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Ⅲ. 나오며
Ⅱ. 본론
Ⅲ. 나오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우리 나라에 있어서 민족 문제는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는 성급히 말하기 힘든 문제일 것이다. 우리는 강한 단일 민족 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실에서는 그 단일 민족이 한 나라가 아닌 두 나라를 이루고 있는 아이러니를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통일 문제는 냉전 체제의 관점으로 보아왔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민족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북한에서 주장하고 있는 민족 개념과 남한 사회에서 나타나는 민족 개념이 상당히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민이 많았던 우리 사회에서 해외 동포의 위치에 대한 정의도 하나의 문제이다. 이러한 우리 나라와 관계있는 여러 민족적 문제를 포괄적으로 생각하며 읽을 수 있는 책이 홍세화가 지은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이다. 홍세화는 1979년에 무역회사 해외지사 근무차 유럽으로 갔다가 남민전 사건으로 귀국하지 못하고 빠리에 정착한 후 관광 안내, 택시 운전 등 여러 직업에 종사하면서 망명 생활 중이다. 이 책은 95년에 출간되어 많은 화제를 불러 일으켰었는데, 책 곳곳에 우리 사회의 현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글들이 담겨있었고 나의 관심 주제였던 민족관에 관한 내용도 많은 부분 담겨 있었다.
Ⅱ. 본론
작가는, 그의 대학 시절과 한국에 살고 있었던 시기의 활동들로 미루어 한 민족이 북한과 남한으로 나뉘어져 있는 상황에 대해 심한 갈등과 모순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면인데, 그에게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고 물었을 때 '꼬레'라고 대답한 후 북쪽에서 온 것인가, 남쪽에서 온 것인가의 질문에는 항상 '꼬레, 꼬레 뚜 꾸루(한국, 그냥 한국)'이라는 대답을 한다. 이러한 것을 볼 때, 그는 남한과 북한을 구별하지 않고 자신의 조국은 남한과 북한을 통틀어 한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 이는 한 민족이 다른 나라로 살아가는 것은 모순된 현실이며,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 상태는 남한과 북한의 통일된 국가라는 작가의 생각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그가 망명 신청을 하는 장면에서도 나타난다.
우리 나라에 있어서 민족 문제는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는 성급히 말하기 힘든 문제일 것이다. 우리는 강한 단일 민족 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실에서는 그 단일 민족이 한 나라가 아닌 두 나라를 이루고 있는 아이러니를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통일 문제는 냉전 체제의 관점으로 보아왔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민족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북한에서 주장하고 있는 민족 개념과 남한 사회에서 나타나는 민족 개념이 상당히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민이 많았던 우리 사회에서 해외 동포의 위치에 대한 정의도 하나의 문제이다. 이러한 우리 나라와 관계있는 여러 민족적 문제를 포괄적으로 생각하며 읽을 수 있는 책이 홍세화가 지은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이다. 홍세화는 1979년에 무역회사 해외지사 근무차 유럽으로 갔다가 남민전 사건으로 귀국하지 못하고 빠리에 정착한 후 관광 안내, 택시 운전 등 여러 직업에 종사하면서 망명 생활 중이다. 이 책은 95년에 출간되어 많은 화제를 불러 일으켰었는데, 책 곳곳에 우리 사회의 현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글들이 담겨있었고 나의 관심 주제였던 민족관에 관한 내용도 많은 부분 담겨 있었다.
Ⅱ. 본론
작가는, 그의 대학 시절과 한국에 살고 있었던 시기의 활동들로 미루어 한 민족이 북한과 남한으로 나뉘어져 있는 상황에 대해 심한 갈등과 모순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면인데, 그에게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고 물었을 때 '꼬레'라고 대답한 후 북쪽에서 온 것인가, 남쪽에서 온 것인가의 질문에는 항상 '꼬레, 꼬레 뚜 꾸루(한국, 그냥 한국)'이라는 대답을 한다. 이러한 것을 볼 때, 그는 남한과 북한을 구별하지 않고 자신의 조국은 남한과 북한을 통틀어 한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 이는 한 민족이 다른 나라로 살아가는 것은 모순된 현실이며,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 상태는 남한과 북한의 통일된 국가라는 작가의 생각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그가 망명 신청을 하는 장면에서도 나타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