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정에서 볼 수 있는 성 역할 고정에 대한 여러 가지 사례들...-
자녀의 교육
남편의 가사활동에 대한 무관심
가장이란 이름으로 지워진 성역할의 무게
성역할 고정화
며느리로서의 도리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
-교회에서 볼 수 있는 성 역할 고정에 대한 여러 가지 사례들...-
"목사의 ‘기저귀’ 발언 낯설지 않다
신학대학, “여성은 교회에서 잠잠하라”
교회의 성역할, 직분(위)과 나이에 상관없이 여성은 남성의 봉사자
여자는 목사와 장로가 될 수 없다
자녀의 교육
남편의 가사활동에 대한 무관심
가장이란 이름으로 지워진 성역할의 무게
성역할 고정화
며느리로서의 도리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
-교회에서 볼 수 있는 성 역할 고정에 대한 여러 가지 사례들...-
"목사의 ‘기저귀’ 발언 낯설지 않다
신학대학, “여성은 교회에서 잠잠하라”
교회의 성역할, 직분(위)과 나이에 상관없이 여성은 남성의 봉사자
여자는 목사와 장로가 될 수 없다
본문내용
`성경적이다`라는 명분을 내세워 시대의 변화를 전혀 고려 하지 않은채 조선시대 보다 더 엄격한 이스라엘 시대의 여성의 위치를 고집하고 있다.
사례)
현재 한국 기독교는 장로교와 감리교가 대표적인데 장로교는 보수적, 감리교는 꽤 진보적이다. 그래서 감리교에서는 여자 장로는 물론 여자 목사도 많이 있다. 장로교는 합동측과 통합측으로 나뉘는데, 통합측에서는 여자목사가 98년 최초로 나와서 현재 몇 분의 여자 목사님이 계시다. 그리고 합동측에서는 아직 여자 목사가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왜 여자는 목사가 될수 없느냐. 이것은 아득히도 먼 성경 속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 같다. 당시 이스라엘 지역에서는 우리의 조선시대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차별이 심했다. 그런 시대에서 여자는 인간 취급도 못 받지 못했다. 성경에서도 사람 수를 셀 때, 오직 성인 남자만 세고 여성과 어린아이들은 포함하지 않았을 정도이다.
지금의 목사는 구약시대의 제사장 또는 신약시대의 사도에 해당한다. 이 사람들이 모두 남성이었음은 물론 이다. 그 시대에는 사도라는 것이 목숨을 내놓고 여러 나라를 다녀야 했기 때문에 가정, 특히 자녀를 가지면 여성은 그것을 포기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물론 남성은 포기 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말이다. 모성은 여성만의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다. 또 당시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고려해보면 여성이 혼자 전도를 하러 순례를 간다는 것은 위험하고도 불가능한 일이었다. 여성이 목사나 사도로 나서지 않은 것은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여성이 나서면 돌을 맞아 죽을 사회적 상황 때문이었다.
사례)
현재 한국 기독교는 장로교와 감리교가 대표적인데 장로교는 보수적, 감리교는 꽤 진보적이다. 그래서 감리교에서는 여자 장로는 물론 여자 목사도 많이 있다. 장로교는 합동측과 통합측으로 나뉘는데, 통합측에서는 여자목사가 98년 최초로 나와서 현재 몇 분의 여자 목사님이 계시다. 그리고 합동측에서는 아직 여자 목사가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왜 여자는 목사가 될수 없느냐. 이것은 아득히도 먼 성경 속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 같다. 당시 이스라엘 지역에서는 우리의 조선시대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차별이 심했다. 그런 시대에서 여자는 인간 취급도 못 받지 못했다. 성경에서도 사람 수를 셀 때, 오직 성인 남자만 세고 여성과 어린아이들은 포함하지 않았을 정도이다.
지금의 목사는 구약시대의 제사장 또는 신약시대의 사도에 해당한다. 이 사람들이 모두 남성이었음은 물론 이다. 그 시대에는 사도라는 것이 목숨을 내놓고 여러 나라를 다녀야 했기 때문에 가정, 특히 자녀를 가지면 여성은 그것을 포기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물론 남성은 포기 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말이다. 모성은 여성만의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다. 또 당시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고려해보면 여성이 혼자 전도를 하러 순례를 간다는 것은 위험하고도 불가능한 일이었다. 여성이 목사나 사도로 나서지 않은 것은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여성이 나서면 돌을 맞아 죽을 사회적 상황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