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대화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의 대화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실을 부인한다. 그는 인간의 성장이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에서 비롯될 수 없다는 점을 예로 들어 그것을 부정하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물질적인 것은 그것에 어떤 이름을 붙이든 사물의 궁극적인 원인이 될 수 없다고 확언하면서 "정신의 세계에서 사물의 궁극적 원인을 찾고자 했다." 소크라테스는 사물의 궁극 원인으로서 이데아의 존재를 가정하고 영혼 불멸에 대한 증명을 시도한다.
파이돈에 등장하는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상호 동의에 바탕을 두고 주장되는 가설적 이론이다. 소크라테스의 사유는 "사물의 궁극 원인을 이데아 - 아름다움 자체, 선 자체, 큼 자체 등등이 있다는 전제로 출발한다."소크라테스에 따르면 어떤 것을 아름답다고 하기 위해서는 그 대상이 아름다움이라는 반성을 가지고 있을 때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물이 크다 혹은 작다고 말할 때에도 그 사물에 크다든 가 혹은 작다고 규정할 수 있는 속성들이 사물에 내재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이렇게 볼 때 사물을 판단 할 수 있는 원인은 사물의 드러난 현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물 자체가 원래부터 가지고 있는 본성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큰 것은 작은 것일 수 없고 작은 것은 큰 것일 수 없다. 왜냐하면 모든 사물의 본래의 본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그 본성에 따라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이와 같은 논증을 영혼 불멸의 증거를 설명하는 논증에 적용시킨다.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육체에 생명을 부여하는 것은 영혼이다. 생명의 반대가 죽음이라면 죽음은 영혼의 부재라고 할 수 있다. 영혼은 그것이 지니고 있는 본질과 반대되는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불사신이므로 영혼은 불사이다."불사 적인 것은 단어의 의미상 불멸적이다. 따라서 영혼은 불사 적인 동시에 불멸한다. 이처럼 소크라테스는 이데아 설을 바탕으로 하여 영혼의 불멸과 불사를 논증하고 있다. 이 논증 과정을 추론해 보면 플라톤이 말하는 영혼은 그 자신 생명을 속성으로 갖고 있으며 육체에 생명을 제공하고 또 육체의 원인이 되는 이데아 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영혼은 물질적인 육체에 전혀 의존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 자체에 물질적인 것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정신적인 실체임도 알 수 있다.
Ⅳ.플라톤의 생각은 개별적 형상이 상기를 통한 인식이 대상이긴 하지만 상기설이 지닌 경험적 요소를 염두에 둔다면, 상기설 만으로는 '같음 자체가 있다'라는 주장을 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등장하는 방법이 '근거세우기'이다.
근거세우기는 다시 개별 형상에 대한 근거세우기와 개별 형상을 넘어선, 자기 스스로 근거를 가지는 시원인 좋음의 형상을 발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존재자의 원인으로서의 공통의 좋음을 발견하는 것이며 동시에 그것을 지향하는 변증법적 과정을 모색하는 것이다. 플라톤은 이데아의 존재에 증명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데 그 방법이 바로, 가설의 방법에 의해서 이데아가 가정되고, 이렇게 가정된 이데아로부터 만물의 생성, 소멸을 좀더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8.11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