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방사능과 원자학
2. 방사능 수명
3. 방사능 단위
4. 방사능의 위험성
5. 방사선 장애의 개요
6. 정신적 방사선 장애
7. 국소적 방사선 장애
8. 방사선 장애의 치료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방사능과 원자학
2. 방사능 수명
3. 방사능 단위
4. 방사능의 위험성
5. 방사선 장애의 개요
6. 정신적 방사선 장애
7. 국소적 방사선 장애
8. 방사선 장애의 치료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30일 이내에 사망하는 선량
선량(Gy)
증상
0.05 - 0.25
염색체이상 관찰의 최소선량
0.25 - 0.5
백혈구 변화
0.5 - 0.75
개인적 혈액상변화 식별
0.75 - 1.25
피폭자 10% 오심
1 - 2
구토, 무력증, 혈액상변화
3 - 5
조혈기능장해(LD50/30*)
7 - 10
위장증후군(LD100/30)
15이상
중추신경계 증후군(조기사망)
확률적 영향은 장기간 동안의 저선량 피폭에 의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신체영향으로 잠복기를 지니고 있다. 암의 발생과 유전적 장해가 대표적인 경우이고 방사선 유발 백혈병의 경우 잠복기가 대략 8년, 유방암과 폐암과 같은 일반 고형암은 10년 정도의 잠복기를 지닌다.
방사선 유발암은 방사선의 피폭 후 변형되거나 손상된 체세포가 정상세포로 회복하지 못하고 이상복제능력을 가진 악성종양으로 발전한 경우로써 방사선피폭에 의한 발암은 이외의 다른 원인(화학독성물질 등)에 의하여 발생된 암과는 구분되지 않는다.
유전적 영향이란 생식세포의 방사선 피폭으로 유전자 변이가 발생했을 경우 피폭 당사지에게서는 장해가 나타나지 않지만 피폭자의 후손에게 이상유전형질이 전달되어 유전적 장해를 유발하는 영향이다.
방사선이 어떠한 과정으로 암을 유발하는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방사선에 의한 암과 다른 요인에 인한 암을 구별할 수도 없다.
현재까지 알려진 방사선에 의한 암 유발 과정에 대한 가설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방사선에 의해 세포내의 염색체가 손상을 받고 그 세포가 비정상적인 성장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암이 발생하게 된다는 가설. 두번째로 방사선이 세포에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인체의 저항력을 약화시킴으로 암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세번째로 체내에 존재하면서 정상세포에 심각한 영향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방사선이 활성화시켜서 급속히 증식하게 됨으로써 암이 발생한다는 가설이 있다.
방사선은 여러 가지 발암인자중 하나일 뿐이므로 방사선작업이 반드시 암을 일으킨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높은 선량을 받은 원폭생존자의 역학조사의 경우에도 암 발생률이 약간 증가했을 뿐이며 이는 고선량을 피폭한 개인들의 경우 또는 선량한도를 초과하여 피폭된 경우도에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사람이 매일 방사선과 연관된 환경에서 생활하지만 모든사람이 다 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설령 아주 낮은 준위의 방사선을 피폭으로 체세포 및 생식세포의 변이가 발생했다 할지라도 대부분의 경우에는 인체의 복구체계에 의해 손상부분은 쉽게 복구가 된다.
따라서 방사선과 암의 관계는 흡연이 폐암을 유발하는 관계와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담배를 피우는 모든 사람이 폐암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담배를 많이 피울 수록 폐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피폭한 방사선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다.
방사선방호에서 사용하는 선량한도는 안전과 위험을 구분하는 제한치가 아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고속도로의 속도제한과 비교해볼 수 있다. 운전자가 제한속도를 초과한다고 해서 항상 사고가 나는 것은 아니며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방사선 작업자의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선량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건강상의 위험은 커질 수는 있지만 선량한도를 초과했다고 해서 무조건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는 없다. 또한 실제 방사선 작업장에서는 작업자가 당해에 선량한도를 초과했을 경우에 작업자의 업무전환 등과 같은 방법으로 방사선작업을 제한함으로써 더이상의 선량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임신하여 산모가 교통사고나 다른 내과, 외과적 질환등 응급상황에서 방사선 촬영을 꼭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산모들은 방사선 촬영을 두려워 한다. 임신 전기간에 최대 방사선량은 0..5RPM(500m RPM)정도로 예를 들어 제왕 절개시 필수적으로 흉부-방사선 촬영시 방사선량은 0.8REM입니다. 이때 배를 납으로된 보호의를 산모가 입은 상태에서 방사선 촬영을 합니다. 방사선량이 임신주수, 방사선량, 방사선 촬영횟수에 따라 차이가 날수 있고, 방사선 노출에 예민한 시기는 착상시기 입니다. 착상시기에 30rad이상 방사선량에 노출시 유산율 50% 선천성 기형 특히 소뇌아, 백혈병 저체중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진단목적으로 방사선 노출시 50에서 400mREM이고 30REM이하에서 태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산모들은 방사선 노출에 유산위험성으로 불안해 한다. 현재 사전진찰에 필수적인 초음파는 태아에 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태아 건강상태 파악을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직업의 종류
평균수명손실
모든 산업
60일
농업
320일
건설업
227일
광산 및 채석장
167일
제조업
40일
직업적 피폭(10mSv)
51일
※ 평균수명손실을 이용한 리스크 비교
건강상의 리스크
평균수명손실
하루에 20개피 흡연
6년
과체중(15%)
2년
음주(미국 평균)
1년
모든 사고
207일
자연 재해
7일
직업적 피폭(10mSv)
51일
※ 백만명 중 1명이 사망할 리스크(미국 DOE의 방사선 종사자 교육자료)
- 1.4개피의 흡연(폐암)
- 티스푼으로 땅콩버터 40스푼 섭취
- 뉴욕시에서 이틀간 거주(공기오염)
- 65km 자동차운전(사고)
- 4000km 비행기 탑승(사고)
- 0.1mSv 방사선피폭(암)
Ⅳ. 참고문헌
1. http://www.radlab.hanyang.ac.kr/rad_pro/rad_basic/deacy.htm
2. http://moolynaru.knu.ac.kr/environment/radioactivity/yiyong/html/chamgo/
html/rayUyak/rayUyak.htm
3. http://moolynaru.knu.ac.kr/environment/radioactivity/yiyong/html/chamgo/
html/isotopeYiyong/isotopeYiyong.htm
4. http://www.i-science.hs.kr/cyber/Phy_Home/물리멀티미디어/JAVA1/HALF_VALUE_
PERIOD1.htm
선량(Gy)
증상
0.05 - 0.25
염색체이상 관찰의 최소선량
0.25 - 0.5
백혈구 변화
0.5 - 0.75
개인적 혈액상변화 식별
0.75 - 1.25
피폭자 10% 오심
1 - 2
구토, 무력증, 혈액상변화
3 - 5
조혈기능장해(LD50/30*)
7 - 10
위장증후군(LD100/30)
15이상
중추신경계 증후군(조기사망)
확률적 영향은 장기간 동안의 저선량 피폭에 의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신체영향으로 잠복기를 지니고 있다. 암의 발생과 유전적 장해가 대표적인 경우이고 방사선 유발 백혈병의 경우 잠복기가 대략 8년, 유방암과 폐암과 같은 일반 고형암은 10년 정도의 잠복기를 지닌다.
방사선 유발암은 방사선의 피폭 후 변형되거나 손상된 체세포가 정상세포로 회복하지 못하고 이상복제능력을 가진 악성종양으로 발전한 경우로써 방사선피폭에 의한 발암은 이외의 다른 원인(화학독성물질 등)에 의하여 발생된 암과는 구분되지 않는다.
유전적 영향이란 생식세포의 방사선 피폭으로 유전자 변이가 발생했을 경우 피폭 당사지에게서는 장해가 나타나지 않지만 피폭자의 후손에게 이상유전형질이 전달되어 유전적 장해를 유발하는 영향이다.
방사선이 어떠한 과정으로 암을 유발하는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방사선에 의한 암과 다른 요인에 인한 암을 구별할 수도 없다.
현재까지 알려진 방사선에 의한 암 유발 과정에 대한 가설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방사선에 의해 세포내의 염색체가 손상을 받고 그 세포가 비정상적인 성장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암이 발생하게 된다는 가설. 두번째로 방사선이 세포에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인체의 저항력을 약화시킴으로 암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세번째로 체내에 존재하면서 정상세포에 심각한 영향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방사선이 활성화시켜서 급속히 증식하게 됨으로써 암이 발생한다는 가설이 있다.
방사선은 여러 가지 발암인자중 하나일 뿐이므로 방사선작업이 반드시 암을 일으킨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높은 선량을 받은 원폭생존자의 역학조사의 경우에도 암 발생률이 약간 증가했을 뿐이며 이는 고선량을 피폭한 개인들의 경우 또는 선량한도를 초과하여 피폭된 경우도에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사람이 매일 방사선과 연관된 환경에서 생활하지만 모든사람이 다 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설령 아주 낮은 준위의 방사선을 피폭으로 체세포 및 생식세포의 변이가 발생했다 할지라도 대부분의 경우에는 인체의 복구체계에 의해 손상부분은 쉽게 복구가 된다.
따라서 방사선과 암의 관계는 흡연이 폐암을 유발하는 관계와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담배를 피우는 모든 사람이 폐암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담배를 많이 피울 수록 폐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피폭한 방사선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다.
방사선방호에서 사용하는 선량한도는 안전과 위험을 구분하는 제한치가 아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고속도로의 속도제한과 비교해볼 수 있다. 운전자가 제한속도를 초과한다고 해서 항상 사고가 나는 것은 아니며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방사선 작업자의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선량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건강상의 위험은 커질 수는 있지만 선량한도를 초과했다고 해서 무조건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는 없다. 또한 실제 방사선 작업장에서는 작업자가 당해에 선량한도를 초과했을 경우에 작업자의 업무전환 등과 같은 방법으로 방사선작업을 제한함으로써 더이상의 선량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임신하여 산모가 교통사고나 다른 내과, 외과적 질환등 응급상황에서 방사선 촬영을 꼭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산모들은 방사선 촬영을 두려워 한다. 임신 전기간에 최대 방사선량은 0..5RPM(500m RPM)정도로 예를 들어 제왕 절개시 필수적으로 흉부-방사선 촬영시 방사선량은 0.8REM입니다. 이때 배를 납으로된 보호의를 산모가 입은 상태에서 방사선 촬영을 합니다. 방사선량이 임신주수, 방사선량, 방사선 촬영횟수에 따라 차이가 날수 있고, 방사선 노출에 예민한 시기는 착상시기 입니다. 착상시기에 30rad이상 방사선량에 노출시 유산율 50% 선천성 기형 특히 소뇌아, 백혈병 저체중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진단목적으로 방사선 노출시 50에서 400mREM이고 30REM이하에서 태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산모들은 방사선 노출에 유산위험성으로 불안해 한다. 현재 사전진찰에 필수적인 초음파는 태아에 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태아 건강상태 파악을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직업의 종류
평균수명손실
모든 산업
60일
농업
320일
건설업
227일
광산 및 채석장
167일
제조업
40일
직업적 피폭(10mSv)
51일
※ 평균수명손실을 이용한 리스크 비교
건강상의 리스크
평균수명손실
하루에 20개피 흡연
6년
과체중(15%)
2년
음주(미국 평균)
1년
모든 사고
207일
자연 재해
7일
직업적 피폭(10mSv)
51일
※ 백만명 중 1명이 사망할 리스크(미국 DOE의 방사선 종사자 교육자료)
- 1.4개피의 흡연(폐암)
- 티스푼으로 땅콩버터 40스푼 섭취
- 뉴욕시에서 이틀간 거주(공기오염)
- 65km 자동차운전(사고)
- 4000km 비행기 탑승(사고)
- 0.1mSv 방사선피폭(암)
Ⅳ. 참고문헌
1. http://www.radlab.hanyang.ac.kr/rad_pro/rad_basic/deacy.htm
2. http://moolynaru.knu.ac.kr/environment/radioactivity/yiyong/html/chamgo/
html/rayUyak/rayUyak.htm
3. http://moolynaru.knu.ac.kr/environment/radioactivity/yiyong/html/chamgo/
html/isotopeYiyong/isotopeYiyong.htm
4. http://www.i-science.hs.kr/cyber/Phy_Home/물리멀티미디어/JAVA1/HALF_VALUE_
PERIOD1.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