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a2+-gate
2. Synaptic Vesicle(소낭)
3. Chemical Receptor
4. Cell Body의 출력 결정 방식
5. 2차전달자계
2. Synaptic Vesicle(소낭)
3. Chemical Receptor
4. Cell Body의 출력 결정 방식
5. 2차전달자계
본문내용
수용기는 양이온에 대한 sink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억제가 흥분보다 더 강력한 이유( more ) - 억제성 시냅스는 흥분성 시냅스보다 축삭의 최초분절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5. 2차전달자계
단백질 수용기분자가 이온통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세포막 안에서 화학반응을 격발 시킨다. 시냅스 전달이 완결되는 데 수 msec - 수 분 까지 걸린다.
세포막내의 화학반응 결과들
1. 화학적 사건이 이온통로의 개방에 의해 EPSP, IPSP를 발생
2. Sodium-Potassium Pump에 영향을 미쳐 세포 내 이온농도를 변화시킨다.
3. 세포핵의 DNA에 작용하여 물질 생산에 관여 - 뉴런의 영구적인 변화
기능 - 빠른 1차 전달 기능을 조정(Modulation)하는 것으로 여겨짐
억제가 흥분보다 더 강력한 이유( more ) - 억제성 시냅스는 흥분성 시냅스보다 축삭의 최초분절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5. 2차전달자계
단백질 수용기분자가 이온통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세포막 안에서 화학반응을 격발 시킨다. 시냅스 전달이 완결되는 데 수 msec - 수 분 까지 걸린다.
세포막내의 화학반응 결과들
1. 화학적 사건이 이온통로의 개방에 의해 EPSP, IPSP를 발생
2. Sodium-Potassium Pump에 영향을 미쳐 세포 내 이온농도를 변화시킨다.
3. 세포핵의 DNA에 작용하여 물질 생산에 관여 - 뉴런의 영구적인 변화
기능 - 빠른 1차 전달 기능을 조정(Modulation)하는 것으로 여겨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