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문명의 충돌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이해의 중요성-
Ⅱ. 본론
- 중국 외교의 이해를 위한 기초(基礎)-
① 중국인의 세계관(世界觀)
② 중국의 대외인식과 현대(現代) 외교사(外交史)
③ 새로운 세기의 중국 외교
Ⅲ. 결론
- 문명의 충돌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이해의 중요성-
Ⅱ. 본론
- 중국 외교의 이해를 위한 기초(基礎)-
① 중국인의 세계관(世界觀)
② 중국의 대외인식과 현대(現代) 외교사(外交史)
③ 새로운 세기의 중국 외교
Ⅲ. 결론
본문내용
룬다는 것이 외세 의존적이고 주체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지만, 한반도 문제가 더 이상 국내적 문제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상황을 상기(想起)해 볼 때 이는 현실을 도외시 한 논박(論駁)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도 그랬듯이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강대국들은 남북한 통일 문제를 자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여건으로 조성하여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것이 분명하다.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들의 역학 관계는 급변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증강이 눈에 띄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우리의 안보와도 직결되지만 동북아 정세의 불안을 가져오는 요소가 되고 있다. 그 상황을 살펴보면, 미국이 클린턴 행정부의 외교 정책에 따라 동북아의 질서 유지를 역내(域內) 국가인 일본에게 전가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이에 중국이 도전·대립하고 있으며 남북한은 여전히 냉전(冷戰) 중이다. 여기에 러시아가 전통적인 대국(大國)의 위치를 잃지 않으려는 의도를 보임으로써 각국의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상태이다. 미국과 일본의 가이드 라인(미·일 방위 협력 지침)에 따라 자위대의 활동 폭이 넓어졌으며 중국은 이를 위기로 인식하여 군사력 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동북아시아에는 중국군(中國軍) 293만 5천명, 일본 자위대 23만 9천명, 러시아 극동 사령부 56만 명, 동북아 주둔 미군(美軍) 10만 4천명이 병력의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다수의 항공기(航空機)(중국 - 6348대, 일본 - 999대, 러시아 - 1233대, 미국 - 430대)와 함정(艦艇)(중국 - 1434 , 일본 - 231, 러시아 - 403, 미국 - 50)이 세력을 맞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남북한 총 160만의 정규 군사까지 포함하면 엄청난 화력(火力)과 군사력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 7)
이러한 상황적 요소를 고려할 때 동북아 지역에서의 무력 충돌은 그 피해 규모의 산출조차 어려울 정도로 처참한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를 토대로 우리가 현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 대안(代案)으로 고려 할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세기의 국제 관계에서 동북아 4 강 사이에서의 중재자로서 분쟁을 조정하고 이로부터 이익을 도모하는 역할을 위한 협상가적(協商家的) 외교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대로 중국은 새로운 세기의 강대국으로 성장하여 21 세기에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이다. 인권과 무역마찰, NATO의 유고 공습을 놓고 벌이는 대립 관계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는 전통적 동반자 관계인 미국과 새로운 협력자 관계인 중국 사이에서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으로 양국의 갈등을 조정하고 그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취해야 할 것이다. 중국인들이 변방(邊方) 민족들의 침입을 오랑캐로써 막았던 '이이 제이(利夷制夷)'의 예(例)에서처럼 강대국들의 세력을 조정하면서 심각한 갈등을 유발시키지 않을 수 있는 '이강 제강(利强制强)'의 외교술(外交術)이 필요하다 하겠다.
주 7) 국방백서 1998년도. 국방부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들의 역학 관계는 급변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증강이 눈에 띄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우리의 안보와도 직결되지만 동북아 정세의 불안을 가져오는 요소가 되고 있다. 그 상황을 살펴보면, 미국이 클린턴 행정부의 외교 정책에 따라 동북아의 질서 유지를 역내(域內) 국가인 일본에게 전가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이에 중국이 도전·대립하고 있으며 남북한은 여전히 냉전(冷戰) 중이다. 여기에 러시아가 전통적인 대국(大國)의 위치를 잃지 않으려는 의도를 보임으로써 각국의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상태이다. 미국과 일본의 가이드 라인(미·일 방위 협력 지침)에 따라 자위대의 활동 폭이 넓어졌으며 중국은 이를 위기로 인식하여 군사력 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동북아시아에는 중국군(中國軍) 293만 5천명, 일본 자위대 23만 9천명, 러시아 극동 사령부 56만 명, 동북아 주둔 미군(美軍) 10만 4천명이 병력의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다수의 항공기(航空機)(중국 - 6348대, 일본 - 999대, 러시아 - 1233대, 미국 - 430대)와 함정(艦艇)(중국 - 1434 , 일본 - 231, 러시아 - 403, 미국 - 50)이 세력을 맞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남북한 총 160만의 정규 군사까지 포함하면 엄청난 화력(火力)과 군사력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 7)
이러한 상황적 요소를 고려할 때 동북아 지역에서의 무력 충돌은 그 피해 규모의 산출조차 어려울 정도로 처참한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를 토대로 우리가 현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 대안(代案)으로 고려 할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세기의 국제 관계에서 동북아 4 강 사이에서의 중재자로서 분쟁을 조정하고 이로부터 이익을 도모하는 역할을 위한 협상가적(協商家的) 외교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대로 중국은 새로운 세기의 강대국으로 성장하여 21 세기에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이다. 인권과 무역마찰, NATO의 유고 공습을 놓고 벌이는 대립 관계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는 전통적 동반자 관계인 미국과 새로운 협력자 관계인 중국 사이에서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으로 양국의 갈등을 조정하고 그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취해야 할 것이다. 중국인들이 변방(邊方) 민족들의 침입을 오랑캐로써 막았던 '이이 제이(利夷制夷)'의 예(例)에서처럼 강대국들의 세력을 조정하면서 심각한 갈등을 유발시키지 않을 수 있는 '이강 제강(利强制强)'의 외교술(外交術)이 필요하다 하겠다.
주 7) 국방백서 1998년도. 국방부
추천자료
한국과 중국관계 변화
국제경제관계와 국제경쟁
길핀의 국제관계의 정치경제학 중 국제통화문제
국제경제관계와 국제무역질서
[국제법, 국제관계] 국제법 판례 10선
[세계대전]제1차 세계대전 전의 국제관계, 제1차 세계대전의 시작,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 ...
[국제경제관계론의 필요성] 국제사회의 정치-경제-사회 상호연관성과 국제경제관계 관점의 필...
[국제경제관계론 개관] 경제적 진보와 목표 및 국가, 국제사회의 성립과 국제관계 및 필요성...
국제경제관계와국제경쟁
19세기중국외교의특징
북한 사회의 형성, 체재, 특징, 구조적 문제점, 국제관계, 북한 미래 전망, 관리, 역할, 기법...
동북아 국제정세, 북미 고위급 회담, 동북 국제관계 동향, 이해관계, 실효성, 변화, 영향, 역...
우리 눈으로 바라본 서방의 국제관계학
칠레- 투자환경,경제동향 및 정책,국제관계,정치동향,노무제도,칠레 교역 및 투자 확대,칠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