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요 수출 / 수입 대상국 변화
2. 연도별 대일 수출입액을 통한 분석
o ’71년 ~ ’03년 대일 수출입 동향
o 환율과 대일 수출입 상관성
o 대일 수출/수입 증감율분석
3. ’03 대일 경상수지 분석
o 대일 경상수지 추세
o 전체 수입 對 대일수입 비교
2. 연도별 대일 수출입액을 통한 분석
o ’71년 ~ ’03년 대일 수출입 동향
o 환율과 대일 수출입 상관성
o 대일 수출/수입 증감율분석
3. ’03 대일 경상수지 분석
o 대일 경상수지 추세
o 전체 수입 對 대일수입 비교
본문내용
2.2%
21,120,216
13.7%
1992
11,599,454
-6.1%
19,457,650
-7.9%
1993
11,564,418
-0.3%
20,015,519
2.9%
1994
13,522,860
16.9%
25,389,988
26.9%
1995
17,048,871
26.1%
32,606,368
28.4%
1996
15,766,827
-7.5%
31,448,636
-3.6%
1997
14,771,155
-6.3%
27,907,108
-11.3%
1998
12,237,587
-17.2%
16,840,409
-39.7%
1999
15,862,448
29.6%
24,141,990
43.4%
2000
20,466,016
29.0%
31,827,943
31.8%
2001
16,505,766
-19.4%
26,633,372
-16.3%
2002
15,143,183
-8.3%
29,856,228
12.1%
2003
17,276,137
14.1%
36,313,091
21.6%
상위 곡선 : 수입액 하위 곡선 : 수출액
- 1997년 ~ 1998년 : 외환위기로 인한 수출입의 동반하락
( 대일 경상수지 적자 폭 감소 )
- 2002년 ~ 현 재 : 외환위기 이후 대일 무역의 역조현상 심화
2) 엔화환율과 대일 수출입의 상관성
- 지속적인 엔화의 환율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출입의 지속적 증가
- 엔화환율과 무역수지와의 상관성이 적은 것으로 분석
3) 대일 수출 / 수입 증감률 분석
ㅇ 1970년대 기준 - 상위곡선 : 수출 증감율 하위곡선 : 수입증감율
- 거의 수평에 가까운 추세선 도출
- 미약한 우하향의 추세가 있지만,
대일무역의 비중은 안정화 단계에 접어듬
3. 2003년 대일 경상수지 분석
1) 1971년 ~ 2003년 대일 경상수지 현황
- 만성적인 대일무역 적자기조 지속
- 2003년 대일무역 사상 최대 기록 ( 56억3900만 달러)
☞ 외환위기 이후 제조산업, 부품산업의 수입액 급증
<대일 경상수지 집계>
( 단위 : 천달러 )
경상수지
해당연도
경상수지
(수출-수입)
경상수지
해당연도
경상수지
(수출-수입)
1971
-692
1988
-3,925
1972
-623
1989
-3,992
1973
-485
1990
-5,936
1974
-1,240
1991
-8,764
1975
-1,141
1992
-7,858
1976
-1,297
1993
-8,451
1977
-1,778
1994
-11,867
1978
-3,354
1995
-15,557
1979
-3,304
1996
-15,682
1980
-2,818
1997
-13,136
1981
-2,930
1998
-4,603
1982
-1,991
1999
-8,280
1983
-2,881
2000
-11,362
1984
-3,038
2001
-10,128
1985
-3,017
2002
-14,713
1986
-5,444
2003
-19,037
1987
-5,220
2) 2003년 전체수입액과 대일수입액 비교
<2003년 전체 수입액 - 항목별>
( 단위 : 백만달러, % )
연 도
내 역
2003 ( 전 체 )
금 액
증 감 율
비 중
전체수입
178827
17.6
100.0
ㅇ농림수산물
13146
6.3
7.4
농산물
6840
8.4
3.8
양 곡
819
15.9
0.5
임산물
2136
2.3
1.2
수산물
1961
4.2
1.1
ㅇ광산물
45046
20.9
25.2
원 유
23082
20.2
12.9
금속광물
5901
39.2
3.3
ㅇ화공품
19859
14.3
11.1
ㅇ섬유류
5897
3.7
3.3
섬유사
1344
-8.6
0.8
섬유직물
1350
-3.4
0.8
섬유제품
3039
13.9
1.7
ㅇ철강금속
15275
26
8.5
철강제품
9402
30.8
5.3
금속제품
5553
19.1
3.1
ㅇ기계류
22767
19.7
12.7
정밀기계
3703
60.9
2.1
수송기계
5851
1.5
3.3
승 용 차
762
26.2
0.4
항공기등
985
-28.5
0.6
ㅇ전자전기
48713
18
27.2
산업용전자
14419
12.4
8.1
전자부품
26532
20.7
14.8
반 도 체
21328
22
11.9
가정용전자
3497
16.2
2.0
중전기기
3102
13.3
1.7
- 전년 대비 화공품, 철강·금속, 기계류, 전자·전기 부문의 비중확대
- 특히 원자재와 기계류 수입비중 증가가 특이사항
<2003년 대일 수입액 - 항목별>
( 단위 : 백만달러, % )
연 도
내 역
2003 ( 일본 )
금 액
증 감 율
전체수입
36,313
21.6
ㅇ농림수산물
363
3.7
농산물
167
8.7
양 곡
-
-94.4
임산물
8
-8.9
수산물
149
1.5
ㅇ광산물
438
-20.6
원 유
-
351.7
금속광물
62
-17.3
ㅇ화공품
5,818
16.7
ㅇ섬유류
470
-4.7
섬유사
83
-21.2
섬유직물
239
-2.0
섬유제품
97
1.1
ㅇ철강금속
5,213
19.5
철강제품
4,327
22.5
금속제품
838
7.4
ㅇ기계류
8,356
31.2
정밀기계
1,343
118.6
수송기계
1,560
9.9
승 용 차
127
12.4
항공기등
13
635.9
ㅇ전자전기
13,339
21.3
산업용전자
3,396
20.3
전자부품
7,266
19.9
반 도 체
5,238
26.0
가정용전자
1,360
26.4
중전기기
872
18.3
- 대일무역의 비중
기계류와 전자·전기의 비중이 전체 수입액 평균에 상회
- 무역수지의 악화원인
① 수출측면 : 일본에서의 중국산 제품의 약진
② 수입측면 : 대일 자본재 수입의존도 심화 지속
3) 대일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방안
- 정 부 (산업자원부)
☞ 독자적인 고(高) 부가가치형 부품소재 산업 육성을 대안으로 제시
( 자동차 차세대 브레이크 시스템, NC선반용 공구대
소형 정밀모터 등 10여개 선정 )
- 대한상공회의소의 입장
☞ 일본 진출기업에 대해 세제ㆍ금융상의 지원강화
( 수출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제품 차별화,
일본 내 틈새시장 개척, 독자원천기술 개발 )
21,120,216
13.7%
1992
11,599,454
-6.1%
19,457,650
-7.9%
1993
11,564,418
-0.3%
20,015,519
2.9%
1994
13,522,860
16.9%
25,389,988
26.9%
1995
17,048,871
26.1%
32,606,368
28.4%
1996
15,766,827
-7.5%
31,448,636
-3.6%
1997
14,771,155
-6.3%
27,907,108
-11.3%
1998
12,237,587
-17.2%
16,840,409
-39.7%
1999
15,862,448
29.6%
24,141,990
43.4%
2000
20,466,016
29.0%
31,827,943
31.8%
2001
16,505,766
-19.4%
26,633,372
-16.3%
2002
15,143,183
-8.3%
29,856,228
12.1%
2003
17,276,137
14.1%
36,313,091
21.6%
상위 곡선 : 수입액 하위 곡선 : 수출액
- 1997년 ~ 1998년 : 외환위기로 인한 수출입의 동반하락
( 대일 경상수지 적자 폭 감소 )
- 2002년 ~ 현 재 : 외환위기 이후 대일 무역의 역조현상 심화
2) 엔화환율과 대일 수출입의 상관성
- 지속적인 엔화의 환율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출입의 지속적 증가
- 엔화환율과 무역수지와의 상관성이 적은 것으로 분석
3) 대일 수출 / 수입 증감률 분석
ㅇ 1970년대 기준 - 상위곡선 : 수출 증감율 하위곡선 : 수입증감율
- 거의 수평에 가까운 추세선 도출
- 미약한 우하향의 추세가 있지만,
대일무역의 비중은 안정화 단계에 접어듬
3. 2003년 대일 경상수지 분석
1) 1971년 ~ 2003년 대일 경상수지 현황
- 만성적인 대일무역 적자기조 지속
- 2003년 대일무역 사상 최대 기록 ( 56억3900만 달러)
☞ 외환위기 이후 제조산업, 부품산업의 수입액 급증
<대일 경상수지 집계>
( 단위 : 천달러 )
경상수지
해당연도
경상수지
(수출-수입)
경상수지
해당연도
경상수지
(수출-수입)
1971
-692
1988
-3,925
1972
-623
1989
-3,992
1973
-485
1990
-5,936
1974
-1,240
1991
-8,764
1975
-1,141
1992
-7,858
1976
-1,297
1993
-8,451
1977
-1,778
1994
-11,867
1978
-3,354
1995
-15,557
1979
-3,304
1996
-15,682
1980
-2,818
1997
-13,136
1981
-2,930
1998
-4,603
1982
-1,991
1999
-8,280
1983
-2,881
2000
-11,362
1984
-3,038
2001
-10,128
1985
-3,017
2002
-14,713
1986
-5,444
2003
-19,037
1987
-5,220
2) 2003년 전체수입액과 대일수입액 비교
<2003년 전체 수입액 - 항목별>
( 단위 : 백만달러, % )
연 도
내 역
2003 ( 전 체 )
금 액
증 감 율
비 중
전체수입
178827
17.6
100.0
ㅇ농림수산물
13146
6.3
7.4
농산물
6840
8.4
3.8
양 곡
819
15.9
0.5
임산물
2136
2.3
1.2
수산물
1961
4.2
1.1
ㅇ광산물
45046
20.9
25.2
원 유
23082
20.2
12.9
금속광물
5901
39.2
3.3
ㅇ화공품
19859
14.3
11.1
ㅇ섬유류
5897
3.7
3.3
섬유사
1344
-8.6
0.8
섬유직물
1350
-3.4
0.8
섬유제품
3039
13.9
1.7
ㅇ철강금속
15275
26
8.5
철강제품
9402
30.8
5.3
금속제품
5553
19.1
3.1
ㅇ기계류
22767
19.7
12.7
정밀기계
3703
60.9
2.1
수송기계
5851
1.5
3.3
승 용 차
762
26.2
0.4
항공기등
985
-28.5
0.6
ㅇ전자전기
48713
18
27.2
산업용전자
14419
12.4
8.1
전자부품
26532
20.7
14.8
반 도 체
21328
22
11.9
가정용전자
3497
16.2
2.0
중전기기
3102
13.3
1.7
- 전년 대비 화공품, 철강·금속, 기계류, 전자·전기 부문의 비중확대
- 특히 원자재와 기계류 수입비중 증가가 특이사항
<2003년 대일 수입액 - 항목별>
( 단위 : 백만달러, % )
연 도
내 역
2003 ( 일본 )
금 액
증 감 율
전체수입
36,313
21.6
ㅇ농림수산물
363
3.7
농산물
167
8.7
양 곡
-
-94.4
임산물
8
-8.9
수산물
149
1.5
ㅇ광산물
438
-20.6
원 유
-
351.7
금속광물
62
-17.3
ㅇ화공품
5,818
16.7
ㅇ섬유류
470
-4.7
섬유사
83
-21.2
섬유직물
239
-2.0
섬유제품
97
1.1
ㅇ철강금속
5,213
19.5
철강제품
4,327
22.5
금속제품
838
7.4
ㅇ기계류
8,356
31.2
정밀기계
1,343
118.6
수송기계
1,560
9.9
승 용 차
127
12.4
항공기등
13
635.9
ㅇ전자전기
13,339
21.3
산업용전자
3,396
20.3
전자부품
7,266
19.9
반 도 체
5,238
26.0
가정용전자
1,360
26.4
중전기기
872
18.3
- 대일무역의 비중
기계류와 전자·전기의 비중이 전체 수입액 평균에 상회
- 무역수지의 악화원인
① 수출측면 : 일본에서의 중국산 제품의 약진
② 수입측면 : 대일 자본재 수입의존도 심화 지속
3) 대일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방안
- 정 부 (산업자원부)
☞ 독자적인 고(高) 부가가치형 부품소재 산업 육성을 대안으로 제시
( 자동차 차세대 브레이크 시스템, NC선반용 공구대
소형 정밀모터 등 10여개 선정 )
- 대한상공회의소의 입장
☞ 일본 진출기업에 대해 세제ㆍ금융상의 지원강화
( 수출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제품 차별화,
일본 내 틈새시장 개척, 독자원천기술 개발 )
추천자료
분권화시대 지역경제 분석기능과 지역통계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인도의 무역정책 및 경제현황
인도의 무역정책 및 경제정책과 우리나라의 진출확대방안
중국 가공무역 현황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북한 경제개혁사례][중국 경제개혁사례][베트남 경제개혁사례][독일 경제개혁사례][뉴질랜드...
[경제학]세금의 경제학적 분석, 디지털 네트워크의 경제학적 분석, 저작권보호의 경제학적 분...
프랑스 무역&#8226;투자환경 분석을 통한 자동차 및 부품 산업 진출 전략
[경영,경제] 자유무역협정(FTA) 관한 보고서
[전자무역론] 중국의 경제와 한국과의 무역, ppt자료
[전자무역론] 중국의 경제와 한국과의 무역
[수지][가계수지][국제수지][무역수지][경상수지][여행수지][관광수지][가계][국제][무역][경...
경제학 - 무역정책 변화와 대응방안 (무역정책의 유형, 무역정책의 흐름)
[국제경영학] 미국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이 향후 한국 기업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