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일도 없었고 지금 우리들을 눌러오는 환경오염이라는 것도 없었다. 라다크 사람들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대한의 행복을 느끼며 최상의 삶을 살아온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들은 서양의 삶. 크고 많은 것들을 지향해가면서 우리들 마음 속에 자라고 있던 소중한 인간됨이라는 것을 잃지는 않았는가. 한번 생각해 본다. 라다크가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옛 모습을 잃은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만, 우리들에게 무엇이 가치 있는 삶이며 진정한 행복이 어떤 것인지, 삶의 모델을 제시해주었으며, 그 삶의 지표는 언젠가는 실현 가능할 수 있는 씨앗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더 늦기 전에', 참 절실한 말인 것 같다. 잃어버린 과거를 다시 만들 수는 없지만 우리의 미래는 갖기도 전에 잃어버릴 수는 없으니까 말이다.
전통적인 농촌사회가 아무리 매력적으로 보인다고 하더라도 그 사회의 사람들에게 근대적 개발의 혜택을 누릴 기회가 부정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책이 말하듯이, 개발과 배움이 오직 한 가지 방향으로 일어나서는 안 된다. 라다크와 같은 전통사회의 사람들 속에는 흔히 내면적 발전, 즉 따뜻한 마음씨와 만족감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것을 본받아야 할 것이다.
우리들은 서양의 삶. 크고 많은 것들을 지향해가면서 우리들 마음 속에 자라고 있던 소중한 인간됨이라는 것을 잃지는 않았는가. 한번 생각해 본다. 라다크가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옛 모습을 잃은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만, 우리들에게 무엇이 가치 있는 삶이며 진정한 행복이 어떤 것인지, 삶의 모델을 제시해주었으며, 그 삶의 지표는 언젠가는 실현 가능할 수 있는 씨앗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더 늦기 전에', 참 절실한 말인 것 같다. 잃어버린 과거를 다시 만들 수는 없지만 우리의 미래는 갖기도 전에 잃어버릴 수는 없으니까 말이다.
전통적인 농촌사회가 아무리 매력적으로 보인다고 하더라도 그 사회의 사람들에게 근대적 개발의 혜택을 누릴 기회가 부정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책이 말하듯이, 개발과 배움이 오직 한 가지 방향으로 일어나서는 안 된다. 라다크와 같은 전통사회의 사람들 속에는 흔히 내면적 발전, 즉 따뜻한 마음씨와 만족감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것을 본받아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대학생이 읽어야할 책
인간과 환경
프란츠 알트의 생태적 경제기적'에 대한 서평
서구 중심주의적 글로벌리제이션에 대한 대안책 연구
우리나라 저항 운동(시민운동, 데모, 단식투쟁 등등)의 역사와 현실 및 고찰
<엔트로피> 지속가능한 성장의 개념
우리의 행복은 어디에 있는가?-무탄트 메시지를 읽고-
[마케팅] 아모레 퍼시픽 - 설화수 분석
마사이족과 카렌족 조사
황석영론, 수난의 역사에서 길러낸 인간에 대한 신뢰
무탄트 메세지 독서감상문
중국 도농 격차(현황, 원인, 중국 정부의 해결 노력, 외국의 도농격차 해결 사례)
[독후감] 행복의 경제학: 경쟁과 양극화를 넘어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한 (저자: 헬레나 노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