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호태왕비 석문 및 번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개토호태왕비 석문 및 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임기중-여
△) 임기중-성
왕사보복 어시선환 우기모화수관래자 미구루압로 비사마압노  사루압노 숙사사△△ △△△압로 범소공파성육십사 촌일천사백
(영락)20년 경술 동부여는 옛날 추모왕의 속민이었는데 중간에 배반하여 조공을 바치지 않으므로 왕께서 몸소 군대를 이끌고 가 토벌하셨다. 군대가 (부)여성에 이르자 온 나라가 놀라 △△△△△△△△△, 태왕의 은혜가 널리 퍼졌다. 돌아올 때 (태왕)의 덕을 사모하여 관군을 따라 온 사람(집단 부락)이 있는데 미구누압노·비사마압노·서사누압노·숙사사압노·△△△압노이다.
(태왕께서) 공격하여 함락시킨 성이 64개, 마을이 1400군데였다.
⑬ 묘지기 연호(연호)
수묘인연호 매구여민 국연이 간연삼 동해고 국연삼 간연오 돈성민 사가진위간연 우성 일가위간연 비리성 이가위국연 평양성민 국연일 간연십 서) 왕건군-차
연 이가위간연 △) 왕건군, 임기중-배
루인 국연일 간연 삼 △) 왕건군, 임기중-양
곡 이가위간연 양성 이가위간연 안부연 입이가위간연 △) 왕건군, 임기중-개
곡 이) 왕건군, 임기중-삼
가위간연 신성 삼가위간연 남소성 일가위국연
신래한예 사수성 국연일 간연일 모루성 이가위간연 두비압잠한 오가위간연 구모객두 이가위간연 구저한 일가위간연
사 성한예 국연삼 간연입일 고△) 왕건군-모
야라성 일가위간연 △) 왕건군-경 임기중-막
고성 국연일 간연삼 객현한 일가위간연 아단성잡진성 합십가위간연 파노성한 구가위간연 구모노성 사가위간연 각모로성 이가위간연 모수성 삼가위간연 간 ) 임기중
리성 국연일) 왕건군-이
간연삼  ) 임기중-미
구) 왕건군 임기중-추
성 국연일 간연
[제4면] 0000칠 야이성 삼가위간연 두노성 국연일 간연이 오리성 국연이 간연팔 모추성 국연이 간연오
백잔남거한 국연일 간연오 대산한성 육가위간연 농매성 국연일 간연칠 윤노성 국연이) 왕건군-일
간연입이 고모루성 국연이 간연팔  성 국연일 간연팔 미성 육가위간연 취자성 오가위간연  양성 입사가위간연 산나성 일가위국연 나단성 일가위간연 구모성 일가위간연 어리성 팔가위간연 비리성 삼가위간연 세성 삼가위간연
묘지기 연호(연호) 수는 매구여(매구여)의 백성 가운데서 국연(국연)이 2집 간연(간연)이 3집, 동해고(동해고)에서는 국연 3집 간연 5집, 돈성(돈성) 백성 가운데서는 4집 모두가 간연, 우성(우성)에서는 간연 1집, 비리성(비리성)에서는 국연 2집, 평양성(평양성) 백성 가운데서는 국연 1집 간연 10집, △연(△연)에서는 간연 2집, △성(△성)에서는 간연 2집, 안부련(안부련)에서는 간연이 22집, 개곡(개곡)에서는 간연 3집, 신성(신성)에서는 간연 3집, 남소성(남소성)에서는 국연 1집이다.
새로 들어온 한(한)과 예(예) 가운데는 사수성(사수성)에서는 국연 1집 간연 1집, 모루성(모루성)에서는 간연 2집, 두비압잠한(두비압잠한)에서는 간연 5집, 구모객두(구모객두)에서는 간연 2집, 구저한(구저한)에서는 간연 1집, 사조성(사조성)의 한(한)과 예(예) 가운데서는 국연 3집, 간연 21집, 고모야라성(고모야라성)에서는 간연 1집, 막고성(막고성)에서는 국연 1집 간연 3집, 객현한(객현한)에서는 간연 1집, 아단성(아단성)과 잡진성(잡진성)에서는 합해서 간연 10집, 파노성(파노성)의 한(한) 가운데서는 간연 9집, 구모로성(구모노성)에서는 간연 4집, 각모로성(각모노성)에서는 간연 2집, 모수성(모수성)에서는 간연 3집, 간저리성(간저리성)에서는 국연 2집 간연 3집, 미추성(미추성)에서는 구연 1집 간연 11집,
[제4면] .... 야리성(야리성)에서는 간연 3집, 두노성(두노성)에서는 국연 1집 간연 2집, 오리성(오리성)에서는 국연 2집 간연 8집, 모추성(모추성)에서는 국연 2집 간연 5집.
백제 남쪽에 사는 한(한) 가운데서는 국연 1집 간연 5집, 대산한성(대산한성)에서는 간연 6집, 농매성(농매성)에서는 국연 1집 간연 7집, 윤노성(윤노성)에서는 국연 1집, 간연 22집, 고모루성(고모루성)에서는 국연 2집 간연 8집, 전성(전성)에서는 국연 1집 간연 8집, 미성(미성)에서는 간연 6집, 취자성(취자성)에서는 간연 5집, 삼양성(삼양성)에서는 간연 24집, 산나성(산나성)에서는 국연 1집, 나단성(나단성)에서는 간연 1집, 구모성(구모성)에서는 간연 1집, 어리성(어리성)에서는 간연 8집, 비리성(비리성)에서는 간연 3집, 세성(세성)에서는 간연 3집이다.
⑭ 묘지기 제도의 정립
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 존시교언 조왕선왕단교취원근구민 수묘 서소 오려구민전당리열 약오만년지후 안수묘자 단취오궁순소약래한예 영비 서소 언교여차 시이여교영 취한예이백입가 려기불지법칙 부취구민일백십가 합신구수묘호 국연  간연삼백 도합삼백 가 자상조선왕이래 묘상부안석비 치사수묘인연호차착 유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 진위조선왕묘상입비 명기연호 부영차착 우제수묘인자금이후 부득갱상전매 수유부족지자 역부득천매 기유위령 매자형지 매인제령수묘지
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이 살아계셨을 때 말씀하시기를 "선조 왕들께서는 원근 지방에 사는 구민(구민)들만 데려다가 무덤을 지키고 청소를 하게 하였다. 나는 구민(구민)들이 점차 고달퍼져 열악하게 될까 걱정이 된다. 때문에 내가 죽은 뒤 내 무덤을 지킬 자들은 내 스스로 돌아다니며 직접 데리고 온 한(한)족이나 예(예)족 들에게 수호·소제하는 일을 맡게 하라"고 하셨다.
그러므로 말씀하신 대로 한족과 예족 220집을 데려오게 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법칙을 모를까 염려되어 다시 구민(구민) 110집을 데려와 새로 온 사람들과 합치니 묘지기 호수가 국연(국연)30집, 간연(간연) 300집이 되어 모두 330집이 되었다.
윗대 선조와 선왕(선왕)이래 묘에 비석을 갖추지 못하여 묘지기 연호들이 착오를 일으켰다. 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은 선조와 선왕의 무덤에 모두 비석을 세우고 그 연호(연호)를 새겨 착오가 없도록 하셨다. 또 묘지기 제도를 제정하여 앞으로는 묘지기를 서로 팔아넘기지 못하게 하셨다. 아무리 부유한 사람일지라도 마음대로 사지 못하게 하고, 법령을 어기는 자 가운데서 파는 자는 벌주고 사는 자는 법을 만들어 그 자신이 묘지기가 되도록 하였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9.08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