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손에 서식하는 미생물
2. 올바른 손씻기
3. 손씻기 후 손의 건조
4. 적절한 수세 설비
5. 종사원 손씻기 교육
2. 올바른 손씻기
3. 손씻기 후 손의 건조
4. 적절한 수세 설비
5. 종사원 손씻기 교육
본문내용
어떻게 올바른 손씻기 법으로 손을 씻도록 하는냐 하는 것이다. 올바른 손씻기를 유도하기 위해서 손씻는 방법의 차이에 따른 미생물 제거 효율을 가시적으로 보여 줄 필요가 있는데 정량적 방법에 의한 미생물 분속으로 보여 줄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므로 현장 교육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한 면이 있다. 반면 손 씻기 효율성을 현장에서 바로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상품의 사용이 바람직 한데 형광 물질이 함유된 로션을 손에 바른 다음 각기 다른 방식을 손을 씻게 한다. 피 교육생을 3~4개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은 물로만 손을 씻게 하고 다른 한 그룹은 비누로 보통 손 씻듯 씻게 하고 또 한 그룹은 올바른 손씻기 법으로 씻고 잘 잘 말린다. 씻은 후의 손들은 모두 눈으로 보기에는 다 깨끗하지만 암실에서 자외선 등을 비추면 씻겨 나가지 않은 로션의 형광물질이 형광을 발하여 가식적으로 손씻는 방식에 따른 차이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손톱밑, 손톱 주변 반지나 시계를 착용했을 경우 그 주변, 긴 손톱 아래 등에 로션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적 교육을 반복하여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는 개인위생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교육을 반복하여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는 개인위생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