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목차
제 1장 응급처치법의 원리
1. 응급처치의 필요성
2. 위급상황시 행동요령
3. 쇽(Shock)
4. 응급처치 시 알아야 할 사항
제 2 장 구조호흡, 심폐소생술, 기도폐쇄
1. 구조호흡
2. 심폐소생술
3. 기도폐쇄
제 3장 상처, 붕대, 드레싱
1. 피부조직 및 혈액
2. 상처
3. 응급처치
4. 드레싱 및 붕대
5. 특수한 상황
제 4장 열과 냉에 의한 손상
1. 화상
2. 동상과 저체온증
제 5 장 골절
1. 골격 및 근육
2. 부목 사용법
3. 신체 부위별 골절 처치
4. 탈구
5. 염좌
6. 특수한 골절 상황
제 6 장 중독
1. 약물중독
2. 가스 및 화학물질 흡입
3. 벌레에 물리거나 쏘였을 때
4. 독성식물에 의한 중독
제 7장 운반
1. 들 것 만들기
2. 들 것에 옮기는 방법
3. 들 것 운반법
4. 기타 운반방법
흔히 일어나는 급한 병에 대한 응급처치
1. 응급처치의 필요성
2. 위급상황시 행동요령
3. 쇽(Shock)
4. 응급처치 시 알아야 할 사항
제 2 장 구조호흡, 심폐소생술, 기도폐쇄
1. 구조호흡
2. 심폐소생술
3. 기도폐쇄
제 3장 상처, 붕대, 드레싱
1. 피부조직 및 혈액
2. 상처
3. 응급처치
4. 드레싱 및 붕대
5. 특수한 상황
제 4장 열과 냉에 의한 손상
1. 화상
2. 동상과 저체온증
제 5 장 골절
1. 골격 및 근육
2. 부목 사용법
3. 신체 부위별 골절 처치
4. 탈구
5. 염좌
6. 특수한 골절 상황
제 6 장 중독
1. 약물중독
2. 가스 및 화학물질 흡입
3. 벌레에 물리거나 쏘였을 때
4. 독성식물에 의한 중독
제 7장 운반
1. 들 것 만들기
2. 들 것에 옮기는 방법
3. 들 것 운반법
4. 기타 운반방법
흔히 일어나는 급한 병에 대한 응급처치
본문내용
궈둬야 한다.
∴ ③ 정량 이상으로 먹어야 효과가 있다. - 정량만 복용해야 한다.
3. 구토 금기 대상자가 아닌 것은?
① 부식제 성질 복용자 ② 복용 시간이 6~8hrs 소요 후 환자는 관장 시행
③ 임신부 ④ 경련 증상 ⑤ 1세 이상의 아이
∴ ⑤ 1세 이상의 아이 - 1세 미만의 아이가 금기 대상자이다.
(○, × 문제)
4. 약물 중독의 원인은 증상 구토, 설사, 복통, 수면(졸음)이다.
∴ ○
5. 관장 대상자는 약물 중독 후 시간이 6~8hrs 소요 전 환자는 관장 시행한다.
∴ × : 관장 대상자는 약물 중독 후 시간이 6~8hrs 소요 후 환자는 관장 시행한다.
6. 아황산가스는 용해성(물에 흡수 잘됨) 가스이다.
∴ ○
(주관식 문제)
7. 중독의 원인은?
∴ 1) 부주의 : 농약 등을 아무데나 보관
2) 부작용 : 식중독
3) 자살 목적
8. 벌레에 물리거나 쏘였을 때의 처치법은?
∴ 1) stop : 움직이지 않음
2) 물린 상처 위의 5cm 부분을 5cm 크기의 띠로 정맥에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묶어줌
-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정도
- 독을 빼낼 때 위로 가도 위산이 뱀독보다 강함
3) 들 것으로 환자 이동하여 움직임 최소
4) 해독제
9. 광견병의 증상은?
∴ 통증, 부종/ 40일 내에 발병
10. 일산화탄소 중독 시 처치 법은?
∴ 1) 환기, 고압산소 텐트 2) 옷을 느슨히 한다
3) 메스꺼움이 있는 대상자 : 동치미 국물
4) 두통이 있는 대상자 : 커피를 진하게 타서 먹임 ⇒ 재빨리 병원으로 이송
제 7장 운반
(객관식 문제)
1. 처치원의 결정 요인 중 해당 되지 않는 것은?
① 처치 후 비용 ② 자신도 위험해질수도 있다는 것 ③ 환자의 체격과 상태
④ 자신의 능력과 상태 ⑤ 처치원 자신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 지
∴ ① 처치 후 비용
2. 운반준비 및 일반적 유의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적절한 응급처치를 실시하였는지 확인한다. 충분한 처치를 한 후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좋다.
② 운반방법을 정한다.
③ 필요한 기구를 준비한다. .
④ 운반에 필요한 인원을 확보하고 각자의 임무를 정한다.
∴ 없음 : 다 일반적 유의 사항이다.
3. 담요가 있으면 땅위에 펴놓고 막대기 한 개를 담요 길이의 1/3쯤 되는 곳에다 놓고 짧은 쪽의 담요 끝을 막대기 위로 접어 넘긴 다음, 다른 막대기를 그 위에 접어 올리면 대용 들것의 방법을 지칭하는 말은?
① 담요나 상의로 들것 만들기 ② 업기 ③ 안기 ④ 부축하여 걷기 ⑤ 끌기 운반
∴ ① 담요나 상의로 들것 만들기
(○, × 문제)
4. 부축하여 걷기는 부상이 가벼운 환자는 한사람 혹은 두 사람이 부상자의 한팔(두 사람이 부축할 경우는 양팔)을 자기의 목 뒤로 돌려 붙잡고, 동시에 몸을 구부려서 환자 체중의 대부분이 운반자에게 실리도록 힘으로써 부상자가 걸어가는 것을 도와준다.
∴ ○
5. 의자를 이용한 운반은 부상자를 계단 위 또는 아래로 운반할 때에 의자를 운반기구로 사용하면 편리하다.
∴ ○
6. 평지에서는 대상자의 머리부터 먼저 간다.
∴ × : 오르막길에서 대상자의 머리부터 먼저 간다.
(주관식 문제)
7. 처치원이 환자를 옮겨야만 하는 세가지 상황을 쓰시오
∴ 1) 처치원이 불, 산소부족, 폭발위험, 건물붕괴와 같은 급박한 위험에 처해있을 때
2) 처치원이 더 심각한 상태에 있을지도 모르는 또 다른 환자를 돌봐야만 할 때
3) 적당한 처치를 하기 위하여 환자를 옮겨야 하는 상황
8. 1인 운반의 방법은?
∴ 1) 업기 2) 안기 3) 부축하여 걷기 4) 끌기 운반
9. 4인 운반의 방법을 쓰시오.
∴ 1) 들것은 4인이 운반하는 것이 좋다. 각자의 위치에서 한쪽 무릎을 꿇고 자리를 잡는다.
2) 지휘자(머리쪽)의 구령에 의해 들고 운반한다.
3) 앞과 양쪽 옆에 있는 세 사람은 왼발부터, 뒤의 지휘자는 오른발부터 걷기 시작한다.
10. 부축하여 걷기의 처치 방법을 쓰시오.
∴ 부상이 가벼운 환자는 한사람 혹은 두사람이 부상자의 한팔(두사람이 부축할 경우는 양팔)을 자기의 목 뒤로 돌려 붙잡고, 동시에 몸을 구부려서 환자 체중의 대부분이 운반자에게 실리도록 힘으로써 부상자가 걸어가는 것을 도와준다.
흔히 일어나는 급한 병에 대한 응급 처치
(객관식 문제)
1. 알코올 중독의 증상이 아닌 것은?
① 술 냄새가 난다.
② 전혀 의식이 없을 때도 일부분 의식이 있을 때도 있다.
③ 운동이 곤란하다.
④ 걸음걸이라 산만하다.
⑤ 청안이 된다.
∴ ⑤ 청안이 된다. - 초기에는 홍안이 되다가 청안이 된다.
2. 복통에 관련한 것 중 맞는 것은?
① 처치 방법은 복통 시 설탕물을 먹이는 것이다.
② 증상은 오른쪽 아랫배가 몹시 아프고 오른쪽 다리(무릎)을 펼 수가 없다.
③ 원인은 염분의 상실 때문이다.
④ 공기를 환기시켜 준다.
⑤ 소양감이 나타난다.
∴ ② 증상은 오른쪽 아랫배가 몹시 아프고 오른쪽 다리(무릎)을 펼 수가 없
①은 당뇨병, ③은 열성경련, ④는 두드러기, ⑤은 두드러기이다.
3. 일사병과 열사병의 공통 증상이 아닌 것은?
① 두통 ② 현기증 ③ 홍안 ④ 구토 ⑤ 의식 혼미, 상실
∴ ③ 홍안 - 일사병이 홍안이고, 열사병은 백안이다.
(○, × 문제)
4. 졸도의 증상은 현기증이 난다고 말하며 실신하다.
∴ ○ : 그 이외에 얼굴 색이 창백해지고 이마에 땀이 흐르며 호흡은 얕고 맥박이 대개 약하며 느려진다.
5. 탈장의 증상은 복통이다.
∴ × : 맹장염의 증상이 복통이고 탈장의 증상은 통증과 부종이다.
6. 당뇨의 증상은 다뇨, 다식, 다갈이다.
∴ ○
(주관식 문제)
7. 딸국질의 처치 방법은?
∴ 1) 냉수를 조금씩 천천히 마신다.
2) 이산화탄소를 마시게 한다.
3) 혀를 1~2분 동안 자기의 손으로 앞으로 빼내고 있는다.
8. 졸도의 원인은 ?
∴ 뇌에 혈액순환이 불충분하여 뇌빈혈이 일어난 것
9. 천식의 증상은?
∴ 기침, 청색증(푸른색 피부), 숨이 차서 말을 끝가지 못하고 중간에 하던 말을 멈춤
10. 일사병의 처치법은?
∴ 1) 서늘한 것으로 옮겨줌 2) 찬 찜질 시행 3) 맛사지
4) 의식 회복 후 냉수 먹임 5) 병원 방문
∴ ③ 정량 이상으로 먹어야 효과가 있다. - 정량만 복용해야 한다.
3. 구토 금기 대상자가 아닌 것은?
① 부식제 성질 복용자 ② 복용 시간이 6~8hrs 소요 후 환자는 관장 시행
③ 임신부 ④ 경련 증상 ⑤ 1세 이상의 아이
∴ ⑤ 1세 이상의 아이 - 1세 미만의 아이가 금기 대상자이다.
(○, × 문제)
4. 약물 중독의 원인은 증상 구토, 설사, 복통, 수면(졸음)이다.
∴ ○
5. 관장 대상자는 약물 중독 후 시간이 6~8hrs 소요 전 환자는 관장 시행한다.
∴ × : 관장 대상자는 약물 중독 후 시간이 6~8hrs 소요 후 환자는 관장 시행한다.
6. 아황산가스는 용해성(물에 흡수 잘됨) 가스이다.
∴ ○
(주관식 문제)
7. 중독의 원인은?
∴ 1) 부주의 : 농약 등을 아무데나 보관
2) 부작용 : 식중독
3) 자살 목적
8. 벌레에 물리거나 쏘였을 때의 처치법은?
∴ 1) stop : 움직이지 않음
2) 물린 상처 위의 5cm 부분을 5cm 크기의 띠로 정맥에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묶어줌
-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정도
- 독을 빼낼 때 위로 가도 위산이 뱀독보다 강함
3) 들 것으로 환자 이동하여 움직임 최소
4) 해독제
9. 광견병의 증상은?
∴ 통증, 부종/ 40일 내에 발병
10. 일산화탄소 중독 시 처치 법은?
∴ 1) 환기, 고압산소 텐트 2) 옷을 느슨히 한다
3) 메스꺼움이 있는 대상자 : 동치미 국물
4) 두통이 있는 대상자 : 커피를 진하게 타서 먹임 ⇒ 재빨리 병원으로 이송
제 7장 운반
(객관식 문제)
1. 처치원의 결정 요인 중 해당 되지 않는 것은?
① 처치 후 비용 ② 자신도 위험해질수도 있다는 것 ③ 환자의 체격과 상태
④ 자신의 능력과 상태 ⑤ 처치원 자신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 지
∴ ① 처치 후 비용
2. 운반준비 및 일반적 유의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적절한 응급처치를 실시하였는지 확인한다. 충분한 처치를 한 후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좋다.
② 운반방법을 정한다.
③ 필요한 기구를 준비한다. .
④ 운반에 필요한 인원을 확보하고 각자의 임무를 정한다.
∴ 없음 : 다 일반적 유의 사항이다.
3. 담요가 있으면 땅위에 펴놓고 막대기 한 개를 담요 길이의 1/3쯤 되는 곳에다 놓고 짧은 쪽의 담요 끝을 막대기 위로 접어 넘긴 다음, 다른 막대기를 그 위에 접어 올리면 대용 들것의 방법을 지칭하는 말은?
① 담요나 상의로 들것 만들기 ② 업기 ③ 안기 ④ 부축하여 걷기 ⑤ 끌기 운반
∴ ① 담요나 상의로 들것 만들기
(○, × 문제)
4. 부축하여 걷기는 부상이 가벼운 환자는 한사람 혹은 두 사람이 부상자의 한팔(두 사람이 부축할 경우는 양팔)을 자기의 목 뒤로 돌려 붙잡고, 동시에 몸을 구부려서 환자 체중의 대부분이 운반자에게 실리도록 힘으로써 부상자가 걸어가는 것을 도와준다.
∴ ○
5. 의자를 이용한 운반은 부상자를 계단 위 또는 아래로 운반할 때에 의자를 운반기구로 사용하면 편리하다.
∴ ○
6. 평지에서는 대상자의 머리부터 먼저 간다.
∴ × : 오르막길에서 대상자의 머리부터 먼저 간다.
(주관식 문제)
7. 처치원이 환자를 옮겨야만 하는 세가지 상황을 쓰시오
∴ 1) 처치원이 불, 산소부족, 폭발위험, 건물붕괴와 같은 급박한 위험에 처해있을 때
2) 처치원이 더 심각한 상태에 있을지도 모르는 또 다른 환자를 돌봐야만 할 때
3) 적당한 처치를 하기 위하여 환자를 옮겨야 하는 상황
8. 1인 운반의 방법은?
∴ 1) 업기 2) 안기 3) 부축하여 걷기 4) 끌기 운반
9. 4인 운반의 방법을 쓰시오.
∴ 1) 들것은 4인이 운반하는 것이 좋다. 각자의 위치에서 한쪽 무릎을 꿇고 자리를 잡는다.
2) 지휘자(머리쪽)의 구령에 의해 들고 운반한다.
3) 앞과 양쪽 옆에 있는 세 사람은 왼발부터, 뒤의 지휘자는 오른발부터 걷기 시작한다.
10. 부축하여 걷기의 처치 방법을 쓰시오.
∴ 부상이 가벼운 환자는 한사람 혹은 두사람이 부상자의 한팔(두사람이 부축할 경우는 양팔)을 자기의 목 뒤로 돌려 붙잡고, 동시에 몸을 구부려서 환자 체중의 대부분이 운반자에게 실리도록 힘으로써 부상자가 걸어가는 것을 도와준다.
흔히 일어나는 급한 병에 대한 응급 처치
(객관식 문제)
1. 알코올 중독의 증상이 아닌 것은?
① 술 냄새가 난다.
② 전혀 의식이 없을 때도 일부분 의식이 있을 때도 있다.
③ 운동이 곤란하다.
④ 걸음걸이라 산만하다.
⑤ 청안이 된다.
∴ ⑤ 청안이 된다. - 초기에는 홍안이 되다가 청안이 된다.
2. 복통에 관련한 것 중 맞는 것은?
① 처치 방법은 복통 시 설탕물을 먹이는 것이다.
② 증상은 오른쪽 아랫배가 몹시 아프고 오른쪽 다리(무릎)을 펼 수가 없다.
③ 원인은 염분의 상실 때문이다.
④ 공기를 환기시켜 준다.
⑤ 소양감이 나타난다.
∴ ② 증상은 오른쪽 아랫배가 몹시 아프고 오른쪽 다리(무릎)을 펼 수가 없
①은 당뇨병, ③은 열성경련, ④는 두드러기, ⑤은 두드러기이다.
3. 일사병과 열사병의 공통 증상이 아닌 것은?
① 두통 ② 현기증 ③ 홍안 ④ 구토 ⑤ 의식 혼미, 상실
∴ ③ 홍안 - 일사병이 홍안이고, 열사병은 백안이다.
(○, × 문제)
4. 졸도의 증상은 현기증이 난다고 말하며 실신하다.
∴ ○ : 그 이외에 얼굴 색이 창백해지고 이마에 땀이 흐르며 호흡은 얕고 맥박이 대개 약하며 느려진다.
5. 탈장의 증상은 복통이다.
∴ × : 맹장염의 증상이 복통이고 탈장의 증상은 통증과 부종이다.
6. 당뇨의 증상은 다뇨, 다식, 다갈이다.
∴ ○
(주관식 문제)
7. 딸국질의 처치 방법은?
∴ 1) 냉수를 조금씩 천천히 마신다.
2) 이산화탄소를 마시게 한다.
3) 혀를 1~2분 동안 자기의 손으로 앞으로 빼내고 있는다.
8. 졸도의 원인은 ?
∴ 뇌에 혈액순환이 불충분하여 뇌빈혈이 일어난 것
9. 천식의 증상은?
∴ 기침, 청색증(푸른색 피부), 숨이 차서 말을 끝가지 못하고 중간에 하던 말을 멈춤
10. 일사병의 처치법은?
∴ 1) 서늘한 것으로 옮겨줌 2) 찬 찜질 시행 3) 맛사지
4) 의식 회복 후 냉수 먹임 5) 병원 방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