장을 생태공원화하고 생물이 살 수 있는 소규모의 인공 호수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렇게 조성된 생물서식공간을 비오토프라고 한다.
3. 결론
최근에 생태계 보전 기법이 이슈로 떠오르는 것은 산업화로 인한 심각한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인지하였고, 또 삭막한 도시주거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자각에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Biotope의 용어적 개념과 생태계 보전의 기법 중 하천에 관한 근자연형 하천공법과 다자연형 하천공법에 관하여 그리고 Biotope Network계획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 보았는데, 우리나라도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생태계보전을 위해서 환경부의 주도로 외국의 생태계 보전기술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 여러 연구기관에서 국내에 맞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까지는 경제적인 논리와 기술의 미흡으로 뚜렷한 결실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무분별한 외국 기법의 도입보다는 국내 환경에 맞는 기법을 개발하여 생태계 보전을 위해 사용해야 하며, 아울러 시민들의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가격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8.03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