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풍부함
2.풍부함의 뒷풍경
3.풍부함의 가면
4.차별화 & 순응
5.소외
6.보드리야르의 예언과 혁명가능성
2.풍부함의 뒷풍경
3.풍부함의 가면
4.차별화 & 순응
5.소외
6.보드리야르의 예언과 혁명가능성
본문내용
수 없다. 코드는 도저히 뒤집을 수 없는 것-형식은 유지되고 단지 그 내용만이 변화하는 것 일뿐이다. 보드리야르가 말하는 코드의 수준이 자본주의의 생산의 영역이 이미 점령한 인간의 욕구를 규정짓는 것이라면, 이 체계가 절대 깨지지 않을 것이라는 묵시적인 보드리야르의 예언은 스스로가 자신의 기대를 저버리는 것이다. 보드리야르는 이 책에서 자신의 기대에 대한 탈출구는 제시하지는 못하는데, 물론 이는 "또 다른" 이야기가 될 수 있겠지만, 보드리야르가 말한 도무지가 전복될 수 없는 그 완고함에 그 짐이 갑갑하게 다가오는 것도 사실이다
) 사실 자본주의-소비사회라는 것이 표면의 쾌락적이고 환상적인 것과는 다르게 인간을 소외시키는 종말론적인 체계라고 해도, 정작 이 안에 놓인 개인은 자신이 주체가 아닐지언정 이 메트릭스를 빠져나오고 싶지 않을지도 모른다. 만일 메트릭스의 암호를 풀었을 때(탈출구를 열었을 때)의 실제의 세계가 더욱 암울하다면... 현실의 보이지 않는 논리의 '가능성'을 풀어내는 그의 작업은 탁월하지만, 그가 말하는 것처럼 헤어나올 수 없는 것이라면, 코드의 전복이 유토피아에 대한 몽상으로 그치고 만다면,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소비체계의 "향유의 부정"을 알지만 이를 오어법적으로 해석하여 전유할 수 있는 법을 풀어내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도 있을 것 같다.
.
이 갑갑함이란 다소간 소비의 논리의 체계를 만든 주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보이지 않는 누군가에 의해)운명론적으로 다 짜 놓여진 체계 안에 인간이 놓여지는 것과 인간들 사이에서의 경쟁이나 아귀다툼에 의해서 논리가 만들어지는 것을 보는 것은 다른 문제다. 보드리야르가 그려내는 '소비의 사회'는 지배 엘리트, 소수 독점 회사가 자신들의 이해의 논리를 견고하게 재생산하는 체계가 아니라, 인간과는 무관하게 운영되는 그 자체로서-자본주의 체계를 물신화하는 것 같은 인상을 풍기며, 이는 공포감마저 느끼게 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의 개인의 자발적인 유희적 소비라는 명제의 후면을 살피는 보드리야르의 통찰력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그러나 이런 글들을 읽을 때 마다 따라다니는 물음인, 이러한 기호학적 분석이 얼마나 현실을 드러낼 수 있느냐하는 것과, 소비자들이 얼마만큼 이러한 암울함에 대해서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여전히 남겨진 문제이지만, 그 연결고리를 찾는 것과 현실의 확인작업은 또 다른차원에서 이야기되어야 할 문제인것 같다.
) 사실 자본주의-소비사회라는 것이 표면의 쾌락적이고 환상적인 것과는 다르게 인간을 소외시키는 종말론적인 체계라고 해도, 정작 이 안에 놓인 개인은 자신이 주체가 아닐지언정 이 메트릭스를 빠져나오고 싶지 않을지도 모른다. 만일 메트릭스의 암호를 풀었을 때(탈출구를 열었을 때)의 실제의 세계가 더욱 암울하다면... 현실의 보이지 않는 논리의 '가능성'을 풀어내는 그의 작업은 탁월하지만, 그가 말하는 것처럼 헤어나올 수 없는 것이라면, 코드의 전복이 유토피아에 대한 몽상으로 그치고 만다면,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소비체계의 "향유의 부정"을 알지만 이를 오어법적으로 해석하여 전유할 수 있는 법을 풀어내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도 있을 것 같다.
.
이 갑갑함이란 다소간 소비의 논리의 체계를 만든 주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보이지 않는 누군가에 의해)운명론적으로 다 짜 놓여진 체계 안에 인간이 놓여지는 것과 인간들 사이에서의 경쟁이나 아귀다툼에 의해서 논리가 만들어지는 것을 보는 것은 다른 문제다. 보드리야르가 그려내는 '소비의 사회'는 지배 엘리트, 소수 독점 회사가 자신들의 이해의 논리를 견고하게 재생산하는 체계가 아니라, 인간과는 무관하게 운영되는 그 자체로서-자본주의 체계를 물신화하는 것 같은 인상을 풍기며, 이는 공포감마저 느끼게 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의 개인의 자발적인 유희적 소비라는 명제의 후면을 살피는 보드리야르의 통찰력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그러나 이런 글들을 읽을 때 마다 따라다니는 물음인, 이러한 기호학적 분석이 얼마나 현실을 드러낼 수 있느냐하는 것과, 소비자들이 얼마만큼 이러한 암울함에 대해서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여전히 남겨진 문제이지만, 그 연결고리를 찾는 것과 현실의 확인작업은 또 다른차원에서 이야기되어야 할 문제인것 같다.
추천자료
소비자행동분석 - 사회적, 심리적 환경 적용한 마케팅 사례
[홈쇼핑][홈쇼핑산업][홈쇼핑시장]홈쇼핑의 특징과 현황 및 성공 사례(홈쇼핑산업의 특성, 홈...
소비 중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광고
[기업과 사회] 소비자에대한 조사보고서
[사회학]과소비와 올바른 소비생활
현대 사회에서 청년기의의식주 소비생활문화, 관혼상제 의례문화, 가족관계와 가치관 관련 생...
현대사회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설명하고 소비자행동에서의 역할을 상세히 설명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사회적 및 개인적 요인들이 우리나라 소비자의 주택구매 ...
현대사회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설명하고 소비자행동에서의 역할을 상세히 설명
현대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여성의 몸을 둘러싼 억압들 예를들면 여성몸의 성 상품화 가정과...
2005년(2000년대)의 경제전망과 통화신용정책, 2005년(2000년대)의 고용동향과 노동정책, 200...
[고령화] 고령화 사회의 마케팅 : 새로운 소비주체로 떠오른 실버세대 6075 신중년 세대에 대...
뉴스브리핑 - 경제, 사회문화, 정치외교(중국 여유법, 제주경제,중국 상위 세계 명품소비,중...
블랙야크(Black Yak) 아웃도어 시장1위 도약을 위한 성공전략 : 블랙야크 {아웃도어 패션시...