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실태조사 필요성의 이론적 고찰
2. 청소년의 유해환경 접촉 실태조사 개요
3. 유해매체 접촉 실태
4. 유해약물 접촉 실태
5. 유해업소 접촉 실태
6. 유해환경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청소년의 유해환경 접촉 실태조사 개요
3. 유해매체 접촉 실태
4. 유해약물 접촉 실태
5. 유해업소 접촉 실태
6. 유해환경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본문내용
면, 특수집단 청소년의 경우 1999년도에는 주로 광고전단배포(27.4%)나 음식점(17.9%)에서 일을 하였으나 2002년도에는 음식점(26.0%)과 기타 유흥업소(25.7%)에서 일하는 경우가 증가했다.
<일반 청소년의 최근 일한 곳>
< 특수집단 청소년의 최근 일한 곳 >
(3) 유흥업소 일로 번 돈의 주된 사용처(특수집단)
특수집단 청소년의 업소에서 번 돈의 사용 용도를 비교 조사한 결과, 화장품, 옷, 신발 등을 구입하는 경우가 1999년에 32.4%, 2002년에는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 번째로 높은 것은 유흥비로 화장품, 옷, 신발 등의 구입과 유흥비에 지출되는 돈이 1999년도의 경우 59.4%이고, 2002년의 경우 64.2%로 나타났으며, 또한 저금의 경우 1999년에 비해 2002년도에는 8.4% 정도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집단 청소년의 업소 일로 번 돈의 주된 사용처>
(4) 단란주점·락카페 등의 유흥업소에서 일한 경험과 이유(특수집단)
특수집단 청소년들이 유흥업소에서 일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1999년의 경우 유흥업소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가 27.5%인 반면 2002년에는 32.0%로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업소에서 일하게 된 이유는 1999년(29.5%)과 2002년(45.1%) 모두 돈을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1999년에 비해 2002년의 경우 돈을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15.6%로 크게 증가한 반면 그 밖의 이유들은 모두 감소한 것이 청소년의 소비성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6. 유해환경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1) 성인용 매체 이용과 폭력 행사 경험과의 관계
학생청소년과 특수집단의 경우 성인용 매체 이용과 폭력행사 경험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는데, 성인용 매체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폭력행사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용 만화, 소설, 잡지책 등 간행물의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폭력행사 경험이 있는 일반 학생청소년은 40.0%, 특수집단은 44.2%로 간행물 이용 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폭력행사 경험 25.1%, 27.9%보다 많았고,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폭력행사 경험이 있는 일반청소년은 39.7%, 특수집단 청소년은 44.6%로 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폭력행사 경험 25.7%, 24.4%보다 많았고, 또한, 음란사이트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폭력행사 경험이 있는 일반청소년 41.1%, 특수집단 45.6%로 이용 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폭력행사 경험이 23.9%, 28.1%보다 각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 학생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과 폭력과의 관계 >
구 분
전 체
성인용만화,소설,
잡지책 등 간행물
성인용 비디오, 영화
음란사이트
무경험
유경험
무경험
유경험
무경험
유경험
인터넷을 통한 폭력 행사 경험
유경험
빈도
2115
735
1313
773
1257
702
1329
전체%
32.7
25.1
40.0
25.7
39.7
23.9
41.1
무경험
빈도
4354
2197
1970
2233
1909
2236
1908
전체%
67.3
74.9
60.0
74.3
60.3
76.1
58.9
계
빈도
6469
2932
3283
3006
3166
2938
3237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
156.168***
136.685***
205.530***
< 특수집단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과 폭력과의 관계 >
구 분
전 체
성인용만화,소설,
잡지책 등 간행물
성인용 비디오, 영화
음란사이트
무경험
유경험
무경험
유경험
무경험
유경험
인터넷을 통한 폭력 행사 경험
무경험
빈도
286
43
234
31
248
57
218
전체%
40.4
27.9
44.2
24.4
44.6
28.1
45.6
유경험
빈도
422
111
295
96
308
146
260
전체%
58.6
72.1
55.8
75.6
55.4
71.9
54.4
계
빈도
708
154
529
127
556
203
478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
13.165***
17.450***
18.183***
2) 유해업소 출입과 가출의 관계
청소년들의 업소출입 경험과 가출경험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청소년의 경우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업소출입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C방의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나머지 모든 업소에서 가출경험과 업소출입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호프집·소주방, 비디오방, 카페, 나이트클럽 등은 가출경험의 유무에 따라 출입정도에 20%이상의 격차를 보였는데, 호프집·소주방의 경우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없는 청소년의 출입경험 비율이 58.4%와 21.9%로 36.5%의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고, 비디오방은 40.5%와 20.4%, 카페는 64.3%와 40.6%, 락카페는 27.3%와 14.1%, 나이트클럽은 33.6%와 14.7% 등으로 각각 차이를 볼 수 있어 이들 업소에는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20%정도 더 많이 출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편, 특수집단 청소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업소출입을 더 많이 하고 있었는데, 호프집·소주방, 비디오방, 락카페, 나이트클럽, 티켓다방, 단란주번, 숙박업소 등은 가출경험의 유무에 따라 출입정도에 큰 격차를 볼 수 있어서, 비디오방의 경우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없는 청소년의 출입경험 비율이 64.2%와 33.7%로 30.5%의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고, 여관 등 숙박업소 출입도 69.4%와 39.4%로 30.0%의 격차를 보였으며, 호프집·소주방은 78.7%와 53.8%, 락카페는 44.1%와 27.5%, 나이트클럽은 58.3%와 32.8%, 티켓다방은 30.7%와 14.9%, 단란주점은 47.2%와 27.4% 등으로 각각 나타나 이들 업소에는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월등히 더 많이 출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 청소년의 최근 일한 곳>
< 특수집단 청소년의 최근 일한 곳 >
(3) 유흥업소 일로 번 돈의 주된 사용처(특수집단)
특수집단 청소년의 업소에서 번 돈의 사용 용도를 비교 조사한 결과, 화장품, 옷, 신발 등을 구입하는 경우가 1999년에 32.4%, 2002년에는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 번째로 높은 것은 유흥비로 화장품, 옷, 신발 등의 구입과 유흥비에 지출되는 돈이 1999년도의 경우 59.4%이고, 2002년의 경우 64.2%로 나타났으며, 또한 저금의 경우 1999년에 비해 2002년도에는 8.4% 정도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집단 청소년의 업소 일로 번 돈의 주된 사용처>
(4) 단란주점·락카페 등의 유흥업소에서 일한 경험과 이유(특수집단)
특수집단 청소년들이 유흥업소에서 일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1999년의 경우 유흥업소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가 27.5%인 반면 2002년에는 32.0%로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업소에서 일하게 된 이유는 1999년(29.5%)과 2002년(45.1%) 모두 돈을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1999년에 비해 2002년의 경우 돈을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15.6%로 크게 증가한 반면 그 밖의 이유들은 모두 감소한 것이 청소년의 소비성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6. 유해환경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1) 성인용 매체 이용과 폭력 행사 경험과의 관계
학생청소년과 특수집단의 경우 성인용 매체 이용과 폭력행사 경험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는데, 성인용 매체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폭력행사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용 만화, 소설, 잡지책 등 간행물의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폭력행사 경험이 있는 일반 학생청소년은 40.0%, 특수집단은 44.2%로 간행물 이용 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폭력행사 경험 25.1%, 27.9%보다 많았고,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폭력행사 경험이 있는 일반청소년은 39.7%, 특수집단 청소년은 44.6%로 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폭력행사 경험 25.7%, 24.4%보다 많았고, 또한, 음란사이트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폭력행사 경험이 있는 일반청소년 41.1%, 특수집단 45.6%로 이용 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폭력행사 경험이 23.9%, 28.1%보다 각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 학생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과 폭력과의 관계 >
구 분
전 체
성인용만화,소설,
잡지책 등 간행물
성인용 비디오, 영화
음란사이트
무경험
유경험
무경험
유경험
무경험
유경험
인터넷을 통한 폭력 행사 경험
유경험
빈도
2115
735
1313
773
1257
702
1329
전체%
32.7
25.1
40.0
25.7
39.7
23.9
41.1
무경험
빈도
4354
2197
1970
2233
1909
2236
1908
전체%
67.3
74.9
60.0
74.3
60.3
76.1
58.9
계
빈도
6469
2932
3283
3006
3166
2938
3237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
156.168***
136.685***
205.530***
< 특수집단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과 폭력과의 관계 >
구 분
전 체
성인용만화,소설,
잡지책 등 간행물
성인용 비디오, 영화
음란사이트
무경험
유경험
무경험
유경험
무경험
유경험
인터넷을 통한 폭력 행사 경험
무경험
빈도
286
43
234
31
248
57
218
전체%
40.4
27.9
44.2
24.4
44.6
28.1
45.6
유경험
빈도
422
111
295
96
308
146
260
전체%
58.6
72.1
55.8
75.6
55.4
71.9
54.4
계
빈도
708
154
529
127
556
203
478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
13.165***
17.450***
18.183***
2) 유해업소 출입과 가출의 관계
청소년들의 업소출입 경험과 가출경험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청소년의 경우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업소출입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C방의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나머지 모든 업소에서 가출경험과 업소출입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호프집·소주방, 비디오방, 카페, 나이트클럽 등은 가출경험의 유무에 따라 출입정도에 20%이상의 격차를 보였는데, 호프집·소주방의 경우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없는 청소년의 출입경험 비율이 58.4%와 21.9%로 36.5%의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고, 비디오방은 40.5%와 20.4%, 카페는 64.3%와 40.6%, 락카페는 27.3%와 14.1%, 나이트클럽은 33.6%와 14.7% 등으로 각각 차이를 볼 수 있어 이들 업소에는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20%정도 더 많이 출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편, 특수집단 청소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업소출입을 더 많이 하고 있었는데, 호프집·소주방, 비디오방, 락카페, 나이트클럽, 티켓다방, 단란주번, 숙박업소 등은 가출경험의 유무에 따라 출입정도에 큰 격차를 볼 수 있어서, 비디오방의 경우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없는 청소년의 출입경험 비율이 64.2%와 33.7%로 30.5%의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고, 여관 등 숙박업소 출입도 69.4%와 39.4%로 30.0%의 격차를 보였으며, 호프집·소주방은 78.7%와 53.8%, 락카페는 44.1%와 27.5%, 나이트클럽은 58.3%와 32.8%, 티켓다방은 30.7%와 14.9%, 단란주점은 47.2%와 27.4% 등으로 각각 나타나 이들 업소에는 가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월등히 더 많이 출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천자료
컴퓨터 유해환경의 청소년 접촉실태 진단
낙태 찬반론에 대해 (미혼모 성매매 청소년 원조교제)
미혼모에 대하여 (사회복지 원조교제 성매매 청소년복지 청소년문제
원조교제의 원인과 대안 (청소년문제 청소년복지 미혼모 매춘 성매매
청소년 성매매
[인터넷중독][인터넷중독예방][불법유해환경][청소년인터넷문화][인터넷]청소년 인터넷 사용...
[청소년문제]청소년의 사회환경과 성문제의 문제점 및 대책
청소년 성 매매에 대해서
청소년 성매매의 원인을 설명하는 사회학 이론들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정신지체의 청소년클라이언트가 건강하지 않은 생활태도를 보일 때 (예...
청소년 성범죄에 대하여 토론. 매춘, 성매매, 성매수 각각의 단어를 정의하고
현재 아동 및 청소년관련(아동학대, 학교폭력, 성매매, 무상급식, 자살 등) 문제를 제시하고 ...
학교사회사업론_현재 아동 및 청소년관련(아동학대, 학교폭력, 성매매, 무상급식, 자살 등) ...
청소년 복지론청소년 약물 중독약물 중독 정부대책청소년 유해 환경 정화청소년 인터넷 중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