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 [사회과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민심서 [사회과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관(발간이유,변천)

2. 세부내용
부임육조
율기육조
봉공육조
애민육조
이전육조
호전육조
예전육조
병전육조
형전육조
공전육조
진황육조
해관육조

3. 현대 관리들에게 시사점

4. 목민심서의 실천윤리
목민관 선임의 중요성,
청렴 · 절검(節儉)의 생활신조,
민중본위의 봉사정신

본문내용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하민(下民)들은 여위고 곤궁하고 병까지 들어 진구렁 속에 줄을 이어 그득한데도, 그들을 다스리는 자는 바야흐로 고운 옷과 맛있는 음식에 자기만 살찌고 있으니 슬프지 아니한가”
라는 구절이 있다.어느 민족, 어느 시대에나 잘못된 지도자의 전형은백성을 부양하는데 애쓰는 것이 아니라 권력을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채우는 일을 우선하는 존재이다.이러한 지적은 또 다른 구절인\"또한 청렴은 수령의 본무이며 모든 선의 원천이며 덕의 근본이니, 청렴하지 않고 능히 수령노릇 할 수 있는 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에서 볼 수 있듯이\'청렴\'이라는 덕목이 우선되어야만개인의 욕심을 벗어버리고, 백성에게 관심을 가질 원천이 되는 것이다.목민심서의 실천윤리를 분석해보면그 1편부터 4편에서 강조하는 것은첫째 목민관 선임의 중요성, 둘째 청렴 · 절검(節儉)의 생활신조, 셋째 민중본위의 봉사정신 등을 들고 있다.수령은 근민(近民)의 직무를 담당하는 자로서 다른 관직보다 직접적으로 백성에게 영행을 주는 관리이다.
그러므로, 덕행 · 신망 · 위신이 있는 선비를 임명하여, 청렴과 절검한 마음으로 명예와 재리를 탐하지 않고 뇌물을 받지 말아야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국가의 영을 알리고, 민심을 상부 관청에 전달하는 것이 기본 책무이며 민중을 사랑하는 애휼정치가 중요한 덕목이다.현재의 많은 위정자는 청렴하고 절검하여 명예와 재리를 탐하지 않아야 하는 의무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모두가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그런 위정자의 수가 많다는 것이다.다음 5편에서 11편까지의 6편은이전,호전,예전,병전,형전,공전으로 조선시대의 관리체계의 기본인 이호예병형공 여섯가지의 실무에 관하여 목민의 의무를 설명하고 있다.실천 정책을 명확히 세우고 실행하는 지도자라면 이 덕목에 만족할 것이며담당하는 실무에 소홀한 지도자라면 이 덕목에서 단점을 가질 것이다.마지막, 두 편인 진황(賑荒), 해관은 역시 수령의 실무에 속해야 할 것인빈민구제의 진황정책과 다음 수령에 교체될 때 해야할 일을 적은 것으로서진황은 오늘날 서민 정책이나 소년소녀가장, 독거노인 등을 위한 정책으로 볼 수 있으며해관은 정권교체나 임기 만료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위정자는 정권이 바뀌거나 국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의 임기가 끝날 때
다음 담당자에게 업무의 위임을 성심껏 하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당파간 정권간 협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은 목민심서에 어긋난 행동이다.
목민심서는 전편에 걸쳐벼슬길에서의 선종(善終)을 지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청렴,절검을 기본으로 백성의 현실을 잘 살펴 실무를 펼치고
소외되는 민중을 보살펴 고루 행복할 수 있도록 애쓰고다른 지도자와도 소통이 원활하여 모든 고을이 고루 잘 살고, 모든 지도자들이 선정을 펼치기를 돕는 글이다.즉, 관(官)의 입장에 서서 정치를 하지 않고, 민(民)의 편에 서서 민치를 하는 것이이 책의 가장 큰 원칙이라고 할 수 있겠다.
지도자로서의 몸가짐은 이 한 가지만 애쓴다고 해도 존경받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8.16
  • 저작시기202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