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파장애(EMI, EMC)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EMC관련 개념 정리

2. 측정 법 및 시험장

3. 전자파 방출 및 내성 한계치

4. 전자파 장해 현상

5. 일반적인 대책 방법

본문내용

전 수상기의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를 비롯하여, 전기톱을 사용하는 제재소 근처에서 차량 오디오가 잡음을 일으키는 경우, 화려한 장미전구 아래에서 무선 리모콘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 등, 대수롭지 않게 무시되는 것으로부터,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전자파장해로 급출발, 급정지, 급가속에 의한 교통사고가 일어난 경우, CNC 선반의 전자파장해로 인해 선반헤드가 갑자기 이동하면서 치구 작업을 하고 있던 작업자가 사망한 경우, 원자력발전소의
전자 제어 부의 전자파장해로 인한 원자로 비상정지 사태 발생,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전자파 인체장해 가능성 등,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키는 것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전자파장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과거에 구체적인 원인이 모를 때는 원인불명으로 처리되거나, 어느 정도 성가신 정도로 그냥 그렇게 넘어갔으나, 전자파장해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시작되면서 그 원인이 밝혀지고, 따라서 피해 측에서의 강력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5. 일반적인 대책 방법
전자파장해 현상은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시스템 내부에서의 전자파장해 현상(intra-system EMI)과 시스템 상호간의 전자파장해 현상(inter-system EMI)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파장해 대책기법도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시스템 내부에서의 전자파장해 대책기법에는 기본적으로 대책회로 및 부품의 선택, 여파기법, 차폐기법, 배선 및 접지기법이 포함되며, 본딩, 커넥터, 가스켓 등은 이러한 범주 내에 속한다. 시스템 상호간의 전자파장해 대책기법에는 기본적으로 주파수제어기법, 시간제어기법, 위치제어기법, 방향성제어기법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전자파장해 대책방법은 시스템 개발의 여러 단계, 즉 기획, 설계, 시제품 개발, 양산품 생산, 시험 및 평가, 현장 운용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과 절차 등이 사용되며, 여러 단계에 맞게 적절한 방법이 선별적으로 채택되어진다. 이러한 방법들은 제품의 초기 단계에는 매우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고, 대책에 투입되는 비용도 적으나, 최종 단계로 갈수록 선택할 수 있는 대책 방법의 폭은 매우 좁아지고, 비용 역시 커진다. 따라서 여러 가지 대책 기법을 고려하여 제품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전자파장해 현상을 미리 예측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료 참고 : 인터넷 사이트
www.kwagsan.co.kr
www.kriss.re.kr

키워드

EMI,   EMC,   전자파장애,   전자,   장애,   전자파 방출,   EMS,   에너지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9.05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1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