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임. 벽지도 오래된 듯 낡아서 부분적으로 벗겨지고 찢어진 부분이 있음. TV나 냉장고 주변 등 먼지가 많이 쌓여 있어 좋지 못한 위생상태는 안됨.
④ 안전 상태 : 낡은 가구의 모서리가 벗겨지거나 잘려 나가서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고 할머니가 잡고 일어나시는 끈은 옷장과 창문에 묶여져 있어 사고의 위험성을 보임. 화장실의 변기 또한 이물질이 많이 껴 있는 상태이고 바닥이 좀 미끄러운 상태임.
2. 가족 사정 자료 분석
가족 영역
문제 영역
의미있는 자료
진단
1. 가족 구조 및 체제 유지
가족 형태
- 며느리의 가출
불완전한 가족구조
재정
- 수입의 부족
부적절한 재정
2. 상호작용
및 교류
교류
- 가족간의 친화감 부족
결속력 부족
역할
- 부모·자녀 갈등
가족 갈등
- 역할 편중
역할 장애
의사소통
- 의사소통 부재
의사소통 장애
3. 지지
지지 자원
- 지지 자원 활용 부족
지지 부족
정서적 지지
- 편애/소외된 가구원
가족 애착의 불균형
4. 대처와 대응
문제해결
- 문제해결능력 부족과 생활의 변화
부적절한 대처
5. 건강관리
건강관리 행위
- 질병 치료와 지연
부적절한 질병관리
생활 방식
- 수면장애, 음주, 스트레스 등
부적절한 생활양식
6. 주거환경
위생
- 채광, 환기 등의 불량
부적절한 주거환경
안전
- 오래된 가구의 모서리, 미끄러운 욕실 바닥
사고의 위험성
3. 가족 진단에 따른 우선 순위 선정
진단
문제의 특성
문제의 해결능력
예방 가능성
문제인식의 차등성
합산 점수
우선 순위
역할 편중과 관련 역할 장애
3
2
2
1
8
1
의사소통의 부재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2
2
2
2
8
편애/소외된 가구원과 관련된
가족 애착의 불균형
2
2
2
2
8
가족 간의 친화감 부족으로 인한
결속력 부족
2
2
1
2
7
2
부모와 아들과의 갈등과 관련된 가족 갈등
2
1
2
2
7
질병 치료와 지연으로 인한
부적절한 질병 관리
2
1
3
1
7
수면장애, 음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생활양식
2
1
3
1
7
채광, 환기 등의 불량과 관련된
부적절할 주거환경
1
1
3
1
6
3
수입의 부족과 관련된 부적절한 재정
2
1
1
1
5
4
지지 자원 활용 부족으로 인한 지지 부족
2
1
1
1
5
미끄러운 욕실 바닥과 관련된 사고의 위험성
1
1
2
1
5
문제해결 능력 부족과 관련된 부적절한 대처
1
1
1
1
4
5
며느리의 가출로 인한 불완전한 가족구조
1
1
1
0
3
6
④ 안전 상태 : 낡은 가구의 모서리가 벗겨지거나 잘려 나가서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고 할머니가 잡고 일어나시는 끈은 옷장과 창문에 묶여져 있어 사고의 위험성을 보임. 화장실의 변기 또한 이물질이 많이 껴 있는 상태이고 바닥이 좀 미끄러운 상태임.
2. 가족 사정 자료 분석
가족 영역
문제 영역
의미있는 자료
진단
1. 가족 구조 및 체제 유지
가족 형태
- 며느리의 가출
불완전한 가족구조
재정
- 수입의 부족
부적절한 재정
2. 상호작용
및 교류
교류
- 가족간의 친화감 부족
결속력 부족
역할
- 부모·자녀 갈등
가족 갈등
- 역할 편중
역할 장애
의사소통
- 의사소통 부재
의사소통 장애
3. 지지
지지 자원
- 지지 자원 활용 부족
지지 부족
정서적 지지
- 편애/소외된 가구원
가족 애착의 불균형
4. 대처와 대응
문제해결
- 문제해결능력 부족과 생활의 변화
부적절한 대처
5. 건강관리
건강관리 행위
- 질병 치료와 지연
부적절한 질병관리
생활 방식
- 수면장애, 음주, 스트레스 등
부적절한 생활양식
6. 주거환경
위생
- 채광, 환기 등의 불량
부적절한 주거환경
안전
- 오래된 가구의 모서리, 미끄러운 욕실 바닥
사고의 위험성
3. 가족 진단에 따른 우선 순위 선정
진단
문제의 특성
문제의 해결능력
예방 가능성
문제인식의 차등성
합산 점수
우선 순위
역할 편중과 관련 역할 장애
3
2
2
1
8
1
의사소통의 부재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2
2
2
2
8
편애/소외된 가구원과 관련된
가족 애착의 불균형
2
2
2
2
8
가족 간의 친화감 부족으로 인한
결속력 부족
2
2
1
2
7
2
부모와 아들과의 갈등과 관련된 가족 갈등
2
1
2
2
7
질병 치료와 지연으로 인한
부적절한 질병 관리
2
1
3
1
7
수면장애, 음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생활양식
2
1
3
1
7
채광, 환기 등의 불량과 관련된
부적절할 주거환경
1
1
3
1
6
3
수입의 부족과 관련된 부적절한 재정
2
1
1
1
5
4
지지 자원 활용 부족으로 인한 지지 부족
2
1
1
1
5
미끄러운 욕실 바닥과 관련된 사고의 위험성
1
1
2
1
5
문제해결 능력 부족과 관련된 부적절한 대처
1
1
1
1
4
5
며느리의 가출로 인한 불완전한 가족구조
1
1
1
0
3
6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진료소
지역사회간호학 정리(제 1장 지역사회간호의 이해)
[지역사회간호학]질병에방의 예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과정 - 서울시 성북구
[지역사회간호학] 노인간호
[지역사회간호학] 노인장기요양보혐제도
[지역사회간호학] 가정간호
[지역사회간호학] 산업재해관리
지역사회간호학) 가정간호 A+자료
지역사회간호) 산업보건과 산업간호의 개념 & 우리나라 산업간호사 현황 및 분포기관
지역사회간호학 통합건강증진사업
일본지역사회간호, 일본간호, 일본의고령자복지, 일본실버산업, 일본비즈니스기호, 한일지역...
본인이 거주하는 시군구 단위로 지역사회간호과정 사례보고서 작성(진단 OMAHA 분류틀 사용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