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분석역학
1) 단면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
- 정의
- 방법
- 단면조사연구 설계
- 단면조사연구 자료의 분석
2)환자-대조군 연구(case control study)
- 정의
- 환자군의 선택
- 대조군의 선택
① 빈도 맞추기
② 개별맞추기
- 환자 - 대조군 자료의 분석
3)코호트 연구(cohort studies)
①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ies)
②후향적 연구
③통계량 구하는 방법
- 코호트 연구 자료 분석
2. 실험 역학
1)임상실험 연구
2)지역사회 중재연구
<역학의 장단점>
1) 단면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
- 정의
- 방법
- 단면조사연구 설계
- 단면조사연구 자료의 분석
2)환자-대조군 연구(case control study)
- 정의
- 환자군의 선택
- 대조군의 선택
① 빈도 맞추기
② 개별맞추기
- 환자 - 대조군 자료의 분석
3)코호트 연구(cohort studies)
①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ies)
②후향적 연구
③통계량 구하는 방법
- 코호트 연구 자료 분석
2. 실험 역학
1)임상실험 연구
2)지역사회 중재연구
<역학의 장단점>
본문내용
: 고혈압(-) (D)
<환자 - 대조군 자료의 분석>
고혈압
뇌혈관질환
있다
없다
있다 A B
없다 C D
비의비 ; 빈도 짝지은 경우 ; (AD)/(BC)
개별 짝지은 경우 : C/B
3)코호트 연구(cohort studies)
- 코호트 : 환경에 노출된 집단
- 코호트 연구 : 위험요인에 노출된 코호트에서 건강문제 발생과 노출되지 않은 코호트에서 건강문제 발생을 비교하는 연구 방법
- 방향성에 따른 분류
①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ies)
연구의 시작 시점부터 특정 건강문제 감수성이 있는 집단을 위험요인이 있는 코호트와 위험요인이 없는 코호트로 나누어 각 집단에서 건강문제의 발생을 비교하는 방법.
②후향적 연구
이미 건강문제가 발생한 시점에서 과거 자료를 검토하여 특정 건강문제의 감수성이 있 는 집단을 확인하고, 건강문제 발생 감수성이 있는 집단을 위험요인 노출코호트와 비 노출 코호트로 나누고 시간경과에 따라 각 코호트에서 질병 발생의 수준을 비교하는 연 구방법.
③통계량 구하는 방법
발생률(누적발생률), 상대밀도, 상대위험비(realtive risk:RR), 귀속위험도(attributable risk)
미래상황
현재상황
<코호트 연구의 예>
질병발생집단(A)
ex)뇌혈관질환(+)
의심되는 요인과 폭로된 집단 ex)고혈압(+)
질병비발생집단(B) ex)뇌혈관질환(-)
대상질환에 걸리지않는 모집단
표본집단
의심되는 요인과 폭로되지 않은 집단
ex)고혈압(-)
질병발생집단(C)
ex)뇌혈관질환(+)
질병비발생집단(D) ex)뇌혈관질환(-)
<코호트 연구 자료 분석>
원인노출여부
뇌혈관
<환자 - 대조군 자료의 분석>
고혈압
뇌혈관질환
있다
없다
있다 A B
없다 C D
비의비 ; 빈도 짝지은 경우 ; (AD)/(BC)
개별 짝지은 경우 : C/B
3)코호트 연구(cohort studies)
- 코호트 : 환경에 노출된 집단
- 코호트 연구 : 위험요인에 노출된 코호트에서 건강문제 발생과 노출되지 않은 코호트에서 건강문제 발생을 비교하는 연구 방법
- 방향성에 따른 분류
①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ies)
연구의 시작 시점부터 특정 건강문제 감수성이 있는 집단을 위험요인이 있는 코호트와 위험요인이 없는 코호트로 나누어 각 집단에서 건강문제의 발생을 비교하는 방법.
②후향적 연구
이미 건강문제가 발생한 시점에서 과거 자료를 검토하여 특정 건강문제의 감수성이 있 는 집단을 확인하고, 건강문제 발생 감수성이 있는 집단을 위험요인 노출코호트와 비 노출 코호트로 나누고 시간경과에 따라 각 코호트에서 질병 발생의 수준을 비교하는 연 구방법.
③통계량 구하는 방법
발생률(누적발생률), 상대밀도, 상대위험비(realtive risk:RR), 귀속위험도(attributable risk)
미래상황
현재상황
<코호트 연구의 예>
질병발생집단(A)
ex)뇌혈관질환(+)
의심되는 요인과 폭로된 집단 ex)고혈압(+)
질병비발생집단(B) ex)뇌혈관질환(-)
대상질환에 걸리지않는 모집단
표본집단
의심되는 요인과 폭로되지 않은 집단
ex)고혈압(-)
질병발생집단(C)
ex)뇌혈관질환(+)
질병비발생집단(D) ex)뇌혈관질환(-)
<코호트 연구 자료 분석>
원인노출여부
뇌혈관
추천자료
카지노 산업에 따른 지역사회의 피해
[지역사회조직화][지역복지][사회복지]지역사회조직화사업(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참여(지역복지참여)의 특징, 지역사회복지참여(지역복지참여)의 필요성, 지역사...
한국과 일본의 지역사회복지 비교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의, 지역사회복지관의 필요성,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 지역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복지관의 목표와 배경,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지역사회복지관의 후원금,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관의 필요성,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 지역사회복지관 가정폭력개입, 지역사회복...
알코올 중독의 정의, 원인, 영향, 결과와 지역사회연계를 통한 치료 및 재발방지 분석 고찰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보건복지]보건소와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 보건소와 통합...
[고객만족]패밀리레스토랑 고객만족(CS), 인터넷기업 고객만족(CS), 지역사회재활시설 고객만...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개념, 재가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과기술, 지역사회복...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구분 및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발전방향에 대하...
지역사회복지 실천주체(지역사회복지실천기관 지역사회복지사의 역할 지역사회복지의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