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一. 序
二. 國際經濟法의 성립의 역사
1. 重商主義
2. 自由貿易主義
3.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단계: 점증하는 保護關稅政策
4. 제1차 世界大戰과 UN의 結成에 관한 決議가 있었던 때까지의 世界經濟法
5. 大西洋憲章으로부터 현재까지의 世界經濟法
三. 새로운 世界經濟秩序
1. 基本理念
2. 지금까지의 成果
3. 앞으로의 法的 課題
四. 結 語
二. 國際經濟法의 성립의 역사
1. 重商主義
2. 自由貿易主義
3.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단계: 점증하는 保護關稅政策
4. 제1차 世界大戰과 UN의 結成에 관한 決議가 있었던 때까지의 世界經濟法
5. 大西洋憲章으로부터 현재까지의 世界經濟法
三. 새로운 世界經濟秩序
1. 基本理念
2. 지금까지의 成果
3. 앞으로의 法的 課題
四. 結 語
본문내용
Krishnamurti, Tariff Preference in Favor of Developing Countries, 4 Journal of World Trade Law(1970), S.447; J.S.Hanson, Trade Preference and the Export of Manufactures from Developing Countries, Standford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51(1971) 등 참조.
_ (iii) 다른 하나의 특별한 관심분야는 새로운 世界經濟秩序라는 개념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技術移轉(Technologietransfer)의 法的 問題이다.주27)
주27) Per Fischer, Technologie als Vehikel der Entwicklung, Zu den Nord-Sud-Verhandlungen uber die Vermittlung technologischen Wissens, Europa Archiv(1979), S.633; Sunshine/Buxbaum, Legal Aspect of the Transfer of Technology, a training Manual, Berkeley(1977) 등 참조.
_ (iv) 組合과 共同企業과 같은 특정한 會社形態의 사용이 어느 정도까지 開發途上國問題의 해결에 적합한지가 계속해서 검토되어야 한다.주28)
주28) Franko,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in Developing Countries, Mystique and Reality, 51 Law & Pol. Int' 1, Bus. 315(1974); Christol, Base Joint Ventures, The United States and Developing Nations, 8 Acron Law Review 398(1975) 등 참조.
_ (v) 開發途上國에 있어서의 投資의 문제가 開發途上國援助法에 있어서 깊이 論究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 때 문제되는 것은 이루어진 投資의 保護라기보다는 어떻게 이러한 投資가 잘 이루어질 수 있고 발전에 寄與할 수 있는가이다.주29)
주29) Seidl-Hohenveldern, Investitionen in Entwicklungslandern(1963); Baranson, Changes in the Investment Climate in Developing Nations, 7 Venderbilt Journal of Transnational Law 569, (1974); 會議報告書: Foreign Investments in Developing Countries, 54 International Law Association 442(1970) 등 참조.
[555] _ (vi) 그 밖에 취급되어야 할 문제는 開發支援의 목적, 環境保全의 關係 그리고 開發政策을 위한 稅法의 適用에 관한 문제이다.주30)
주30) H.Hesse, Zentrale Probleme bei der Neuordnung der Weltwirtschaft, (Dusseldorf 1977)
四. 結 語
_ 이상과 같이 「새로운 世界經濟秩序」와 관련하여 派生된 해결하여야 할 法的 問題點이 매우 多樣하고 山積해 있다. 우리는 이의 해결여부가 미래의 世界經濟法秩序의 成敗를 좌우한다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先進工業國이나 開發途上國은 이제까지 自國의 利益追求에만 급급한 나머지 公正한 世界經濟秩序의 확립에는 관심이 적었다. 좀더 公正하고 正義로운 世界經濟法秩序를 확립하기 위하여 우리 모두가 바람직한 世界經濟法秩序의 확립에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_ (iii) 다른 하나의 특별한 관심분야는 새로운 世界經濟秩序라는 개념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技術移轉(Technologietransfer)의 法的 問題이다.주27)
주27) Per Fischer, Technologie als Vehikel der Entwicklung, Zu den Nord-Sud-Verhandlungen uber die Vermittlung technologischen Wissens, Europa Archiv(1979), S.633; Sunshine/Buxbaum, Legal Aspect of the Transfer of Technology, a training Manual, Berkeley(1977) 등 참조.
_ (iv) 組合과 共同企業과 같은 특정한 會社形態의 사용이 어느 정도까지 開發途上國問題의 해결에 적합한지가 계속해서 검토되어야 한다.주28)
주28) Franko,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in Developing Countries, Mystique and Reality, 51 Law & Pol. Int' 1, Bus. 315(1974); Christol, Base Joint Ventures, The United States and Developing Nations, 8 Acron Law Review 398(1975) 등 참조.
_ (v) 開發途上國에 있어서의 投資의 문제가 開發途上國援助法에 있어서 깊이 論究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 때 문제되는 것은 이루어진 投資의 保護라기보다는 어떻게 이러한 投資가 잘 이루어질 수 있고 발전에 寄與할 수 있는가이다.주29)
주29) Seidl-Hohenveldern, Investitionen in Entwicklungslandern(1963); Baranson, Changes in the Investment Climate in Developing Nations, 7 Venderbilt Journal of Transnational Law 569, (1974); 會議報告書: Foreign Investments in Developing Countries, 54 International Law Association 442(1970) 등 참조.
[555] _ (vi) 그 밖에 취급되어야 할 문제는 開發支援의 목적, 環境保全의 關係 그리고 開發政策을 위한 稅法의 適用에 관한 문제이다.주30)
주30) H.Hesse, Zentrale Probleme bei der Neuordnung der Weltwirtschaft, (Dusseldorf 1977)
四. 結 語
_ 이상과 같이 「새로운 世界經濟秩序」와 관련하여 派生된 해결하여야 할 法的 問題點이 매우 多樣하고 山積해 있다. 우리는 이의 해결여부가 미래의 世界經濟法秩序의 成敗를 좌우한다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先進工業國이나 開發途上國은 이제까지 自國의 利益追求에만 급급한 나머지 公正한 世界經濟秩序의 확립에는 관심이 적었다. 좀더 公正하고 正義로운 世界經濟法秩序를 확립하기 위하여 우리 모두가 바람직한 世界經濟法秩序의 확립에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냉전 체제의 붕괴 요인과 탈냉전 이후 국제질서의 변화
세계화(국제화) 의의, 세계화(국제화) 배경, 세계화(국제화) 특징과 세계화(국제화) 문제점, ...
세계 경제 환경과 질서의 변화에 따른
[경쟁력, 대외경쟁력]경쟁력과 대외경쟁력, 세계경쟁력, 경쟁력과 국제경쟁력, 국가경쟁력, ...
[한국중국일본 삼국(한중일3국)]한국중국일본 삼국(한중일3국)의 위상, 한국중국일본 삼국(한...
[국제레짐, 국제레짐 개념, 국제인권레짐, 국제환경규제레짐, 국제젠더정책레짐, 국제경제레...
[국제안보(세계안보), 국제안보(세계안보) 환경, 국제안보(세계안보) 정세, 이사회, 9 11테러...
[국제인권, 세계인권선언, 인권위원회]국제인권의 정의, 국제인권의 주체, 국제인권의 보편성...
[세계노동운동]세계노동운동(국제노동운동)의 기원, 세계노동운동(국제노동운동)의 정치성, ...
[한국, 국제정세, 국제인권, 국제이동, 국제뉴스, 국제경제]한국의 국제정세, 한국의 국제인...
UN세계인권선언(유엔세계인권선언, 국제연합세계인권선언)의 개념, 내용, UN세계인권선언(유...
[기업국제화]기업국제화(세계화, 글로벌화)의 의미, 의의, 기업국제화(세계화, 글로벌화)의 ...
[경영][글로벌스탠다드경영][국제경영][세계경영][국가경영][비즈니스][국제화]글로벌스탠다...
한중일 FTA - 한중일 3개국의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국제/국내 환경, FTA 정의, 한중일 FT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