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각 기후 지역의 특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 각 기후 지역의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되어 있다. 대륙서안에는 온대기후가 Cs와Cb로 갈라지는 데 반하여 대륙 동안에는 Ca만 분포하고 건조기후인 B가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 건조기후는 남,북위 20도 부근의 아프리카의 사하라사막에서 시작하여 리비아사막과 아라비아사막으로 이어지며, 힌두쿠시산맥, 파미르고원 등의 고산지대에 의해 중단되었다가 다시 타클라마칸사막을 거쳐 북위 40도 부근의 고비사막으로 연장된다. 다른 대륙에서도 사막의 배열이 이와 유사하다.
셋째, 지중해성기후인 Cs기후는 대륙 서안에만 분포하는데, 건조기후인 B기후와 서안해양성기후인 Cb기후의 사이에 끼여 있다.
넷째, 냉대기후인 D기후는 북반구에만 분포한다. 남반구에는 냉대기후가 발달할 수 있는 위도 대에 육지가 거의 없다. 남반구에서는 온대기후인 C기후가 바로 한대 기후인 E기후로 옮겨간다.
쾨펜의 기후구분을 우리나라에 본다면?
동일한 기후 특색을 나타내는 범위를 지역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기후 구분은 각각의 기후형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대표적인 성질을 가질 수 있게 구분되어야 하므로 분류대상지역의 넓이, 분류의 목적, 기상현상의 특성규모등에 따라서 기후 구분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기후 구분의 시작은 그리스시대의 위도대로 결정하는 기후대로 거슬로 올라가나 기후학상의 기후 구분은 19세기에 이르러 행하여졌다.
세계 최초의 세계 기온분포도는 훔볼트(Humboldt)가 1817년에 작성한 연평균 기온의 등온선도이다.
기후 구분에는 크게 이론적 기후구분과 응용적 기후구분으로 나누며, 이론적 기후 구분은 다시 경험적 기후 구분과 성인적 기후 구분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경험적 기후 구분에는 자연식생을 이용한 쾨펜의 기후구분이 있다.
우리 나라의 기후 구분
1) 쾨펜에 의한 기후 구분
쾨펜은 식생이 기후를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식생 분포에 영향을 주는 기온과 강수량 등을 이용하여 기후구를 구분하였다. 최한월(1월) 평균 기온 -3℃ 등온선을 기준으로 북부의 냉대 기후(D)와 남부의 온대 기후(C)로 구분된다.
2) 온량 지수에 의한 기후 구분 기후구
식물의 생장은 월 평균 기온 5℃ 이상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온량 지수에 의한 기후 구분이 시도되었다. 온량 지수는 월 평균기온 5℃ 이상인 달의 월 평균 기온에서 5℃ 씩을 뺀 나머지의 총합으로 계산한다.습윤 지역에서는 식물 분포를 결정하는 조건으로서 강수량보다 기온의 영향이 더 크다. 따라서 우리 나라는 습윤 기후이므로 식물 성장에 영향을 주는 온량 지수에 의해 구분된 기후 지역은 식생 및 토양 분포와 대체로 일치한다. 그러나 기후는 기온과 강수량 등 여러 요소가 복합된 것인데 비해 이 구분 방법에서는 기온만이 고려되었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3) 우리 나라의 기후 구분
개마고원
북 부
중 부
남 부
남 해 안
온량지수
55 이하
55~85
85~100
100이상
1월 0。C이상
식 생
냉 대 림
온대북부림
온대중부림
온대남부림
남대림
성대토양
포트졸성토양
회갈색토
갈색삼림토
적갈색토
적색토
쾨펜의 방법을 따라서 최한월 평균 기온 -3℃ 등온선으로 남부의 온대 기후와 북부의 냉대 기후로 나누고, 남북간의 기온차에 의하여 북부, 중부, 남부로 나누었으며, 태백산맥과 낭림산맥을 경계로 동해안을 구분하고 넓은 황해 사면에서는 해안에서의 거리에 의하여 서안형과 내륙형을 따로 구분했다. 대륙의 영향이 강한 북부의 고원 및 산악 지방은 개마고원형, 이와는 대조적으로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남해안 지방은 남해안형으로 각각 분류하고, 울릉도형을 추가하는 한편, 대구 특수 지역을 설정했다. 그리하여, 우리 나라의 기후구는 12개의 기후구와 1개의 특수 지역으로 구분된다.
기후형의 특징
냉 대
개마고원형
낭림산맥과 함경산맥 사이의 용암 대지, 1월평균 기온 -14~-20℃, 극한지(최저온지) 분포(중강진), 대륙도와 연교차 최대, 무상일수 150일 이하로 벼농사 불가능, 1년 1작, 최소우지역, 냉대 침엽수림(임업 발달), 회백색의 포드졸 토양
북부형
서안형
멸악산맥 이북의 관서 해안 지역(청천강과 대동강 하류유역), 1월기온 -7~-10℃, 소우지역(저평한 지형) : 풍부한 일조량과 증발량으로 천일 제염과 사과 재배 발달, 봄의 건조로 진압 농법발달, 2년 3작(조밀콩)
내륙형
낭림산맥 서사면의 관서 내륙 산지 지역(청천강과 대동강의 상류유역), 1월평균 기온 -8~-15℃, 지형의 영향으로 다우지 : 청천강 중상류
동안형
영흥만 이북의 관북 동해안 지역, 1월기온 -5~-13℃, 지형적 영향으로 서안보다 겨울 기온이 높다.북한 해류의 영향으로 안개 발생→ 여름철 냉해
중부형
서안형
멸악산맥과 차령산맥 이북의 황해안 일대, 1월평균 기온 -4℃ 내외, 일조량이 풍부하여 천일제염 발달, 그루갈이 가능
내륙형
한강 중상류유역의 태백 산지 서쪽 지역, 지형의 영향으로 다우지, 여름 강수 집중률이 가장 높다.영서 지방은 높새 바람의 영향으로 가뭄 피해
동안형
속초에서 영흥만에 이르는 동해안. 지형, 수심, 푄 현상, 난류의 영향으로 서안보다 겨울 기온이 높다.동해안 최다우지, 다설지
온 대
남부형
서안형
논산평야호남평야나주평야 등 서남 지역의 평야지대, 최대의 벼농사 지역, 쌀보리의 그루갈이, 북서풍에 의한 다설지
내륙형
소백산맥의 동서사면과 낙동강 중상류유역, 강수량의 지역차가 크다. 소백 산지(진안 고원)는 다설지, 영남 내륙은 소우지
동안형
속초 이남에서 영일만에 이르는 동해안 일대, 1월평균 기온 0~-2℃, 서안보다 겨울 고온, 북동풍에 의한 다설지
남해안형
남해안부산에서 영일만에 이르는 남동 해안다도해 및 제주도, 1월평균 기온 0℃ 이상, 태풍의 영향이 크고 다우지에 속함, 난대성 식물 분포(조엽수림) : 상록 활엽수, 적색토
울릉도형
1월평균 기온 0℃ 이상, 난대성 식물 분포, 강수의 계절변화가 작고 특히 겨울 강수가 많다.최다설지 : 북서풍과 지형의 영향(우데기 설치)
대구특수형
극서지(내륙분지와 푄현상), 소우지(격해도가 큰 내륙분지) : 사과재배
§가상 대륙의 기후분포
  • 가격7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04.09.14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